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
  • 주즙(舟楫)
  • 이 재주를 모시고 몇 번 배를 띄웠는데, 노래 기생들이 여러 배에 있어 연가 2수를 재미있게 짓다[數陪李梓州泛江有女樂在諸舫戱爲豔曲二首]
메뉴닫기 메뉴열기

이 재주를 모시고 몇 번 배를 띄웠는데, 노래 기생들이 여러 배에 있어 연가 2수를 재미있게 짓다[數陪李梓州泛江有女樂在諸舫戱爲豔曲二首]


數陪李梓州 주001)
이 재주(李梓州)
이씨 성을 가진 재주(梓州) 자사. 이름은 자세하지 않다.
泛江有女樂 주002)
여악(女樂)
노래하는 기생. 노래기생. 가기(歌妓).
在諸舫戱爲豔曲 二首
주003)
수배리재주범강유녀악재제방희위염곡 이수(數陪李梓州泛江有女樂在諸舫戱爲豔曲二首)
이 재주를 모시고 몇 번 배를 띄웠는데, 노래 기생들이 여러 배에 있어 연가를 재미있게 2수를 짓다. 이 시는 광덕(廣德) 원년 (763) 봄에 지은 것이라 한다. 다른 본에는 원제목 끝에 ‘증이(贈李: 이 재주에게 드린다)’라는 말이 더 있는 것이 있다.

수배리재주범강유녀악재제방희위염곡 이수
(이 재주를 모시고 몇 번 배를 띄웠는데, 노래 기생[歌妓]들이 여러 배에 있어 연가 2수를 재미있게 짓다)

〈첫째 수〉

上客回空騎 佳人滿近船【謂送馬야 載來也ㅣ라】

노 소니 주004)
노 소니
높[高]-+-(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손[客]+이(주격 조사). 높은 손이. 높은 손님이. 지위나 신분이 높은 손이.
뷘  주005)
뷘 
뷔[空]-+-ㄴ(관형사형 어미)#[馬]+(대격 조사). 빈 말을. 사람을 태우고 온 말에서 사람을 내려 놓은 후에 빈 말을 다시 돌려보내는 것을 말한다.
돌아보내니 주006)
돌아보내니
돌[回]-+-아(연결 어미)#보내[送]-+-니(연결 어미). 돌려보내니. 현대어에서는 ‘돌아보내다’가 성립하지 않는다. 원문 협주에서는, 지위 높은 손님이 자기 말을 보내어 여러 사람을 말에 태워 오도록 하였다고 설명하고 있음.
고온 주007)
고온
곱[麗, 佳]-+-(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고운.
사미 갓가온 예 주008)
갓가온 예
갓갑[近]-+-(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舟, 船]+예(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가까운 배에.
얫도다 주009)
얫도다
+-(형용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잇[有]-+-도다(감탄 어미). 가득해 있도다.

【한자음】 상객회공기 가인만근선【이르기를, 말을 보내어 싣고 온다고 한다.】
【언해역】 높은 손이 빈 말을 돌려보내니, 고운 사람이 가까운 배에 가득해 있도다.

江淸歌扇底 野曠舞衣前

 주010)

[江]+(보조사). 강은.
놀애 브르 주011)
놀애 브르
노래[歌]#브르[唱]-+-(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노래 부르는.
부쳇 미틔 주012)
부쳇 미틔
부체[扇(선)]+ㅅ(관형격 조사)#밑][底]+의(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부채의 밑에. 부채 밑에. ‘부체〉부채’. 여기서는 노래 부르는 기생을 가리키고 있다.
갯고 주013)
갯고
[淸]-+-아(연결 어미)#잇[有]-+-고(연결 어미). 맑아 있고.
드르 주014)
드르
드르ㅎ[野]+(보조사). 들은. ¶ 구루믄 바와 岱山애 니고 平 드르흔 靑州와 徐州예 드리버덧도다(뜬 구름은 바다와 대산(岱山)에 이어 있고, 평평한 들은 청주(靑州)와 서주(徐州)에 안쪽으로 뻗어 있도다.)〈두시(초) 14:5ㄱ〉.
춤츠 옷 주015)
춤츠 옷
춤추는 옷. 춤추는 기생의 흔들리는 옷자락을 가리킨다.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29ㄴ

알 주016)
알
앒[前]+(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앞에.
훤도다

【한자음】 강청가선저 야광무의전
【언해역】 강은 노래 부르는 부채 밑에 맑아 있고, 들은 춤추는 옷 앞에 훤하도다.

