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4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4
  • 과거불인 대통지승여래의 법화경 설법 인연
  • 과거불인 대통지승여래의 법화경 설법 인연 17
메뉴닫기 메뉴열기

과거불인 대통지승여래의 법화경 설법 인연 17


[과거불인 대통지승여래의 법화경 설법 인연 17]
沙門 婆羅門이어나 天魔梵이어나 녀나 世間 能히 轉티 몯 배니【이히 能히 正히 證티 몯면 비록 轉야도 말매 걸 주001)
걸:
걸이+ㅭ. 걸릴.
 니시니라】
니샤 이 주002)
고(苦):
① 4제(諦)의 하나. → 고제(苦諦). ② 범어 dukha. 팔리어 dukkha. 두카(豆佉)·납카(納佉)·낙카(諾佉)라 음역함. 압박이나 괴로움을 당해 심신(心身)이 불안한 상태. 심신에 적합하지 않은 상황이나 대상을 대할 때 생기게 되는 괴로운 느낌. 이 말의 의미는 매우 포괄적이다. ‘생각한 대로 되지 않음’이라는 사소한 괴로움으로부터 가장 두려운 고통에 이르기까지 육체적이거나 정신적인 고통, 어려움, 불행, 절망 등 불유쾌한 모든 것을 가리킨다. 2고·3고·4고·5고·8고 등의 종류가 있음. 〈영역〉 suffering ; pain.
ㅣ며 이 苦集 주003)
고집(苦集):
4제 가운데 고제(苦諦)와 집제(集諦). 곧 미계(迷界)의 인과를 말함.
고제(苦諦) : 범어 Duḥkha-satya. 3계(界)에서 생사하는 과보는 고(苦)이고, 안락할 수는 없다는 것이 절대의 진리이므로 고제라 함. 〈영역〉 the truth of suffering.
집제(集諦) : 불교의 근본 진리인 4성제의 하나. 고통의 원인은 만족할 줄 모르는 욕망, 즉 갈애(渴愛)라고 하는 진리이다. 〈영역〉 greed. the truth of origin of suffering.
갈애(渴愛) : 욕망, 또는 욕망을 추구하는 것. 중생이 5욕(欲)에 집착하는 것이 마치 목마른 이가 물을 갈구하는 것과 같기 때문에 갈애라 함. 〈영역〉 desire, greed.
이며 苦滅이며 이 苦

월인석보 14:33ㄱ

滅道ㅣ며【轉샨 相이 곧 四諦 주004)
사제(四諦):
네 가지의 성스러운 진리로서 불교의 근본 진리. 석가모니가 깨달은 진리로서, 고통과 고통의 원인, 고통의 소멸과 고통을 없애는 여덟 가지의 길을 말한다. 고(苦), 집(集), 멸(滅), 도(道), 네 가지로 요약된다. 제1 고제(苦諦)란 미혹의 세계는 모든 것이 고통이라고 하는 진리이다. 제2 집제(集諦)란 고통의 원인은 만족할 줄 모르는 욕망, 즉 갈애(渴愛)라고 하는 진리이다. 제3 멸제(滅諦)란 갈애를 없앤 상태가 구극의 이상 상태라고 하는 진리이다. 제4 도제(道諦)란 구극의 이상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여덟 가지의 바른 행위 즉 8정도(正道)를 따라야 한다는 진리이다. 〈영역〉 the four truths.
法인  뵈시니 다 苦ㅣ라 니샤 四諦苦 因야 닐어 苦滅 道 삼논 주005)
삼논:
삼++오+ㄴ. 삼는.
젼라 주006)
젼라:
젼+이+라. 까닭이다.
生老病死 等 여들비 알 現야 다와다 주007)
다와다:
다왇+아. 닥쳐.
셜씨 주008)
셜씨:
셟+#+이. 괴로운 것이.
苦ㅣ오 煩惱結業 주009)
결업(結業):
결(結)은 번뇌의 다른 이름. 번뇌는 여러 가지 악업을 내므로 결업이라고 함.
이 未來옛 八苦 주010)
팔고(八苦):
중생들이 받는 여덟 가지 고통. (1) 생고(生苦). (2) 노고(老苦). (3) 병고(病苦). (4) 사고(死苦). (5) 애별리고(愛別離苦). (6) 원증회고(怨憎會苦). (7) 구부득고(求不得苦). (8) 5음성고(五陰盛苦). 〈영역〉 the eight sufferings.
 블러 닐윌씨 集이니 이 三世 주011)
삼세(三世):
범어 Trayo-dhvanaḥ. 과거·현재·미래. 또는 전세(前世)·현세(現世)·내세(來世), 전제(前際)·중제(中際)·후제(後際). 세(世)는 격별(隔別)·천류(遷流)의 뜻이니, 현상계의 사물은 잠깐도 정지하지 않고, 생기면 반드시 멸한다. 이 사물이 변하는 위에 3세를 가(假)로 세운 것. 곧 불교에서는 인도철학의 방(方) 논사(論師)와 같이, 시간의 실체를 인정하지 않고, 법(法)이란 위에 세운 것. (1) 현재. 어떤 법이 생겨서 지금 작용하고 있는 동안. (2) 과거. 법이 멸했거나 또 그 작용을 그친 것. (3) 미래. 법이 아직 나지 않고, 작용을 하지 않는 것. 〈영역〉 three periods ;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 通니 過去集이 現在苦 닐위오 주012)
닐위오:
닐위+오(←고). 일으키고.
現在集이 未來苦 닐위요 주013)
닐위요:
닐위+옴+. 일으킴을.
니니라 結業이 다면 生死八苦ㅣ 기리 다 주014)
다:
다+ㄹ. 다하므로.
滅이라 고 結業을 다 딘

