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13

  • 역주 석보상절
  • 역주 석보상절 제13
  • 미륵보살이 신변의 인연을 물음
  • 미륵보살이 신변의 인연을 물음 6
메뉴닫기 메뉴열기

미륵보살이 신변의 인연을 물음 6


[미륵보살이 신변의 인연을 물음 6]

석보상절 13:24ㄱ

殊師利
여  菩薩이 부텨 滅度 주001)
멸도:
열반을 번역한 말. 나고 죽는 큰 환난을 없애어 번뇌의 바다를 건넜다는 뜻.
신 後에 舍利 供養리도 주002)
-리도:
-하올, 이도. -할 사람도.
이시며  佛子ㅣ 無數恒沙 塔 지 주003)
지:
지어. 「지ㅿ-어」.
나라 주004)
나라:
나라를. 「나라ㅎ-」.
미니 주005)
미니:
꾸미니.
寶塔 노 주006)
노:
높이가.
五千 由旬이오 南北과 東西왜 正히 야 주007)
야:
같아.
二千 由旬이오 塔마다 各各 즈믄 주008)
즈믄:
천(千).

석보상절 13:24ㄴ

주009)
당번:
불전(佛殿)을 장엄하는 데 쓰이는 깃발.
이며 구슬 서 주010)
서:
섞은. 「섯ㄱ-은」.
帳이며 보옛 주011)
보옛:
보배의.
바리 주012)
바리:
방울이.
溫和히 울며 天 龍 鬼神콰 주013)
콰:
-들과.
사과 사 아닌 것괘 주014)
아닌 것괘:
아닌 것이.
香華 伎樂 주015)
기악:
음악.
로 녜 주016)
녜:
늘.
供養 주017)
-:
-하읍는. -하는.
야 주018)
야:
모양이.
뵈다 주019)
뵈다:
보인다.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미륵보살이 신변의 인연을 물음 6]
문수사리여, 또 〈어떤〉 보살은 부처님 멸도하신 후에 사리〈에 대하여〉 공양하올 이도 있으며, 또 〈어떤〉 불자는 항하의 모래와 같은 무수한 탑을 만들어 〈세워〉 나라를 〈장엄하게〉 꾸미니, 〈그〉 보탑의 높이가 5천 유순이고, 〈탑의〉 남북과 동서가 꼭 같아 2천 유순이고, 〈그〉 탑마다 각각 1천의 당번이며 〈당번을 달고〉 구슬을 섞어 만든 휘장이며 보배 방울이 온화히 울〈리〉며, 천 용·귀신들과 사람과 사람 아닌 것 주020)
사람 아닌 것:
비인(非人). 천·용·야차·귀신·축생 따위.
〈들〉이 향과 꽃과 기악으로 늘 공양하옵는 모양이 다 보인다.
Ⓒ 역자 | 김영배 / 1991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멸도:열반을 번역한 말. 나고 죽는 큰 환난을 없애어 번뇌의 바다를 건넜다는 뜻.
주002)
-리도:-하올, 이도. -할 사람도.
주003)
지:지어. 「지ㅿ-어」.
주004)
나라:나라를. 「나라ㅎ-」.
주005)
미니:꾸미니.
주006)
노:높이가.
주007)
야:같아.
주008)
즈믄:천(千).
주009)
당번:불전(佛殿)을 장엄하는 데 쓰이는 깃발.
주010)
서:섞은. 「섯ㄱ-은」.
주011)
보옛:보배의.
주012)
바리:방울이.
주013)
콰:-들과.
주014)
아닌 것괘:아닌 것이.
주015)
기악:음악.
주016)
녜:늘.
주017)
-:-하읍는. -하는.
주018)
야:모양이.
주019)
뵈다:보인다.
주020)
사람 아닌 것:비인(非人). 천·용·야차·귀신·축생 따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