玉袖凌風並 金壺隱浪偏

玉로 민 주017)
옥(玉)로 민
옥(玉)+로(부사격 조사, 조격 조사)#미[飾]-+-ㄴ(관형사형 어미). 옥으로 꾸민.
매 주018)
매
매[袖]+(보조사). 소매는.
매 凌犯야 주019)
매 능범(凌犯)야
[風]+에(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능범(凌犯)+-(동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 바람을 침범하여. 바람을 타고. 바람에 불려. 바람에 날려.
왓고 주020)
왓고
[竝]-+-아(연결 어미)#잇[有]-+-고(연결 어미). 나란해 있고. 나란히 있고. 나란하고. ¶ 들구레 와 안자 쇼미 됴니 仙人 늘그니 간 서르 디녯도다(뜬 뗏목에 나란히 앉아 있는 것이 좋으니 선인 늙으니 잠깐 서로 지니고 있도다.)〈두시(초) 16:45ㄱ〉.
金壺 주021)
금호(金壺)
금호(金壺)+(보조사). 금항아리는. 금으로 장식한 술통은.
믌겨레 주022)
믌겨레
믈[水]#결[波]+에(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물결에.
그야 주023)
그야
그[隱]+-(형용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 그윽하여. 그윽하게.
기우렛도다 주024)
기우렛도다
기울[傾, 偏]-+-어(연결 어미)#잇[有]-+-도다(감탄 어미). 기울어 있도다. ¶리티 번게를 디나 로 城中이 기울에 모다 아다(후려치는 번개를 지나 달리는 것을 성중이 기울게 모두 안다.)〈두시(초) 17:30ㄴ〉.

【한자음】 옥수릉풍병 금호은랑편
【언해역】 옥으로 꾸민 소매는 바람에 날려 나란하고, 금항아리는 물결에 그윽하게 기울어 있도다.

競將明媚色 偸眼豔陽天【偸眼  아니 볼 제 마니 볼시라】

토아 주025)
토아
토[競]-+-아(연결 어미). 다투어.
고온 비츨 주026)
고온 비츨
곱[麗, 媚]-+-(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빛[色]+을(대격 조사). 고운 빛을. 기생들의 화려한 치장을 가리킨다.
가져셔 豔陽天에셔 주027)
염양천(豔陽天)에셔
염양천(豔陽天)+에셔(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염양천에서. 맑게 갠 봄하늘에서. 염양천은 아름다운 햇빛이 비치는 봄의 하늘을 말한다.
일버 주028)
일버
일[偸]-+-어(연결 어미). 훔쳐. 몰래 훔쳐.
보놋다 주029)
보놋다
보[見]-+-(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어말 어미). 보는구나. 보는도다. 보도다.

【한자음】 경장명미색 투안염양천【투안(偸眼)은 남 아니 볼 때 가만히 보는 것이다.】
【언해역】 다투어 고운 빛을 가져서, 맑게 갠 봄하늘에서 훔쳐 보도다. (여기까지가 첫째 수이다.)

〈둘째 수〉

白日移歌袖 靑霄近笛床

  주030)
 
[明, 白]-+-(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日]+(보조사). 밝은 해는.
놀애 브르 주031)
놀애 브르
놀애[歌]#브르[唱]-+-(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노래 부르는. ‘놀애’가 현재와 같은 ‘노래’형으로 나타나는 것은 17세기 중엽쯤이다.
매예 주032)
매예
매[袖]+예(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소매에.
옮고 프른 하 뎌 부 주033)
뎌 부
뎌[笛(적: 피리)]#부[吹]-+-(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피리 부는.
平床애 갓갑도다 주034)
갓갑도다
갓갑[近]-+-도다(감탄 어미). 가깝도다.

【한자음】 백일이가수 청소근적상
【언해역】 밝은 해는 노래 부르는 소매에 옮고, 푸른 하늘은 피리 부는 평상에 가깝도다.

