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4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4
  • 과거불인 대통지승여래의 법화경 설법 인연
  • 과거불인 대통지승여래의 법화경 설법 인연 6
메뉴닫기 메뉴열기

과거불인 대통지승여래의 법화경 설법 인연 6


[과거불인 대통지승여래의 법화경 설법 인연 6]
그 忉利諸天 주001)
도리천(忉利天):
욕계 6천의 제2천. 수미산의 정상에 있고, 제석천을 중심으로 사방의 봉우리에 각각 8천이 있으므로, 모두 33천이 된다. 도리는 33을 뜻하는 범어의 간략한 음역임. 〈영역〉 the thirty-three heavens.
이 몬져 뎌 부텨 爲 菩提樹下애 師子座 주002)
사자좌(師子座):
부처님이 앉으시는 상좌(牀座). 부처님은 인간에게 가장 높은 지위에 있는 분이므로 모든 짐승의 왕인 사자(獅子)에 비유한 것임. 여러 경전에 ‘사자(師子)’로 표기되어 있으나, 사자(獅子)를 달리 표기한 것으로 보임. 〈영역〉 lion’s seat.
노니 주003)
노니:
놓+니. 놓으니.
노  由旬 주004)
유순(由旬):
거리의 단위. 제왕이 하루에 행군하는 거리. 40리, 30리, 16리 등. 일반적으로 1유순은 약 7마일이라고 한다. 〈영역〉 yojana.
이러니 부톄 이 주005)
이:
여기에. 장소를 나타내는 지시대명사에는 이 밖에도 ‘뎌(=저기에), 그(=거기에)’가 있었음. 이 어형들은 모두 ‘이긔에, 뎌긔에, 그긔에’가 줄어진 어형임.
안샤 阿耨多羅三藐三菩提 得시리라【大通이  道場애 안시릴 주006)
안시릴:
앉+시+리+ㄹ. 앉으실 것이므로.
諸天

월인석보 14:12ㄴ

이 座 노코 부텨 請 주007)
청(請):
청++옴+. 청함을.
니시니라】
이 座애 처 거시 주008)
거시:
(←앉)+시+거…. 앉으시거늘.
梵天王 주009)
범천왕(梵天王):
몰라함마(沒羅含摩)·범마(梵摩)라고도 쓴다. 범왕(梵王)·대범천왕(大梵天王)이라고도 함. 색계 초선천의 주인으로서 색계 대범천의 높은 누각에 거주하며, 별명을 시기(尸棄)·세주(世主) 등이라 한다. 인도의 옛 말에는 겁초(劫初)에 광음천에서 이 세계에 내려와서 대범왕이 되어 만물을 만들었다 하며, 혹은 비쉬누의 배꼽에서 나온 천 잎 연꽃 가운데서 이 범왕이 태어나고, 아들 여덟을 낳아 일체 만물의 근원이 되었다 한다. 불교에서는 제석과 함께 정법을 옹호하는 신(神)이라 하여, 부처님이 세상에 나올 적마다 반드시 제일 먼저 설법하기를 청한다. 또 항상 부처님을 오른 편에 모시면서 손에는 흰 불자(拂子)를 들고 있다.
이 여러 가짓 하고 비흐니 주010)
비흐니:
빟+으니. 뿌리니.
面마다 百由旬이러니 香風이 와 이운 주011)
이운:
이울+ㄴ. 시든. 원문의 ‘이’의 ‘ㆁ’ 표기는 잘못된 것임.
고 부러 리고 주012)
리고:
리+고. 버리고.
다시 새 고 비허 이티 긋디 주013)
긋디:
긋(←긏)+디. 그치지.
아니야 열 小劫이 차 부텻 주014)
부텻긔:
부텨+ㅅ긔. 부처께.
供養 주015)
공양(供養):
범어 Pūjanā. 음식이나 의복 등을 불, 법, 승, 3보(寶)와 부모, 스승, 죽은 사람의 영혼 등에게 공급하는 것을 가리킨다. 본래 공양은 신체적인 행위만을 지시하였으나, 지금은 단순히 정신적인 것까지도 포함하여 넓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침구, 약, 꽃, 차, 등(燈), 향, 등등의 재물뿐만 아니라 공경심과 신심, 수행까지도 공양의 대상이 된다. 현재 절에서는 공양이라는 말을 식사 일반의 경우에 대체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영역〉 offering ; to offer necessities.
 滅度

