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4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4집 상1의2
  • 1. 문수사리보살장(文殊師利菩薩章) ②
  • 4-1) 핵심을 대답하심
  • 4-2) 어디에서 잘못이 생겼나 8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어디에서 잘못이 생겼나 8


【경】 倒호미

倒호미

거꾸러짐이

【종밀주석】 皆覺合塵이라 倒 有所執이오 顚은 但荒狂이니 由顚故로 倒니 如由迷自故로 認他也

원각경언해 상1의2:135ㄴ

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覺 背叛고 塵에 어울 주001)
어울:
합해질. 어울-[合]+ㄹ(관형사형어미).
시라 주002)
시라:
것이라. (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
倒 자 주003)
곧:
곳. 것.
이쇼미오 주004)
이쇼미오:
있음이고. 이시-[有]+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고/오. 연결어미 ‘-고’가 /ㄱ/ 약화를 거쳐 ‘-오’로 교체된 것. /ㄱ/은 서술격 조사와 /ㄹ/ 및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 되어 ‘ㅇ’으로 표기됨. /ㄱ/이 약화된 ‘ㅇ’은 유성성문(후두)마찰음 [ɦ]을 표기한 것.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거나, 모음 /ㅣ/의 영향을 입어 ‘요’로 변화하지 않는다.
顚은 오직 어즐야 주005)
어즐야:
어지러워. 어즐+-+아/야.
미츄미니 주006)
미츄미니:
미침이니. 미치-[狂]+옴/움(명사형어미)+이+니.
顚 브튼 주007)
브튼:
말미암은. 븥-+은.
젼로 倒니 주008)
저:
자기 자신.
를 迷호 브튼 주009)
브튼:
말미암은. 븥-+은(관형사형어미).
젼로 주010)
:
남. 타인.
아롬 주011)
아롬:
앎. 아는 것.
니라 주012)
니라:
같으니라. +-+니+라. 어간이 ‘/-’으로 나타기도 함. ‘-’는 ‘(부사)’에 ‘-’가 붙어 형성된 형용사인데, ‘니(+-+니)’와 같은 활용형에 대한 오분석의 결과 새로운 어간 ‘-’이 형성되었다. 이 ‘-’은 음절말에서는 8종성표기법에 의해 ‘-’으로 적힌다.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각을 배반하고 진에 합해지는 것이다. 도는 잡은 곳이 있음이고, 전은 오직 어지러워 미침이니, 전을 말미암은 까닭으로 넘어지니 자기 자신을 잃어버림을 말미암은 까닭으로 남을 알게 되는 것과 같으니라.
Ⓒ 역자 | 이유기 / 2005년 5월 1일

주석
주001)
어울:합해질. 어울-[合]+ㄹ(관형사형어미).
주002)
시라:것이라. (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
주003)
곧:곳. 것.
주004)
이쇼미오:있음이고. 이시-[有]+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고/오. 연결어미 ‘-고’가 /ㄱ/ 약화를 거쳐 ‘-오’로 교체된 것. /ㄱ/은 서술격 조사와 /ㄹ/ 및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 되어 ‘ㅇ’으로 표기됨. /ㄱ/이 약화된 ‘ㅇ’은 유성성문(후두)마찰음 [ɦ]을 표기한 것.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거나, 모음 /ㅣ/의 영향을 입어 ‘요’로 변화하지 않는다.
주005)
어즐야:어지러워. 어즐+-+아/야.
주006)
미츄미니:미침이니. 미치-[狂]+옴/움(명사형어미)+이+니.
주007)
브튼:말미암은. 븥-+은.
주008)
저:자기 자신.
주009)
브튼:말미암은. 븥-+은(관형사형어미).
주010)
:남. 타인.
주011)
아롬:앎. 아는 것.
주012)
니라:같으니라. +-+니+라. 어간이 ‘/-’으로 나타기도 함. ‘-’는 ‘(부사)’에 ‘-’가 붙어 형성된 형용사인데, ‘니(+-+니)’와 같은 활용형에 대한 오분석의 결과 새로운 어간 ‘-’이 형성되었다. 이 ‘-’은 음절말에서는 8종성표기법에 의해 ‘-’으로 적힌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