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4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4
  • 월인천강지곡 기283~기293(11곡)
  • 월인천강지곡 기285
메뉴닫기 메뉴열기

월인천강지곡 기285


其 二百八十五
菩提 일워시 주001)
일워시:
일우+어시늘 ⇒ 일우+시+어(←거)…. 이루시거늘. ‘어…’은 현대국어 ‘-거늘’에 해당하는 말인데, 중세어에서는 불연속어미로 ‘어…늘’ 사이에 ‘-시-’가 들어가 ‘-어시늘’이 된 것임.
十六 아님 주002)
아님:
아드님. 15세기 국어에는 ‘아+님’의 결합에서와 같이 ‘ㄹ-ㄴ’이 이어져도 ‘ㄹ’이 탈락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참고〉 님[석보 11:25][석보 11:40].
나오샤 주003)
나오샤:
나오+시+아. 나아오시어. 나아오셔서.
轉法을 請시니
光明이 비취시니 주004)
비취시니:
비취+시+니. 비치시니.
十方 梵天히 다 모다 주005)
모다:
모여. 중세어에서 ‘모다’는 두 가지 뜻이 있다. ① ‘몯다’라는 동사의 활용형으로(몯+아) ‘모여’라는 뜻임. ② ‘모두’라는 뜻을 지닌 부사임.
供養 주006)
공양(供養)니:
공양++니. 공양하니.

월인석보 14:2ㄴ

니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기 이백팔십오
보리를 이루시거늘 열여섯 아드님이 나아오셔서 설법을 청하시니라.
광명이 비치시니 시방 범천들이 다 모여 와 공양하니라.
Ⓒ 역자 | 조규태 / 2010년 9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일워시:일우+어시늘 ⇒ 일우+시+어(←거)…. 이루시거늘. ‘어…’은 현대국어 ‘-거늘’에 해당하는 말인데, 중세어에서는 불연속어미로 ‘어…늘’ 사이에 ‘-시-’가 들어가 ‘-어시늘’이 된 것임.
주002)
아님:아드님. 15세기 국어에는 ‘아+님’의 결합에서와 같이 ‘ㄹ-ㄴ’이 이어져도 ‘ㄹ’이 탈락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참고〉 님[석보 11:25][석보 11:40].
주003)
나오샤:나오+시+아. 나아오시어. 나아오셔서.
주004)
비취시니:비취+시+니. 비치시니.
주005)
모다:모여. 중세어에서 ‘모다’는 두 가지 뜻이 있다. ① ‘몯다’라는 동사의 활용형으로(몯+아) ‘모여’라는 뜻임. ② ‘모두’라는 뜻을 지닌 부사임.
주006)
공양(供養)니:공양++니. 공양하니.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