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4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4
  • 석존이 멸도 후에도 중생들을 위해 법화경을 설법할 것을 말함
  • 석존이 멸도 후에도 중생들을 위해 법화경을 설법할 것을 말함 13
메뉴닫기 메뉴열기

석존이 멸도 후에도 중생들을 위해 법화경을 설법할 것을 말함 13


[석존이 멸도 후에도 중생들을 위해 법화경을 설법할 것을 말함 13]
部內 論컨댄 純과 雜괘 져기 다니 엇뎨오 주001)
엇뎨오:
엇뎨+오(←고). 어떠한가.
法華 圓敎 주002)
원교(圓敎):
① 원만한 가르침. 화엄경의 가르침을 지칭하는 교판(敎判) 용어. 중국 후위(後魏)의 광통(光統) 율사가 교법을 점교(漸敎), 돈교(頓敎), 원교로 구분하고 화엄경을 원교로 명명한 데서 비롯된다. ② 화엄종의 법장(法藏)이 세운 교판(敎判) 중 5교의 다섯째. 〈영역〉 perfect teaching.
 純히 니시고 涅槃 四敎 섯거 니실니라 주003)
니실씨라:
니+시+ㅭ#+이+라. 말씀하심이다.
무로 五時 주004)
오시(五時):
유송(劉宋) 도장사 혜관의 설. 부처님의 1대 교설을 판단하여 돈교(頓敎)·점교(漸敎)로 나누고, 점교를 다시 시간의 차례에 따라, 다섯으로 구별한 것. ① 3승별교(三乘別敎). 3승인들을 위하여 따로따로 말한 교법. ② 3승통교(三乘通敎). 3승이 함께 듣는 교법. ③ 억양교(抑揚敎). 보살을 찬양하고, 성문을 억제한 교법. ④ 동귀교(同歸敎). 3승을 회동(會同)하여 1승에 돌아가는 교. ⑤ 상주교(常住敎). 불성이 상주하다는 교.
와 頓漸 든 이 거니와 주005)
거니와:
(←)+거니와. 같거니와.
秘密와 不定과 藏通別圓 주006)
장통별원(藏通別圓):
장교, 통교, 별교, 원교. 천태종에서 부처님이 설하신 교리의 내용을 넷으로 나눈 것. 이것을 화법(化法) 4교라 한다. (1) 장교(藏敎). 곧 삼장교. 경·율·논 3장으로 말한 소승교. 좁은 세계관에 의지하여 얕은 교리를 말하고, 분석해 보고서야 모든 것이 공인 줄 아는 석공(析空)을 근본 사상으로 하는 가르침. (2) 통교(通敎). 앞뒤에 통하는 가르침. 성문·연각·보살이 함께 받는 교. 가르침을 받는 사람의 근기에 따라 가르침. 근성(根性)이 하열한 사람이 이것을 얕게 알면 앞의 장교와 같은 결과가 되고, 근성이 수승한 사람이 깊고 묘하게 알면 뒤의 별교·원교에 통하므로 통교라 한다. (3) 별교(別敎). 다른 것과 같지 않은 가르침. 성문·연각의 가르침과는 다르고, 또 원교와도 같지 않으므로 별교라고 함. 이 교는 넓은 세계관에 의지 하였으나, 이치가 얕아 격력차제(隔歷次第)의 차별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또 공과 유에 치우치지 않는 중도를 말하였으나 아직 융통무애한 이치에는 이르지 못한 가르침이며, 단중(但中)을 근본 사상으로 함. (4) 원교(圓敎). 원만하고 완전한 가르침이라는 말. 별교가 3계 밖의 사교(事敎)임에 비하여, 이것은 3계 밖의 이교(理敎). 별교에서 유(有)와 공(空)의 대립은 진리가 아니라 하여 중도를 말한 것은 옳지만, 유·공에 대립한 중도를 세웠으므로 참된 중도가 아니다. 실재는 만유를 여읜 것이 아니며, 만유 그대로가 공이고, 가(假)이고, 중(中)이어서 현상(現象)·실재(實在)와 미(迷)·오(悟)와 번뇌·보리 등의 사이에 서로 갖추고 서로 원융한 부단중(不但中)을 말하여 가장 정돈된 현상, 곧 실재론을 내용으로 하는 교리. 대승교 가운데 지극한 묘리를 말한 『법화경』이 이에 해당한다고 함. → 화법 4교(化法四敎).
이 그 디 엇뎨오 對答호 秘密敎 알 四時中에 如來三輪 주007)
삼륜(三輪):
① 3법륜(法輪). ② 3전법륜(轉法輪). ③ 풍륜(風輪)·수륜(水輪)·금륜(金輪). 이 세계의 맨 아래에 풍륜, 풍륜 위에 수륜, 수륜 위에 금륜, 금륜 위에 9산(山) 8해(海)가 있다 함. ④ 신통륜(神通輪)·기심륜(記心輪)·교계륜(敎誡輪). 불·보살이 몸에 신통을 나타내어 정신(正信)을 내게 하며, 뜻으로 상대편의 마음속을 통찰하며, 입으로 법문을 말하는 것. 이리하여 중생의 번뇌를 부수는 것이므로 윤(輪)이라 함. ⑤ 무상륜(無常輪)·부정륜(不淨輪)·고륜(苦輪). 이 셋이 세계에 가득 차서 쉽사리 부수기 어려움이 철륜(鐵輪)과 같으므로 윤(輪)이라 하며, 이에 의하여 경설(經說)이 일어났다 함. ⑥ 3륜상(三輪相)의 약칭. 〈영역〉 three wheels.
不思議실⋘三輪은 身口意라⋙