翠眉縈度曲 雲鬢儼分行

프른 눈서벤 주035)
눈서벤
눈썹[眉]+에(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ㄴ(관형사형 어미). 눈썹에는.
브르 놀앳 소리 버므렛고 주036)
버므렛고
버믈[縈(영)]-+-어(연결 어미)#잇[有]-+-고(연결 어미). 얽혀 있고. 엉겨 있고. 감돌고 있고.
구룸 주037)
구룸 
구룸[雲]#[如]+(형용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구름 같은.
귀미 주038)
귀미
귀[耳]#밑[底]+(보조사). 귀밑은. 귀밑머리는.
儼然히 行列을 횃도다 주039)
횃도다
호[分]-+-아(연결 어미)#잇[有]-+-도다(감탄 어미). 나누고 있도다. ¶太倉애 조 화 주미 어려우니 토아 魯陽 戈 리다(태창의 좁쌀을 나누어 주는 것이 어려우니, 다투어 노양의 창을 버린다.)〈두시(초) 10:12ㄴ〉.

【한자음】 취미영도곡 운빈엄분행
【언해역】 푸른 눈썹에는 부르는 노랫소리 감돌고 있고, 구름 같은 귀밑은 엄연히 행렬을 나누고 있도다.

立馬千山暮 回舟一水香

즈믄 묏 주040)
즈믄 묏
즈믄[千]#뫼[山]+ㅅ(관형격 조사). 천 봉우리 산의. 천 산의.
나조 주041)
나조
나조ㅎ[夕, 暮]+(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저녁에.
 셔옛고 주042)
 셔옛고
[馬]+(대격 조사)#셔[立]-+-이(사동 파생 접미사)-+-어(연결 어미)#잇[有]-+-고(연결 어미). 말을 세우고 있고.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30ㄱ

므리
주043)
 므리
[一]#믈[水]+이(주격 조사). 하나의 물이. 한 군데의 물이. 한 물이.
곳다온   도놋다 주044)
도놋다
돌[回]-+-(사동 파생 접미사)-+-(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어말 어미). 돌리는구나. ¶손발와 가과애 다 吉祥앳 깃비 도신 德相이 겨샤 文이 비단 紋 시고 비치 朱丹 샤미 第八十이시니라(손발과 가슴에 다 길상의, 기쁘게 돌리신 덕상이 있으시어 무늬가 비단무늬 같으시고 빛이 주단 같으심이 제80이시니라.)〈법화 2:19ㄱ~ㄴ〉.

【한자음】 립마천산모 회주일수향
【언해역】 천 산의 저녁에 말을 세우고 있고, 한 물이 꽃다운 데 배를 돌리는도다.

使君自有婦 莫學野鴛鴦【謂戒勿愛佳人也ㅣ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使君이 주045)
사군(使君)이
사군(使君)+이(주격 조사). 사군이. 사군은 임금의 명을 받들고 사절(使節)로 가거나 오는 사람을 높이어 이르는 말이다. 한나라 때에는 태수(太守)와 자사(刺史)를 가리키던 이름으로 쓰였고, 한 이후에는 주(州), 군(郡)의 장관을 높여 부르는 칭호로 쓰였다. ¶使君의 과 氣運괘 하 凌犯리로소니 녜 歡娛 제 녜 블리던 이 노라(사군의 뜻과 기운이 하늘을 찌를 것 같았는데, 옛날 즐겨 놀던 때 늘 불려가던 일을 생각하노라.)〈두시(초) 10:1ㄱ〉.
스싀로 주046)
스싀로
스스로. 스스로가. 자신이.
겨지비 잇니 주047)
겨지비 잇니
겨집[婦]+이(주격 조사)#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계집이 있나니. 부인이 있나니. 부인이 있으니.
햇 鴛鴦새 주048)
햇 원앙(鴛鴦)새
ㅎ[野]+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ㅅ(관형격 조사)#원앙(鴛鴦)+새[鳥]. 들의 원앙새. 야생 원앙새. 유흥을 벌이는 이들이 들의 원앙처럼 기녀들과 놀고 있다는 뜻임.
이 주049)
이
일[事]+(대격 조사). 일을.
호디 주050)
호디
호[學]-+-디(연결 어미). 배우지.
말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사군자유부 막학야원앙【아름다운 사람(기생)을 사랑하지 말라고 경계하는 것을 이른다.】
【언해역】 사군(使君)이 스스로 부인이 있나니, 들의 원앙새 일을 배우지 말라. (여기까지가 둘째 수이다.)
Ⓒ 역자 | 임홍빈 / 2014년 9월 30일