월인석보 14:33ㄴ

주015)
딘댄:
이+#딘댄(←오+ㅭ#+이+ㄴ댄). 살라지게 할 것 같으면. 없앨 것 같으면.
三十七道品 주016)
삼십칠도품(三十七道品):
깨달음을 얻기 위해서 수행하는 37가지의 방법. 4염처(念處), 4정근(正勤), 4여의족(如意足), 5근(根), 5역(力), 7각지(覺支), 8정도(正道) 등의 일곱 부류의 각각을 총합한 것. 〈영역〉 the thirty-seven paths to enlightenment.
닷 주017)
닷:
+. 닦을 것이므로.
道ㅣ라 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과거불인 대통지승여래의 법화경 설법 인연 17]
사문, 바라문이거나, 하늘신, 마군, 범천이거나 그 밖의 세간에 〈있는 누구에게도〉 능히 설교하지 못할 바이니,【이들이 능히 바르게 깨닫지 못하므로 비록 설교하여도 말씀에 걸리는 것을 이르신 것이다.】 말씀하셨다. ‘이(이것은) 고
(苦, 괴로움)
이며, 고의 원인〔集〕이며, 고의 없어짐〔滅〕이며, 고를 없애는 길〔道〕이다.’【설교하신 것이 곧 4제법인 것을 보이시니, 다 고라고 말씀하심은 4제의 고를 원인으로 하여 고를 없앨 도를 삼는 까닭이다. 생로병사 등 여덟이 앞에 나타나 닥쳐 괴로운 것이 고이고, 번뇌 결업에 매달려 미래에 8고를 불러일으키는 것이 집이니, 이는 3세
(三世, 과거·현재·미래)
를 통하니, 과거의 집이 현재의 고를 일으키고, 현재의 집이 미래의 고를 일으킴을 말한 것이다. 결업이 다하면 생사 8고(八苦)가 영원히 다하므로 멸이라 하고, 결업을 없앨 것 같으면 37도품(道品) 주018)
도품(道品):
또는 도분(道分)·보리분법(菩提分法). 도(道)의 품류(品類). 열반의 이상경(理想境)에 이르는 여러 가지 수행법. 여기에 4념처(念處)·4정근(正勤)·4여의족(如意足)·5근(根)·5력(力)·7각지(覺支)·8정도(正道)의 37종이 있다. 〈영역〉 paths to enlightenment.
을 닦을 것이므로 도라고 한 것이다.】
Ⓒ 역자 | 조규태 / 2010년 9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걸:걸이+ㅭ. 걸릴.
주002)
고(苦):① 4제(諦)의 하나. → 고제(苦諦). ② 범어 dukha. 팔리어 dukkha. 두카(豆佉)·납카(納佉)·낙카(諾佉)라 음역함. 압박이나 괴로움을 당해 심신(心身)이 불안한 상태. 심신에 적합하지 않은 상황이나 대상을 대할 때 생기게 되는 괴로운 느낌. 이 말의 의미는 매우 포괄적이다. ‘생각한 대로 되지 않음’이라는 사소한 괴로움으로부터 가장 두려운 고통에 이르기까지 육체적이거나 정신적인 고통, 어려움, 불행, 절망 등 불유쾌한 모든 것을 가리킨다. 2고·3고·4고·5고·8고 등의 종류가 있음. 〈영역〉 suffering ; pain.
주003)
고집(苦集):4제 가운데 고제(苦諦)와 집제(集諦). 곧 미계(迷界)의 인과를 말함.
고제(苦諦) : 범어 Duḥkha-satya. 3계(界)에서 생사하는 과보는 고(苦)이고, 안락할 수는 없다는 것이 절대의 진리이므로 고제라 함. 〈영역〉 the truth of suffering.
집제(集諦) : 불교의 근본 진리인 4성제의 하나. 고통의 원인은 만족할 줄 모르는 욕망, 즉 갈애(渴愛)라고 하는 진리이다. 〈영역〉 greed. the truth of origin of suffering.
