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4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4
  • 월인천강지곡 기283~기293(11곡)
  • 월인천강지곡 기283
메뉴닫기 메뉴열기

월인천강지곡 기283


其 二百八十三
디나건 주001)
디나건:
디나+거+ㄴ. 지난. 선어말어미 ‘-거-’는 확인을 나타내는 것으로, 현대국어에서 어말어미 앞에 오는 ‘것’의 옛 어형임. (보기) 했것다.
無量劫에 大通智勝佛이 道場애 안잿더시니 주002)
안잿더시니:
앉+아#잇+더+시+니. 앉아 있으시더니. 15세기에는 선어말어미 ‘더’가 ‘시’ 앞에 오는 게 일반적이었다.
-니 : ‘안잿더시니’는 문맥으로 보아 ‘안잿더시니다’가 줄어진 말이다. 말의 가락을 살리기 위하여 ‘-다’를 생략하여, ‘-니’가 종결어미처럼 쓰이고 있다. 용비어천가나 월인천강지곡에는 이처럼 말의 가락을 살리기 위하여 ‘-니, -리’ 뒤에 오는 말을 생략하여 선어말어미 ‘-니-, -리-’가 종결어미처럼 쓰이기도 하였다. 그리고 ‘-리’는 반말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기도 하였다. ¶너희들히 如來ㅅ 秘密神通力을 仔細히 드르리〈월석 17:3〉, 므스게 시리〈월석 1:10〉.
주003)
:
① 때. ② 때의.
梵天王四王 諸

월인석보 14:1ㄴ

華樂로 주004)
화락(華樂)로:
화락+로. 매우 즐거이. 화(華)는 화려하다, 락(樂)은 ‘즐기다’는 뜻이니, 화락은 ‘매우 즐기다’는 뜻이고, ‘화락로’는 부사어로 ‘매우 즐거이’라는 뜻이다.
供養니 주005)
공양(供養)니:
공양++니. 공양하니. ‘’은 객체높임의 선어말어미 ‘’의 이형태임. 서술어 ‘공양니’의 행위가 미치는 대상이 ‘대통지승불’이므로 객체(=행위가 미치는 대상)인 ‘대통지승불’을 높이기 위해 객체높임의 선어말어미 ‘’이 들어가 있음.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기 이백팔십삼
지나간 헤아릴 수 없는 아득한 시대에 대통지승불이 도량에 앉아 있으시더니라.
그때 범천왕사천왕이 매우 즐거이 공양하니라.
Ⓒ 역자 | 조규태 / 2010년 9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디나건:디나+거+ㄴ. 지난. 선어말어미 ‘-거-’는 확인을 나타내는 것으로, 현대국어에서 어말어미 앞에 오는 ‘것’의 옛 어형임. (보기) 했것다.
주002)
안잿더시니:앉+아#잇+더+시+니. 앉아 있으시더니. 15세기에는 선어말어미 ‘더’가 ‘시’ 앞에 오는 게 일반적이었다.
-니 : ‘안잿더시니’는 문맥으로 보아 ‘안잿더시니다’가 줄어진 말이다. 말의 가락을 살리기 위하여 ‘-다’를 생략하여, ‘-니’가 종결어미처럼 쓰이고 있다. 용비어천가나 월인천강지곡에는 이처럼 말의 가락을 살리기 위하여 ‘-니, -리’ 뒤에 오는 말을 생략하여 선어말어미 ‘-니-, -리-’가 종결어미처럼 쓰이기도 하였다. 그리고 ‘-리’는 반말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기도 하였다. ¶너희들히 如來ㅅ 秘密神通力을 仔細히 드르리〈월석 17:3〉, 므스게 시리〈월석 1:10〉.
주003)
:① 때. ② 때의.
주004)
화락(華樂)로:화락+로. 매우 즐거이. 화(華)는 화려하다, 락(樂)은 ‘즐기다’는 뜻이니, 화락은 ‘매우 즐기다’는 뜻이고, ‘화락로’는 부사어로 ‘매우 즐거이’라는 뜻이다.
주005)
공양(供養)니:공양++니. 공양하니. ‘’은 객체높임의 선어말어미 ‘’의 이형태임. 서술어 ‘공양니’의 행위가 미치는 대상이 ‘대통지승불’이므로 객체(=행위가 미치는 대상)인 ‘대통지승불’을 높이기 위해 객체높임의 선어말어미 ‘’이 들어가 있음.
책목차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