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4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4집 상1의2
  • 1. 문수사리보살장(文殊師利菩薩章) ②
  • 5. 게송으로 요약하심
  • 5. 게송으로 요약하심 2
메뉴닫기 메뉴열기

5. 게송으로 요약하심 2


【종밀주석】 二 正陳이니 然이나 此叚中엣 五偈ㅣ 但重諷長行이오 更無別義故로 如次히 依前四叚야 科之노니 但經文이 增減故로 科叚名이 亦小殊니라 四者 一은 諷了悟本覺이오

둘흔 正히 펴샤미니 주001)
펴샤미니:
펼치심이니. 펴-[陳]+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옴/움(명사형어미)+이+니.
그러나 이 段中엣 다 주002)
게(偈):
‘偈’의 말음인 음절부음 [j] 뒤에서 주격 조사가 외현되지 않은 것.
오직 長行 다시 諷샤미오 외 주003)
외:
다시. ‘외-[거듭하다]+아(어말어미)’가 부사로 굳어진 것. 한편 동사 ‘외-’에서 영파생된 ‘외’도 부사로 쓰인다.
다  업슬 次第다이 주004)
다이:
-와, 같이. ‘-답(형용사파생접미사)+이(부사파생접미사)’가 보조사로 굳어진 것. ㅂ 불규칙활용. 종래의 사전에서는 ‘-답-’을 보조형용사로 처리하기도 하고, ‘-다이’를 접미사로 간주하기도 하였으나, 체언에 바로 붙는 ‘답-’을 보조형용사로 보기 어렵고, ‘-다이’의 분포가 상당히 넓은 사실로 보아 접미사로 보기도 어렵다. -다〉-다이.
알 네 段 브터 주005)
브터:
-으로, 말미암아. -에 의지하여. ‘븥-[附]+어’가 관용화하여 어떤 동작이나 사건의 출발점을 표시함. 현대 국어 ‘-로부터’도 이와 같다.
노니 주006)
노니:
하노니. -++오/우+니. 여기의 ‘-오/우-’는 화자 주어와 호응하는 선어말어미.
오직 經文이 科더으며 주007)
더으며:
더하며. 더으-[加]+며.
덜 주008)
덜:
덜어내므로. 덜-[減]+ㄹ. ‘-ㄹ’는 이전 시기에 ‘-ㄹ’로 적혔으나, 이 책에서부터 각자병서를 폐지함에 따라 ‘-ㄹ’로 적힘.
科段 일후미 

원각경언해 상1의2:191ㄱ

주009)
져기:
약간. 젹-[少]+이(부사파생접미사).
다니라 네흔 주010)
네흔:
넷은. 넿(四. ㅎ 종성체언).
나 本覺 아로 주011)
아로:
앎을. 알-[知]+옴/움(명사형어미)+.
샤미오 주012)
샤미오:
-하심이고. -+샤+옴(명사형어미)+이+고. ‘-샤-’는 모음 앞에 쓰이는 주체존대 선어말어미. 연결어미 ‘-고’가 /ㄱ/ 약화를 거쳐 ‘-오’로 교체된 것. /ㄱ/은 서술격 조사와 /ㄹ/ 및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 되어 ‘ㅇ’으로 표기됨. /ㄱ/이 약화된 ‘ㅇ’은 유성성문(후두)마찰음 [ɦ]을 표기한 것.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거나, 모음 /ㅣ/의 영향을 입어 ‘요’로 변화하지 않는다.

둘은 바로 펼치심이니, 그러나 이 문단(文段) 중의 다섯 게(偈)가 오직 장행(長行)을 다시 비유하신 것이고, 다시 다른 뜻이 없으므로 차례와 같이 앞의 네 문단에 의지하여 분류하노니, 오직 경전의 글이 더하기도 하고 덜어내기도 하므로 과단(科段)의 이름이 또 약간 다르니라. 넷은 하나는 본각(本覺)을 앎을 비유하심이고,

【경】 文殊아 汝ㅣ 當知라 一切諸如來ㅣ 從於本因地야 皆以智慧로 覺니

文殊 주013)
아:
-아/야. 호격 조사. 중세 국어에서도 모음으로 끝난 체언 뒤에서 호격 조사 ‘-야’가 쓰이기도 했는데, 여기서는 ‘-아’가 쓰임.
주014)
네:
네가. ‘네’는 주격형과 관형격형으로 두루 쓰이는데, 성조에 의해 구별된다. ‘:네’(상성)는 주격형이고, ‘네’(평성)는 관형격형이다.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이처럼 성조에 의해 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제(주격), 제(관형격).
반기 주015)
반기:
반드시. 반(불규칙적 어근)+이(부사파생접미사).
알라 주016)
알라:
알아라. 현대 국어에서는 ‘-아라/어라’와 달리 ‘-(으)라’는 간접인용문에 쓰여 구별되나, 원문의 ‘當知라’가 ‘반기 알라’로 번역된 것으로 보아, 중세 국어에서는 차이가 없이 쓰인 것으로 보인다.
一切 諸 如來ㅣ 本來ㅅ 因地 주017)
인지(因地):
성불하려고 수행하는 지위.
 브터 다 智慧로 아니