월인석보 14:13ㄱ

애 니르리 녜 이 고 비흐며 四王 주016)
사왕(四王):
사천왕의 줄임말. 사천왕은 동서남북의 사방에서 부처님의 법을 수호하는 신들. 동방의 지국천왕(持國天王), 남방의 증장천왕(增長天王), 서방의 광목천왕(廣目天王), 북방의 다문천왕(多聞天王). 원래는 고대 인도에서 세계의 수호신이었던 것을 불교가 수용한 것. 저마다 권속을 거느리고 있는 이 사천왕은 힌두교의 사방 수호신과 내용상 동일한 관념을 채택한 것이나, 신의 명칭에서 그 원어까지 동일하지는 않다. 세계의 중앙에 우뚝 솟은 수미산의 정상에는 도리천이라는 신들의 세계(33천)가 있고, 이 수미산의 중턱을 둘러싸고 사방에 사천왕의 세계가 있다. 사천왕은 도리천의 우두머리 신인 제석천의 명을 받아 천하를 돌아다니면서 사람들의 동작을 살펴 보고한다. 본래 사천왕의 형상을 표현하는 데 정해진 외모는 없었으나, 중국으로 전래되는 과정에서 무장한 장군의 모습으로 일반화되었다. 갑옷을 두르고 무기 등을 들고서 발로 악귀를 밟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는 것이 통례이다. 광목천왕은 붓과 책, 다문천왕은 검과 보탑, 다른 두 천왕은 검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으나 반드시 정해진 것은 아니다. 북방을 수호하는 다문천만을 따로 신앙하는 경우에는 다문천이 비사문천(毘沙門天)으로 불린다. 〈영역〉 the four heavenly kings.
諸天
주017)
사왕천(四王天):
사천왕천. 사천왕천(四天王天) : 3계(三界)의 욕계에 속하는 6욕천 중 최하인 제1천의 동서남북을 각각 관장하는 지국천왕, 광목천왕, 증장천왕, 다문천왕. 또는 이 사천왕과 이들의 권속이 거주하는 곳. 해와 달과 별들도 포함한다.
부텨 供養 爲야 녜 하붑 주018)
하붑:
하늘북.
티며 녀나 諸天도 하류야 열 小劫이 며 滅度호매 니르리  이티 더라【처 거시 곳비 주019)
곳비:
곳(←곶)+비. 꽃비.
오고 류며 滅度애 니르리  이티 호 諸天이 恭敬야 向 至極호

