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4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4집 상1의2
  • 1. 문수사리보살장(文殊師利菩薩章) ②
  • 4-1) 핵심을 대답하심
  • 4-3) 잘못을 고쳐주심 4
메뉴닫기 메뉴열기

4-3) 잘못을 고쳐주심 4


【경】 亦無身心이 受彼生死니

 몸과  주001)
괘:
-가. 과(접속조사)+ㅣ(주격조사).
주002)
뎌:
저. 뎌〉져〉저.
生死 受 것 업스니

또 몸과 마음이 저 생사를 받을 것이 없으니,

【종밀주석】 無生死之人也ㅣ니 謂若計有我ㅣ 是免輪廻之者ㅣ면 卽是未免我執이니 我와 我所왜 亡야 方爲觧脫이리니 卽是照五蘊空야

원각경언해 상1의2:156ㄱ

度一切厄이니 外遺世界고 內脫身心야 不計身 身同虛空고 不計心 心同法界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生死 주003)
ㅅ:
-의. 관형격 조사. ‘-ㅅ’은 관형격 조사. 관형격 조사에는 ‘-ㅅ’과 ‘-/의’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무정체언 또는 높임의 대상인 체언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사 업수미니 닐오 다가 주004)
내:
내가. ‘내’는 주격형과 관형격형으로 두루 쓰이는데, 성조에 의해 구별된다. ‘·내’(거성)는 주격형이고, ‘내’(평성)는 관형격형이다.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이처럼 성조에 의해 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제(주격), 제(관형격).
이 輪廻 免 거시 잇니라 혜면 곧 이 我執 주005)
아집(我執):
아(我)를 실재한 것으로 집착하는 소견.
免티 몯호미니 我와 我所왜 업서 주006)
업서:
없어야. 없-+어(연결어미)+(강조 보조사).
비르서 解脫이 외리니 곧 이 五蘊 주007)
오온(五蘊):
온(蘊)은 모아 쌓은 것이란 뜻으로 무릇 생멸하고 변화하는 것을 종류대로 모아서 5종으로 구별함. 색온(色蘊)과 수온(受蘊)과 상온(想蘊)과 행온(行蘊)과 식온(識薀)을 말함.
의 空 照야 一切ㅅ 厄애 건너미니 밧긔 주008)
밧긔:
밖으로는. [外]+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다.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世界 리고 안해 주009)
안해:
안으로는. 않(內. ㅎ 종성체언)+애(부사격조사).
몸과  버서 모 혜디 아니 모미 虛空 고 주010)
고:
같고. -+고. 이 어휘는 원래 ‘(부사)’에 ‘-’가 붙어 형성된 형용사 ‘-’이 ‘니(+-+니)’와 같은 활용형에 대한 오분석의 결과 새로이 형성된 것이다. 이 ‘-’은 음절말에서는 8종성표기법에 의해 ‘-’으로 적힌다.
 혜디 아니 미 法界 주011)
법계(法界):
모든 존재의 총칭. 존재의 종류, 영역, 본성 등 다양한 뜻을 지님. 인과의 이치에 지배되고 있는 범위.
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생사의 사람이 없음이니, 이르되 만일 내가 이 윤회를 벗어날 것이 있느니라고 생각하면 곧 이것은 아집을 벗어나지 못함이니, 아와 아소가 없어야 비로소 해탈이 되리니, 곧 이것이 5온의 비어 있음을 비추어 일체의 액을 건넘이니, 밖으로는 세계를 버리고 안으로는 몸과 마음을 벗어 몸을 생각하지 아니하므로 몸이 허공 같고, 마음을 헤아리지 아니하므로 마음이 법계 같으니라.
Ⓒ 역자 | 이유기 / 2005년 5월 1일

주석
주001)
괘:-가. 과(접속조사)+ㅣ(주격조사).
주002)
뎌:저. 뎌〉져〉저.
주003)
ㅅ:-의. 관형격 조사. ‘-ㅅ’은 관형격 조사. 관형격 조사에는 ‘-ㅅ’과 ‘-/의’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무정체언 또는 높임의 대상인 체언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주004)
내:내가. ‘내’는 주격형과 관형격형으로 두루 쓰이는데, 성조에 의해 구별된다. ‘·내’(거성)는 주격형이고, ‘내’(평성)는 관형격형이다.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이처럼 성조에 의해 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제(주격), 제(관형격).
주005)
아집(我執):아(我)를 실재한 것으로 집착하는 소견.
주006)
업서:없어야. 없-+어(연결어미)+(강조 보조사).
주007)
오온(五蘊):온(蘊)은 모아 쌓은 것이란 뜻으로 무릇 생멸하고 변화하는 것을 종류대로 모아서 5종으로 구별함. 색온(色蘊)과 수온(受蘊)과 상온(想蘊)과 행온(行蘊)과 식온(識薀)을 말함.
주008)
밧긔:밖으로는. [外]+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다.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주009)
안해:안으로는. 않(內. ㅎ 종성체언)+애(부사격조사).
주010)
고:같고. -+고. 이 어휘는 원래 ‘(부사)’에 ‘-’가 붙어 형성된 형용사 ‘-’이 ‘니(+-+니)’와 같은 활용형에 대한 오분석의 결과 새로이 형성된 것이다. 이 ‘-’은 음절말에서는 8종성표기법에 의해 ‘-’으로 적힌다.
주011)
법계(法界):모든 존재의 총칭. 존재의 종류, 영역, 본성 등 다양한 뜻을 지님. 인과의 이치에 지배되고 있는 범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