월인석보 14:65ㄴ

시혹 이 사 爲샤 頓 니시며 시혹 뎌 사 爲샤 漸을 니거시든 뎌와 이왜 주008)
이왜:
뎌+와 이+와+ㅣ. 저와 이(와)가. 저 사람과 이 사람이.
서르 아디 몯호 能히 益을 得게 실씨 일후미 秘密敎ㅣ라 不定敎 주009)
부정교(不定敎):
화의(化儀) 4교(敎)의 하나. 구족하게는 현밀부정교(顯密不定敎). 부처님이 지식과 소양이 한결같지 아니한 상대자에 대하여 골고루 그 요구에 응하기 위하여 듣는 이가 제각기 따로 이해할 수 있도록 말씀하신 교묘한 교법. 그 법석에 참석한 사람들은 서로 알면서도 제각기 다르게 이해하는 줄을 알지 못하니, 이것을 인지법부지(人知法不知)라 함.
 四時 中에 부톄  소리로 法을 블어 주010)
블어:
브르+어. 불러.
니거시든 衆生이 類 조차 各各 아로 得니 이 如來ㅅ 不思議力이 能히 衆生 漸說 中에 漸益을 得고 頓說中에 漸益을 得고 頓說中에 漸益을 得게 시니 이티 益得호미 디 아니 일후미 不定