주석
주001)
이 재주(李梓州) : 이씨 성을 가진 재주(梓州) 자사. 이름은 자세하지 않다.
주002)
여악(女樂) : 노래하는 기생. 노래기생. 가기(歌妓).
주003)
수배리재주범강유녀악재제방희위염곡 이수(數陪李梓州泛江有女樂在諸舫戱爲豔曲二首) : 이 재주를 모시고 몇 번 배를 띄웠는데, 노래 기생들이 여러 배에 있어 연가를 재미있게 2수를 짓다. 이 시는 광덕(廣德) 원년 (763) 봄에 지은 것이라 한다. 다른 본에는 원제목 끝에 ‘증이(贈李: 이 재주에게 드린다)’라는 말이 더 있는 것이 있다.
주004)
노 소니 : 높[高]-+-(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손[客]+이(주격 조사). 높은 손이. 높은 손님이. 지위나 신분이 높은 손이.
주005)
뷘  : 뷔[空]-+-ㄴ(관형사형 어미)#[馬]+(대격 조사). 빈 말을. 사람을 태우고 온 말에서 사람을 내려 놓은 후에 빈 말을 다시 돌려보내는 것을 말한다.
주006)
돌아보내니 : 돌[回]-+-아(연결 어미)#보내[送]-+-니(연결 어미). 돌려보내니. 현대어에서는 ‘돌아보내다’가 성립하지 않는다. 원문 협주에서는, 지위 높은 손님이 자기 말을 보내어 여러 사람을 말에 태워 오도록 하였다고 설명하고 있음.
주007)
고온 : 곱[麗, 佳]-+-(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고운.
주008)
갓가온 예 : 갓갑[近]-+-(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舟, 船]+예(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가까운 배에.
주009)
얫도다 : +-(형용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잇[有]-+-도다(감탄 어미). 가득해 있도다.
주010)
 : [江]+(보조사). 강은.
주011)
놀애 브르 : 노래[歌]#브르[唱]-+-(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노래 부르는.
주012)
부쳇 미틔 : 부체[扇(선)]+ㅅ(관형격 조사)#밑][底]+의(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부채의 밑에. 부채 밑에. ‘부체〉부채’. 여기서는 노래 부르는 기생을 가리키고 있다.
주013)
갯고 : [淸]-+-아(연결 어미)#잇[有]-+-고(연결 어미). 맑아 있고.
주014)
드르 : 드르ㅎ[野]+(보조사). 들은. ¶ 구루믄 바와 岱山애 니고 平 드르흔 靑州와 徐州예 드리버덧도다(뜬 구름은 바다와 대산(岱山)에 이어 있고, 평평한 들은 청주(靑州)와 서주(徐州)에 안쪽으로 뻗어 있도다.)〈두시(초) 14:5ㄱ〉.
주015)
춤츠 옷 : 춤추는 옷. 춤추는 기생의 흔들리는 옷자락을 가리킨다.
주016)
알 : 앒[前]+(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앞에.
주017)
옥(玉)로 민 : 옥(玉)+로(부사격 조사, 조격 조사)#미[飾]-+-ㄴ(관형사형 어미). 옥으로 꾸민.
주018)
매 : 매[袖]+(보조사). 소매는.
주019)
매 능범(凌犯)야 : [風]+에(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능범(凌犯)+-(동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 바람을 침범하여. 바람을 타고. 바람에 불려. 바람에 날려.
주020)
왓고 : [竝]-+-아(연결 어미)#잇[有]-+-고(연결 어미). 나란해 있고. 나란히 있고. 나란하고. ¶ 들구레 와 안자 쇼미 됴니 仙人 늘그니 간 서르 디녯도다(뜬 뗏목에 나란히 앉아 있는 것이 좋으니 선인 늙으니 잠깐 서로 지니고 있도다.)〈두시(초) 16:45ㄱ〉.
주021)
금호(金壺) : 금호(金壺)+(보조사). 금항아리는. 금으로 장식한 술통은.
주022)
믌겨레 : 믈[水]#결[波]+에(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물결에.
주023)
그야 : 그[隱]+-(형용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 그윽하여. 그윽하게.
주024)
기우렛도다 : 기울[傾, 偏]-+-어(연결 어미)#잇[有]-+-도다(감탄 어미). 기울어 있도다. ¶리티 번게를 디나 로 城中이 기울에 모다 아다(후려치는 번개를 지나 달리는 것을 성중이 기울게 모두 안다.)〈두시(초) 17:30ㄴ〉.
주025)
토아 : 토[競]-+-아(연결 어미). 다투어.
주026)