갈애(渴愛) : 욕망, 또는 욕망을 추구하는 것. 중생이 5욕(欲)에 집착하는 것이 마치 목마른 이가 물을 갈구하는 것과 같기 때문에 갈애라 함. 〈영역〉 desire, greed.
주004)
사제(四諦):네 가지의 성스러운 진리로서 불교의 근본 진리. 석가모니가 깨달은 진리로서, 고통과 고통의 원인, 고통의 소멸과 고통을 없애는 여덟 가지의 길을 말한다. 고(苦), 집(集), 멸(滅), 도(道), 네 가지로 요약된다. 제1 고제(苦諦)란 미혹의 세계는 모든 것이 고통이라고 하는 진리이다. 제2 집제(集諦)란 고통의 원인은 만족할 줄 모르는 욕망, 즉 갈애(渴愛)라고 하는 진리이다. 제3 멸제(滅諦)란 갈애를 없앤 상태가 구극의 이상 상태라고 하는 진리이다. 제4 도제(道諦)란 구극의 이상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여덟 가지의 바른 행위 즉 8정도(正道)를 따라야 한다는 진리이다. 〈영역〉 the four truths.
주005)
삼논:삼++오+ㄴ. 삼는.
주006)
젼라:젼+이+라. 까닭이다.
주007)
다와다:다왇+아. 닥쳐.
주008)
셜씨:셟+#+이. 괴로운 것이.
주009)
결업(結業):결(結)은 번뇌의 다른 이름. 번뇌는 여러 가지 악업을 내므로 결업이라고 함.
주010)
팔고(八苦):중생들이 받는 여덟 가지 고통. (1) 생고(生苦). (2) 노고(老苦). (3) 병고(病苦). (4) 사고(死苦). (5) 애별리고(愛別離苦). (6) 원증회고(怨憎會苦). (7) 구부득고(求不得苦). (8) 5음성고(五陰盛苦). 〈영역〉 the eight sufferings.
주011)
삼세(三世):범어 Trayo-dhvanaḥ. 과거·현재·미래. 또는 전세(前世)·현세(現世)·내세(來世), 전제(前際)·중제(中際)·후제(後際). 세(世)는 격별(隔別)·천류(遷流)의 뜻이니, 현상계의 사물은 잠깐도 정지하지 않고, 생기면 반드시 멸한다. 이 사물이 변하는 위에 3세를 가(假)로 세운 것. 곧 불교에서는 인도철학의 방(方) 논사(論師)와 같이, 시간의 실체를 인정하지 않고, 법(法)이란 위에 세운 것. (1) 현재. 어떤 법이 생겨서 지금 작용하고 있는 동안. (2) 과거. 법이 멸했거나 또 그 작용을 그친 것. (3) 미래. 법이 아직 나지 않고, 작용을 하지 않는 것. 〈영역〉 three periods ;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주012)
닐위오:닐위+오(←고). 일으키고.
주013)
닐위요:닐위+옴+. 일으킴을.
주014)
다:다+ㄹ. 다하므로.
주015)
딘댄:이+#딘댄(←오+ㅭ#+이+ㄴ댄). 살라지게 할 것 같으면. 없앨 것 같으면.
주016)
삼십칠도품(三十七道品):깨달음을 얻기 위해서 수행하는 37가지의 방법. 4염처(念處), 4정근(正勤), 4여의족(如意足), 5근(根), 5역(力), 7각지(覺支), 8정도(正道) 등의 일곱 부류의 각각을 총합한 것. 〈영역〉 the thirty-seven paths to enlightenment.
주017)
닷:+. 닦을 것이므로.
주018)
도품(道品):또는 도분(道分)·보리분법(菩提分法). 도(道)의 품류(品類). 열반의 이상경(理想境)에 이르는 여러 가지 수행법. 여기에 4념처(念處)·4정근(正勤)·4여의족(如意足)·5근(根)·5력(力)·7각지(覺支)·8정도(正道)의 37종이 있다. 〈영역〉 paths to enlightenment.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