월인석보 14:66ㄱ

敎ㅣ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석존이 멸도 후에도 중생들을 위해 법화경을 설법할 것을 말함 13]
부내(部內)를 논하건대 순수한 것과 섞인 것이 적이 다르니 어떠한가. 법화는 원교(圓敎)를 순수하게 이르시는 것이고, 열반은 4교를 섞어 말씀하시기 때문인 것이다. 묻되 5시와 돈점의 뜻은 이 같거니와, 비밀(秘密)과 부정(不定)과 장통별원(藏通別圓)이 그 뜻이 어떠한가. 대답하되 비밀교(秘密敎)는 앞의 4시(四時) 가운데 여래 3륜 불사의이시므로⋘3륜(三輪)은 신구의(身口意)이다.⋙ 혹시 이 사람을 위하시어 돈(頓)을 이르시며, 저 사람을 위하여 점(漸)을 이르시더라도, 저와 이가 서로 알지 못하되, 능히 이로움을 얻게 하시므로 이름이 비밀교(秘密敎)이다. 부정교(不定敎)는 4시(四時) 가운데 부처가 한 소리로 법을 불러 말씀하시면, 중생이 부류에 따라 각각 앎을 얻으니, 이는 여래의 불사의한 힘이 능히 중생을 점설(漸說) 가운데서 점익(漸益)을 얻고 돈설 가운데에서 점익을 얻게 하시니, 이같이 이로움을 얻음이 같지 아니하므로 이름이 부정교(不定敎)이다.
Ⓒ 역자 | 조규태 / 2010년 9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엇뎨오:엇뎨+오(←고). 어떠한가.
주002)
원교(圓敎):① 원만한 가르침. 화엄경의 가르침을 지칭하는 교판(敎判) 용어. 중국 후위(後魏)의 광통(光統) 율사가 교법을 점교(漸敎), 돈교(頓敎), 원교로 구분하고 화엄경을 원교로 명명한 데서 비롯된다. ② 화엄종의 법장(法藏)이 세운 교판(敎判) 중 5교의 다섯째. 〈영역〉 perfect teaching.
주003)
니실씨라:니+시+ㅭ#+이+라. 말씀하심이다.
주004)
오시(五時):유송(劉宋) 도장사 혜관의 설. 부처님의 1대 교설을 판단하여 돈교(頓敎)·점교(漸敎)로 나누고, 점교를 다시 시간의 차례에 따라, 다섯으로 구별한 것. ① 3승별교(三乘別敎). 3승인들을 위하여 따로따로 말한 교법. ② 3승통교(三乘通敎). 3승이 함께 듣는 교법. ③ 억양교(抑揚敎). 보살을 찬양하고, 성문을 억제한 교법. ④ 동귀교(同歸敎). 3승을 회동(會同)하여 1승에 돌아가는 교. ⑤ 상주교(常住敎). 불성이 상주하다는 교.
주005)
거니와:(←)+거니와. 같거니와.
주006)
장통별원(藏通別圓):장교, 통교, 별교, 원교. 천태종에서 부처님이 설하신 교리의 내용을 넷으로 나눈 것. 이것을 화법(化法) 4교라 한다. (1) 장교(藏敎). 곧 삼장교. 경·율·논 3장으로 말한 소승교. 좁은 세계관에 의지하여 얕은 교리를 말하고, 분석해 보고서야 모든 것이 공인 줄 아는 석공(析空)을 근본 사상으로 하는 가르침. (2) 통교(通敎). 앞뒤에 통하는 가르침. 성문·연각·보살이 함께 받는 교. 가르침을 받는 사람의 근기에 따라 가르침. 근성(根性)이 하열한 사람이 이것을 얕게 알면 앞의 장교와 같은 결과가 되고, 근성이 수승한 사람이 깊고 묘하게 알면 뒤의 별교·원교에 통하므로 통교라 한다. (3) 별교(別敎). 다른 것과 같지 않은 가르침. 성문·연각의 가르침과는 다르고, 또 원교와도 같지 않으므로 별교라고 함. 이 교는 넓은 세계관에 의지 하였으나, 이치가 얕아 격력차제(隔歷次第)의 차별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또 공과 유에 치우치지 않는 중도를 말하였으나 아직 융통무애한 이치에는 이르지 못한 가르침이며, 단중(但中)을 근본 사상으로 함. (4) 원교(圓敎). 원만하고 완전한 가르침이라는 말. 별교가 3계 밖의 사교(事敎)임에 비하여, 이것은 3계 밖의 이교(理敎). 별교에서 유(有)와 공(空)의 대립은 진리가 아니라 하여 중도를 말한 것은 옳지만, 유·공에 대립한 중도를 세웠으므로 참된 중도가 아니다. 실재는 만유를 여읜 것이 아니며, 만유 그대로가 공이고, 가(假)이고, 중(中)이어서 현상(現象)·실재(實在)와 미(迷)·오(悟)와 번뇌·보리 등의 사이에 서로 갖추고 서로 원융한 부단중(不但中)을 말하여 가장 정돈된 현상, 곧 실재론을 내용으로 하는 교리. 대승교 가운데 지극한 묘리를 말한 『법화경』이 이에 해당한다고 함. → 화법 4교(化法四敎).
주007)
삼륜(三輪):① 3법륜(法輪). ② 3전법륜(轉法輪). ③ 풍륜(風輪)·수륜(水輪)·금륜(金輪). 이 세계의 맨 아래에 풍륜, 풍륜 위에 수륜, 수륜 위에 금륜, 금륜 위에 9산(山) 8해(海)가 있다 함. ④ 신통륜(神通輪)·기심륜(記心輪)·교계륜(敎誡輪). 불·보살이 몸에 신통을 나타내어 정신(正信)을 내게 하며, 뜻으로 상대편의 마음속을 통찰하며, 입으로 법문을 말하는 것. 이리하여 중생의 번뇌를 부수는 것이므로 윤(輪)이라 함. ⑤ 무상륜(無常輪)·부정륜(不淨輪)·고륜(苦輪). 이 셋이 세계에 가득 차서 쉽사리 부수기 어려움이 철륜(鐵輪)과 같으므로 윤(輪)이라 하며, 이에 의하여 경설(經說)이 일어났다 함. ⑥ 3륜상(三輪相)의 약칭. 〈영역〉 three wheels.
주008)
이왜:뎌+와 이+와+ㅣ. 저와 이(와)가. 저 사람과 이 사람이.
주009)
부정교(不定敎):화의(化儀) 4교(敎)의 하나. 구족하게는 현밀부정교(顯密不定敎). 부처님이 지식과 소양이 한결같지 아니한 상대자에 대하여 골고루 그 요구에 응하기 위하여 듣는 이가 제각기 따로 이해할 수 있도록 말씀하신 교묘한 교법. 그 법석에 참석한 사람들은 서로 알면서도 제각기 다르게 이해하는 줄을 알지 못하니, 이것을 인지법부지(人知法不知)라 함.
주010)
블어:브르+어. 불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