고온 비츨 : 곱[麗, 媚]-+-(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빛[色]+을(대격 조사). 고운 빛을. 기생들의 화려한 치장을 가리킨다.
주027)
염양천(豔陽天)에셔 : 염양천(豔陽天)+에셔(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염양천에서. 맑게 갠 봄하늘에서. 염양천은 아름다운 햇빛이 비치는 봄의 하늘을 말한다.
주028)
일버 : 일[偸]-+-어(연결 어미). 훔쳐. 몰래 훔쳐.
주029)
보놋다 : 보[見]-+-(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어말 어미). 보는구나. 보는도다. 보도다.
주030)
  : [明, 白]-+-(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日]+(보조사). 밝은 해는.
주031)
놀애 브르 : 놀애[歌]#브르[唱]-+-(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노래 부르는. ‘놀애’가 현재와 같은 ‘노래’형으로 나타나는 것은 17세기 중엽쯤이다.
주032)
매예 : 매[袖]+예(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소매에.
주033)
뎌 부 : 뎌[笛(적: 피리)]#부[吹]-+-(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피리 부는.
주034)
갓갑도다 : 갓갑[近]-+-도다(감탄 어미). 가깝도다.
주035)
눈서벤 : 눈썹[眉]+에(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ㄴ(관형사형 어미). 눈썹에는.
주036)
버므렛고 : 버믈[縈(영)]-+-어(연결 어미)#잇[有]-+-고(연결 어미). 얽혀 있고. 엉겨 있고. 감돌고 있고.
주037)
구룸  : 구룸[雲]#[如]+(형용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구름 같은.
주038)
귀미 : 귀[耳]#밑[底]+(보조사). 귀밑은. 귀밑머리는.
주039)
횃도다 : 호[分]-+-아(연결 어미)#잇[有]-+-도다(감탄 어미). 나누고 있도다. ¶太倉애 조 화 주미 어려우니 토아 魯陽 戈 리다(태창의 좁쌀을 나누어 주는 것이 어려우니, 다투어 노양의 창을 버린다.)〈두시(초) 10:12ㄴ〉.
주040)
즈믄 묏 : 즈믄[千]#뫼[山]+ㅅ(관형격 조사). 천 봉우리 산의. 천 산의.
주041)
나조 : 나조ㅎ[夕, 暮]+(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저녁에.
주042)
 셔옛고 : [馬]+(대격 조사)#셔[立]-+-이(사동 파생 접미사)-+-어(연결 어미)#잇[有]-+-고(연결 어미). 말을 세우고 있고.
주043)
 므리 : [一]#믈[水]+이(주격 조사). 하나의 물이. 한 군데의 물이. 한 물이.
주044)
도놋다 : 돌[回]-+-(사동 파생 접미사)-+-(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어말 어미). 돌리는구나. ¶손발와 가과애 다 吉祥앳 깃비 도신 德相이 겨샤 文이 비단 紋 시고 비치 朱丹 샤미 第八十이시니라(손발과 가슴에 다 길상의, 기쁘게 돌리신 덕상이 있으시어 무늬가 비단무늬 같으시고 빛이 주단 같으심이 제80이시니라.)〈법화 2:19ㄱ~ㄴ〉.
주045)
사군(使君)이 : 사군(使君)+이(주격 조사). 사군이. 사군은 임금의 명을 받들고 사절(使節)로 가거나 오는 사람을 높이어 이르는 말이다. 한나라 때에는 태수(太守)와 자사(刺史)를 가리키던 이름으로 쓰였고, 한 이후에는 주(州), 군(郡)의 장관을 높여 부르는 칭호로 쓰였다. ¶使君의 과 氣運괘 하 凌犯리로소니 녜 歡娛 제 녜 블리던 이 노라(사군의 뜻과 기운이 하늘을 찌를 것 같았는데, 옛날 즐겨 놀던 때 늘 불려가던 일을 생각하노라.)〈두시(초) 10:1ㄱ〉.
주046)
스싀로 : 스스로. 스스로가. 자신이.
주047)
겨지비 잇니 : 겨집[婦]+이(주격 조사)#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계집이 있나니. 부인이 있나니. 부인이 있으니.
주048)
햇 원앙(鴛鴦)새 : ㅎ[野]+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ㅅ(관형격 조사)#원앙(鴛鴦)+새[鳥]. 들의 원앙새. 야생 원앙새. 유흥을 벌이는 이들이 들의 원앙처럼 기녀들과 놀고 있다는 뜻임.
주049)
이 : 일[事]+(대격 조사). 일을.
주050)
호디 : 호[學]-+-디(연결 어미). 배우지.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