문수(文殊)야, 너는 반드시 알아라. 일체 모든 여래가 본래의 인지(因地)를 말미암아 다 지혜로 아나니,

【종밀주석】 義不異前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디 주018)
디:
뜻이. +이.
알 주019)
알:
앞과. 앒+(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다.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여기의 ‘-’는 이른바 비교부사격 조사로 규정할 수 있으나, 의미적으로 볼 때 비교부사격은 ‘비교의 대상이 갖는 [처소]’를 의미하는 것이므로 넓은 의미에서는 [처소]에 포함될 수 있다.
다디 아니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뜻이 앞과 다르지 아니하니라.
Ⓒ 역자 | 이유기 / 2005년 5월 1일

주석
주001)
펴샤미니:펼치심이니. 펴-[陳]+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옴/움(명사형어미)+이+니.
주002)
게(偈):‘偈’의 말음인 음절부음 [j] 뒤에서 주격 조사가 외현되지 않은 것.
주003)
외:다시. ‘외-[거듭하다]+아(어말어미)’가 부사로 굳어진 것. 한편 동사 ‘외-’에서 영파생된 ‘외’도 부사로 쓰인다.
주004)
다이:-와, 같이. ‘-답(형용사파생접미사)+이(부사파생접미사)’가 보조사로 굳어진 것. ㅂ 불규칙활용. 종래의 사전에서는 ‘-답-’을 보조형용사로 처리하기도 하고, ‘-다이’를 접미사로 간주하기도 하였으나, 체언에 바로 붙는 ‘답-’을 보조형용사로 보기 어렵고, ‘-다이’의 분포가 상당히 넓은 사실로 보아 접미사로 보기도 어렵다. -다〉-다이.
주005)
브터:-으로, 말미암아. -에 의지하여. ‘븥-[附]+어’가 관용화하여 어떤 동작이나 사건의 출발점을 표시함. 현대 국어 ‘-로부터’도 이와 같다.
주006)
노니:하노니. -++오/우+니. 여기의 ‘-오/우-’는 화자 주어와 호응하는 선어말어미.
주007)
더으며:더하며. 더으-[加]+며.
주008)
덜:덜어내므로. 덜-[減]+ㄹ. ‘-ㄹ’는 이전 시기에 ‘-ㄹ’로 적혔으나, 이 책에서부터 각자병서를 폐지함에 따라 ‘-ㄹ’로 적힘.
주009)
져기:약간. 젹-[少]+이(부사파생접미사).
주010)
네흔:넷은. 넿(四. ㅎ 종성체언).
주011)
아로:앎을. 알-[知]+옴/움(명사형어미)+.
주012)
샤미오:-하심이고. -+샤+옴(명사형어미)+이+고. ‘-샤-’는 모음 앞에 쓰이는 주체존대 선어말어미. 연결어미 ‘-고’가 /ㄱ/ 약화를 거쳐 ‘-오’로 교체된 것. /ㄱ/은 서술격 조사와 /ㄹ/ 및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 되어 ‘ㅇ’으로 표기됨. /ㄱ/이 약화된 ‘ㅇ’은 유성성문(후두)마찰음 [ɦ]을 표기한 것.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거나, 모음 /ㅣ/의 영향을 입어 ‘요’로 변화하지 않는다.
주013)
아:-아/야. 호격 조사. 중세 국어에서도 모음으로 끝난 체언 뒤에서 호격 조사 ‘-야’가 쓰이기도 했는데, 여기서는 ‘-아’가 쓰임.
주014)
네:네가. ‘네’는 주격형과 관형격형으로 두루 쓰이는데, 성조에 의해 구별된다. ‘:네’(상성)는 주격형이고, ‘네’(평성)는 관형격형이다.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이처럼 성조에 의해 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제(주격), 제(관형격).
주015)
반기:반드시. 반(불규칙적 어근)+이(부사파생접미사).
주016)
알라:알아라. 현대 국어에서는 ‘-아라/어라’와 달리 ‘-(으)라’는 간접인용문에 쓰여 구별되나, 원문의 ‘當知라’가 ‘반기 알라’로 번역된 것으로 보아, 중세 국어에서는 차이가 없이 쓰인 것으로 보인다.
주017)
인지(因地):성불하려고 수행하는 지위.
주018)
디:뜻이. +이.
주019)
알:앞과. 앒+(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다.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여기의 ‘-’는 이른바 비교부사격 조사로 규정할 수 있으나, 의미적으로 볼 때 비교부사격은 ‘비교의 대상이 갖는 [처소]’를 의미하는 것이므로 넓은 의미에서는 [처소]에 포함될 수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