월인석보 14:13ㄴ

 니시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과거불인 대통지승여래의 법화경 설법 인연 6]
그때 도리의 하늘신들이 먼저 저 부처를 위하여 보리수 아래에 사자좌(師子座)를 놓으니, 높이가 한 유순(由旬)이더니, 부처가 여기에 앉으시어 최고의 바른 깨달음을 얻으신 것이다.【대통불이 장차 도량에 앉으실 것이므로, 하늘신들이 자리를 마련해놓고 부처를 청함을 말하심이다.】 이 자리에 처음 앉으시거늘, 범천왕들이 여러 가지의 하늘꽃을 뿌리니, 사면이 백 유순이더니, 향기로운 바람이 와서 시든 꽃을 불어 버리고 다시 새 꽃을 뿌려, 이같이 그치지 아니하여 열 소겁이 차서, 부처께 공양하여 멸도에 이르도록 내내 이 꽃을 뿌리니, 사왕천들도 부처 공양함을 위하여 내내 하늘북을 치며, 그 밖의 하늘신들도 하늘풍류를 하여, 열 소겁이 차서 멸도함에 이르도록 또 이같이 하더라.【처음 앉으시거늘 꽃비가 오고 풍류를 하며 멸도에 이르도록 또 이같이 함은 하늘신들이 공경하여 〈부처께〉 향함을 극진히 함을 이르신 것이다.】
Ⓒ 역자 | 조규태 / 2010년 9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도리천(忉利天):욕계 6천의 제2천. 수미산의 정상에 있고, 제석천을 중심으로 사방의 봉우리에 각각 8천이 있으므로, 모두 33천이 된다. 도리는 33을 뜻하는 범어의 간략한 음역임. 〈영역〉 the thirty-three heavens.
주002)
사자좌(師子座):부처님이 앉으시는 상좌(牀座). 부처님은 인간에게 가장 높은 지위에 있는 분이므로 모든 짐승의 왕인 사자(獅子)에 비유한 것임. 여러 경전에 ‘사자(師子)’로 표기되어 있으나, 사자(獅子)를 달리 표기한 것으로 보임. 〈영역〉 lion’s seat.
주003)
노니:놓+니. 놓으니.
주004)
유순(由旬):거리의 단위. 제왕이 하루에 행군하는 거리. 40리, 30리, 16리 등. 일반적으로 1유순은 약 7마일이라고 한다. 〈영역〉 yojana.
주005)
이:여기에. 장소를 나타내는 지시대명사에는 이 밖에도 ‘뎌(=저기에), 그(=거기에)’가 있었음. 이 어형들은 모두 ‘이긔에, 뎌긔에, 그긔에’가 줄어진 어형임.
주006)
안시릴:앉+시+리+ㄹ. 앉으실 것이므로.
주007)
청(請):청++옴+. 청함을.
주008)
거시:(←앉)+시+거…. 앉으시거늘.
주009)
범천왕(梵天王):몰라함마(沒羅含摩)·범마(梵摩)라고도 쓴다. 범왕(梵王)·대범천왕(大梵天王)이라고도 함. 색계 초선천의 주인으로서 색계 대범천의 높은 누각에 거주하며, 별명을 시기(尸棄)·세주(世主) 등이라 한다. 인도의 옛 말에는 겁초(劫初)에 광음천에서 이 세계에 내려와서 대범왕이 되어 만물을 만들었다 하며, 혹은 비쉬누의 배꼽에서 나온 천 잎 연꽃 가운데서 이 범왕이 태어나고, 아들 여덟을 낳아 일체 만물의 근원이 되었다 한다. 불교에서는 제석과 함께 정법을 옹호하는 신(神)이라 하여, 부처님이 세상에 나올 적마다 반드시 제일 먼저 설법하기를 청한다. 또 항상 부처님을 오른 편에 모시면서 손에는 흰 불자(拂子)를 들고 있다.
주010)
비흐니:빟+으니. 뿌리니.
주011)
이운:이울+ㄴ. 시든. 원문의 ‘이’의 ‘ㆁ’ 표기는 잘못된 것임.
주012)
리고:리+고. 버리고.
주013)
긋디:긋(←긏)+디. 그치지.
주014)
부텻긔:부텨+ㅅ긔. 부처께.
주015)
공양(供養):범어 Pūjanā. 음식이나 의복 등을 불, 법, 승, 3보(寶)와 부모, 스승, 죽은 사람의 영혼 등에게 공급하는 것을 가리킨다. 본래 공양은 신체적인 행위만을 지시하였으나, 지금은 단순히 정신적인 것까지도 포함하여 넓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침구, 약, 꽃, 차, 등(燈), 향, 등등의 재물뿐만 아니라 공경심과 신심, 수행까지도 공양의 대상이 된다. 현재 절에서는 공양이라는 말을 식사 일반의 경우에 대체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영역〉 offering ; to offer necessities.
주016)
사왕(四王):사천왕의 줄임말. 사천왕은 동서남북의 사방에서 부처님의 법을 수호하는 신들. 동방의 지국천왕(持國天王), 남방의 증장천왕(增長天王), 서방의 광목천왕(廣目天王), 북방의 다문천왕(多聞天王). 원래는 고대 인도에서 세계의 수호신이었던 것을 불교가 수용한 것. 저마다 권속을 거느리고 있는 이 사천왕은 힌두교의 사방 수호신과 내용상 동일한 관념을 채택한 것이나, 신의 명칭에서 그 원어까지 동일하지는 않다. 세계의 중앙에 우뚝 솟은 수미산의 정상에는 도리천이라는 신들의 세계(33천)가 있고, 이 수미산의 중턱을 둘러싸고 사방에 사천왕의 세계가 있다. 사천왕은 도리천의 우두머리 신인 제석천의 명을 받아 천하를 돌아다니면서 사람들의 동작을 살펴 보고한다. 본래 사천왕의 형상을 표현하는 데 정해진 외모는 없었으나, 중국으로 전래되는 과정에서 무장한 장군의 모습으로 일반화되었다. 갑옷을 두르고 무기 등을 들고서 발로 악귀를 밟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는 것이 통례이다. 광목천왕은 붓과 책, 다문천왕은 검과 보탑, 다른 두 천왕은 검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으나 반드시 정해진 것은 아니다. 북방을 수호하는 다문천만을 따로 신앙하는 경우에는 다문천이 비사문천(毘沙門天)으로 불린다. 〈영역〉 the four heavenly kings.
주017)
사왕천(四王天):사천왕천. 사천왕천(四天王天) : 3계(三界)의 욕계에 속하는 6욕천 중 최하인 제1천의 동서남북을 각각 관장하는 지국천왕, 광목천왕, 증장천왕, 다문천왕. 또는 이 사천왕과 이들의 권속이 거주하는 곳. 해와 달과 별들도 포함한다.
주018)
하붑:하늘북.
주019)
곳비:곳(←곶)+비. 꽃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