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4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4
  • 과거불인 대통지승여래의 법화경 설법 인연
  • 과거불인 대통지승여래의 법화경 설법 인연 29
메뉴닫기 메뉴열기

과거불인 대통지승여래의 법화경 설법 인연 29


[과거불인 대통지승여래의 법화경 설법 인연 29]
大通智勝佛이 八萬四千 劫 디내시고 三昧 주001)
삼매(三昧):
범어 Samādhi 삼마제(三摩提·三摩帝)·삼마지(三摩地)라 음역함. 들뜨거나 가라앉은 마음을 모두 떠나 평온한 마음을 견지하는 것. 산란됨이 없이 집중된 마음의 상태를 뜻함. 불교에서 수행을 통해 얻고자 하는 지혜는 흩어짐이 없이 편안하고 고요한 마음의 상태에서 비롯되므로, 삼매의 상태는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선원(禪院)에서 스님들이 좌선(坐禪)하거나 선정(禪定) 수행을 닦는 것도 궁극적으로는 삼매를 통해서 깨달음을 얻기 위한 것이다. 〈영역〉 perfect absorption.
로셔 니르샤 法座애 가샤 기 주002)
기:
조용히.
안샤 大衆려 너비 니샤 이 十六 菩薩 沙彌 甚히 希有야 諸根이

월인석보 14:47ㄱ

通利며 智慧 가 마 無量 千萬億數 諸佛을 供養 諸佛ㅅ거긔 주003)
제불(諸佛)ㅅ거긔:
제불+ㅅ거긔. 부처들께.
녜 梵行 닷가 佛智 受持야 衆生 주004)
중생(衆生):
중생+. 중생에게. 여기서는 목적격조사 ‘’이 여격의 기능을 대행하고 있음.
여러 뵈야 그긔 주005)
그긔:
거기(에).
들에 니 너희히 다 조 親近야 供養야 리라

월인석보 14:47ㄴ

【닐온 마 올타 시고 德行 讚歎샤 한 사미 親히 븓게 주006)
븓게:
븓(←븥)+게. 붙게, 의지하게.
시니라】
엇뎨어뇨 주007)
엇뎨어뇨:
엇뎨+(이)+어(←거)+뇨. 어째서(이)냐.
란 주008)
란:
+란. 할 것 같으면. 하면.
聲聞 辟支佛 주009)
벽지불(辟支佛):
범어 Pratyeka-buddha. 팔리어 pacceka-buddha. 발랄예가불타(鉢剌翳伽佛陀)·벽지가불(辟支迦佛)이라고도 쓰며, 연각(緣覺)·독각(獨覺)이라 번역함. 꽃이 피고 잎이 지는 등의 외연(外緣)에 의하여 스승 없이 혼자 깨닫는 이. 〈영역〉 one who enlightened by one’s own effort.
이어나 諸菩薩이 이 十六 菩薩 닐온 주010)
닐온:
니+오+ㄴ. 말한.
經法을 能히 信야 受持야 허디 아니면 이 사미 다 다 주011)
다:
마땅히. 응당.
阿耨多羅三藐三菩提

월인석보 14:48ㄱ

如來ㅅ 慧 得리라【三乘이 妙 得면  가지로 一乘에 가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과거불인 대통지승여래의 법화경 설법 인연 29]
대통지승불이 8만4천 겁 지내시고 삼매에서 일어나시어, 법좌에 가셔서 조용히 앉으시어, 대중들에게 널리 말씀하시되, ‘이 열여섯 보살 사미는 아주 드물게도 모든 감각 기관이 통달하며 지혜가 밝아, 이미 헤아릴 수 없는 천만억 수의 부처들을 공양하여, 부처들에게서 늘 맑은 행실을 닦아, 부처님의 지혜를 받아 지녀, 중생에게 열어 보여 거기에 들게 하니, 너희들이 다 자주 친근하여 공양하여야 할 것이다.【이른 말을 ‘옳다.’ 하시고 덕행을 찬탄하시어 많은 사람이 친히 의지하게 하신 것이다.】 어째서냐 하면, 성문, 벽지불이거나 보살들이, 이 열여섯 보살이 말한 경법
(經法, 경전의 진리)
을 능히 믿고 받아 지녀 허물지 아니하면, 이 사람이 다 마땅히 최고의 바른 깨달음여래의 지혜를 얻을 것이기 때문이다.’【3승(三乘)이 묘(妙)를 얻으면 함께 1승(一乘)에 〈돌아〉가는 것이다.】
Ⓒ 역자 | 조규태 / 2010년 9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삼매(三昧):범어 Samādhi 삼마제(三摩提·三摩帝)·삼마지(三摩地)라 음역함. 들뜨거나 가라앉은 마음을 모두 떠나 평온한 마음을 견지하는 것. 산란됨이 없이 집중된 마음의 상태를 뜻함. 불교에서 수행을 통해 얻고자 하는 지혜는 흩어짐이 없이 편안하고 고요한 마음의 상태에서 비롯되므로, 삼매의 상태는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선원(禪院)에서 스님들이 좌선(坐禪)하거나 선정(禪定) 수행을 닦는 것도 궁극적으로는 삼매를 통해서 깨달음을 얻기 위한 것이다. 〈영역〉 perfect absorption.
주002)
기:조용히.
주003)
제불(諸佛)ㅅ거긔:제불+ㅅ거긔. 부처들께.
주004)
중생(衆生):중생+. 중생에게. 여기서는 목적격조사 ‘’이 여격의 기능을 대행하고 있음.
주005)
그긔:거기(에).
주006)
븓게:븓(←븥)+게. 붙게, 의지하게.
주007)
엇뎨어뇨:엇뎨+(이)+어(←거)+뇨. 어째서(이)냐.
주008)
란:+란. 할 것 같으면. 하면.
주009)
벽지불(辟支佛):범어 Pratyeka-buddha. 팔리어 pacceka-buddha. 발랄예가불타(鉢剌翳伽佛陀)·벽지가불(辟支迦佛)이라고도 쓰며, 연각(緣覺)·독각(獨覺)이라 번역함. 꽃이 피고 잎이 지는 등의 외연(外緣)에 의하여 스승 없이 혼자 깨닫는 이. 〈영역〉 one who enlightened by one’s own effort.
주010)
닐온:니+오+ㄴ. 말한.
주011)
다:마땅히. 응당.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