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4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4집 상1의2
  • 1. 문수사리보살장(文殊師利菩薩章) ②
  • 4-1) 핵심을 대답하심
  • 4-1) 핵심을 대답하심 20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핵심을 대답하심 20


【경】 永斷無明야

無明 주001)
무명(無明):
불법의 진리를 알지 못하는 상태.
을 永히 그처 주002)
그처:
끊어야. 긏-[斷]어(연결어미)+. ‘-’는 강조 또는 단독의 보조사로서, 체언, 조사, 어말어미 뒤에 두루 통합할 수 있음.

무명을 길이 끊어야

【종밀주석】

원각경언해 상1의2:127ㄱ

本覺이 旣顯코 無明이 本無야 畢竟不生이 名爲永斷이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本覺 주003)
본각(本覺):
우주 법계의 본체인 진여(眞如)의 이체(理體). 이에 대하여 ‘시각(始覺)’은 수행의 공에 의해 깨달은 각. ‘구경각(究竟覺)’은 무명(無明)의 번뇌를 완전히 없애고 본각(本覺)의 이치를 체득한 경지.
이 마 낟고 주004)
낟고:
나타나고. 낱-[顯]+고. ‘낱- → 낟-’은 8종성표기법에 따른 것. ‘낟-’과 ‘낱-’이 다 [現]을 뜻하는 동사로 쓰였으나, 이 책에서는 ‘낟-’이 확인되지 않는다.
無明이 本來 업서 내 주005)
내:
마침내. -+(부사파생접미사)+내. ‘-내’는 보조사로 보인다.
나디 주006)
나디:
나지. 나-+디(보조적 연결어미). 현대 국어의 보조적 연결어미 ‘-지’는 여기에 쓰인 ‘-디’에서 발달한 것이고, 종결어미 ‘-지’는 ‘-디’에서 발달한 것이다. ‘-디’는 선행절을 강조하면서, 부정적인 내용의 후행절과 접속시키는 연결어미.
아니호미 일후미 永히 그추미라 주007)
그추미라:
끊어짐이다. 긏-[斷]+움+이+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본각이 이미 나타나고 무명이 본래 없어 마침내 나지[生] 아니함이 이름이 길이 끊어짐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5년 5월 1일

주석
주001)
무명(無明):불법의 진리를 알지 못하는 상태.
주002)
그처:끊어야. 긏-[斷]어(연결어미)+. ‘-’는 강조 또는 단독의 보조사로서, 체언, 조사, 어말어미 뒤에 두루 통합할 수 있음.
주003)
본각(本覺):우주 법계의 본체인 진여(眞如)의 이체(理體). 이에 대하여 ‘시각(始覺)’은 수행의 공에 의해 깨달은 각. ‘구경각(究竟覺)’은 무명(無明)의 번뇌를 완전히 없애고 본각(本覺)의 이치를 체득한 경지.
주004)
낟고:나타나고. 낱-[顯]+고. ‘낱- → 낟-’은 8종성표기법에 따른 것. ‘낟-’과 ‘낱-’이 다 [現]을 뜻하는 동사로 쓰였으나, 이 책에서는 ‘낟-’이 확인되지 않는다.
주005)
내:마침내. -+(부사파생접미사)+내. ‘-내’는 보조사로 보인다.
주006)
나디:나지. 나-+디(보조적 연결어미). 현대 국어의 보조적 연결어미 ‘-지’는 여기에 쓰인 ‘-디’에서 발달한 것이고, 종결어미 ‘-지’는 ‘-디’에서 발달한 것이다. ‘-디’는 선행절을 강조하면서, 부정적인 내용의 후행절과 접속시키는 연결어미.
주007)
그추미라:끊어짐이다. 긏-[斷]+움+이+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