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 8만 4천 사리탑에 번을 달음
  • 8만 4천 사리탑에 번을 달음
메뉴닫기 메뉴열기

8만 4천 사리탑에 번을 달음


[8만 4천 사리탑에 번을 달음]
◯ 塔이 일어늘 주001)
일어늘:
일어나거늘. 섰거늘. 일-[起]+거늘/어늘. ‘거/늘’은 기원적으로 선어말어미 ‘-거-’와 연결어미 ‘-/늘’로 분석될 수 있으나 이 시기에는 ‘-거/거늘’이 하나의 형태로 고정됨. ⟶ 〈65ㄱ〉 ‘오시거늘’.
千二百 주002)
:
짠. -[織]+오/오+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03)
번(幡):
patāka. 증번(繒幡), 당번(幢幡)이라고도 함. 불, 보살의 위덕을 나타내는 장엄 도구인 깃발.
雜고 주004)
잡(雜)고:
여러 가지 꽃을. 雜+곶[花](평성, 명사)+(목적격조사).
라 을 몯 라 주005)
라:
달아. -[懸]+아/어.
이셔 王이 病야 누셔 주006)
누셔:
누어서. 눕-[臥](ㅂ불규칙). → 〈64ㄱ〉 ‘’.
닐오

월인석보 25:92ㄴ

威靈 주007)
위령(威靈):
신령의 강대(强大)한 힘.
곳 感호미 겨시거든 주008)
겨시거든:
계시면. 계신다면. 겨시-[存]+거든.
내 至極 精誠을 피쇼셔 주009)
피쇼셔:
살피십시오. 피-[省]+쇼셔(쇼셔체 명령법 종결어미). 중세국어의 종결어미체계는 ‘라’체, ‘야쎠’체, ‘쇼셔’체로 구분되는데 이에 따른 명령형어미는 ‘-라, -어쎠, -쇼셔’로 나타남.
니 塔히 다 겨틔 주010)
겨틔:
곁에. 곁[傍]+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 → 〈65ㄱ〉 ‘우희’.
버러 주011)
버러:
벌여. 늘어서. 벌-[列]+아/어.
王 굽거늘 주012)
굽거늘:
굽거늘. 구부리거늘. 굽-[屈]+거늘.
王이 손 주013)
손:
손수. 손[自](부사). 이는 ‘ㅿ’의 소실 이후 ‘손조’로 쓰이다가 현대어 ‘손수’로 바뀜. 유성 치조 마찰음 ‘ㅿ’은 ‘ㅅ’와 유성·무성 대립을 보이는 음소이나 어두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고(‘’, ‘’과 같은 의성의태어, ‘’(褥)과 같은 차용어에만 조금 있음) 대개 어중(모음과 모음, y와 모음, ㄴ·ㅁ과 모음 사이 등)에만 나타남.
幡을 니 次第로 各各 도라 가니라 王이 시드러 주014)
시드러:
시들어. 피곤해. 고달파. 시들-[萎]+아/어.
幡을 몯 니르 자바 주015)
니르자바:
일으켜 잡아. 니르-[起]#잡-[執]+아/어.
커늘 比丘히 王 도 주016)
도:
도와. 돕-[助](ㅂ불규칙)+아/어. → 〈64ㄱ〉 ‘’.
잡더니 그럴 주017)
그럴:
그러므로. 그렇기 때문에. 그럴[故](평-거-거, 부사).
이제

월인석보 25:93ㄱ

올 주018)
올:
올릴. 올이-[上](사동사)+ㅭ(관형사형 연결어미).
몬져 주019)
몬져:
먼저. 몬져[先](평-평, 명사/부사).
比丘를 잡게 니라 그리혼 다로 주020)
다로:
탓으로. 때문으로. 닷[尤]+로(부사격조사).
病이 됴하 주021)
됴하:
좋아. 좋아져. 둏-[好](상성, 동사)+아/어. 이는 상성으로 형용사와 동사에 두루 쓰인 동음어이나, 여기서는 동사로 쓰임.
열두  더 살 주022)
살:
살므로. 살-[生]+ㄹ(원인·이유의 연결어미).
일후믈 續命幡 주023)
속명번(續命幡):
목숨을 연장시킨 번.
이라 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迦葉語阿難經云) 塔成造千二百織成幡及雜華 未得懸幡 王身有疾 伏枕慷慨曰 若威靈有感 願察我至誠 諸塔並列于坐隅 俯臨王前王手自繫幡 以次而去各還其所 王體羸弊取幡不贍 有諸比丘行助王取之 故今上幡先令比丘將之也 由是病愈增算十二 故因名為續命幡

[8만 4천 사리탑에 번을 달음]
◯ 탑이 이루어지거늘 천 2백의 짠(짜서 만든) 번과 여러 가지 꽃을 만들어 번을 달지 못하고 있어서, 왕이 병들어 누어서 이르기를, “위령께서 감동함이 계신다면 나의 지극한 정성을 살피십시오.” 하니, 탑들이 다 곁에 와 늘어서 왕께 구부리니, 왕이 손수 번을 다니, 〈탑들이〉 차례로 각각 〈있던 자리로〉 돌아갔다. 왕이 시들어(피곤해) 번을 일으켜 잡지 못하거늘, 비구들이 왕을 도와 잡았더니, 그러므로 지금 번을 올릴 때, 먼저 비구에게 잡게 하는 것이다. 그리한 탓으로 병이 좋아져 열두 해를 더 살았으므로 이름을 속명번이라 하였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일어늘:일어나거늘. 섰거늘. 일-[起]+거늘/어늘. ‘거/늘’은 기원적으로 선어말어미 ‘-거-’와 연결어미 ‘-/늘’로 분석될 수 있으나 이 시기에는 ‘-거/거늘’이 하나의 형태로 고정됨. ⟶ 〈65ㄱ〉 ‘오시거늘’.
주002)
:짠. -[織]+오/오+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03)
번(幡):patāka. 증번(繒幡), 당번(幢幡)이라고도 함. 불, 보살의 위덕을 나타내는 장엄 도구인 깃발.
주004)
잡(雜)고:여러 가지 꽃을. 雜+곶[花](평성, 명사)+(목적격조사).
주005)
라:달아. -[懸]+아/어.
주006)
누셔:누어서. 눕-[臥](ㅂ불규칙). → 〈64ㄱ〉 ‘’.
주007)
위령(威靈):신령의 강대(强大)한 힘.
주008)
겨시거든:계시면. 계신다면. 겨시-[存]+거든.
주009)
피쇼셔:살피십시오. 피-[省]+쇼셔(쇼셔체 명령법 종결어미). 중세국어의 종결어미체계는 ‘라’체, ‘야쎠’체, ‘쇼셔’체로 구분되는데 이에 따른 명령형어미는 ‘-라, -어쎠, -쇼셔’로 나타남.
주010)
겨틔:곁에. 곁[傍]+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 → 〈65ㄱ〉 ‘우희’.
주011)
버러:벌여. 늘어서. 벌-[列]+아/어.
주012)
굽거늘:굽거늘. 구부리거늘. 굽-[屈]+거늘.
주013)
손:손수. 손[自](부사). 이는 ‘ㅿ’의 소실 이후 ‘손조’로 쓰이다가 현대어 ‘손수’로 바뀜. 유성 치조 마찰음 ‘ㅿ’은 ‘ㅅ’와 유성·무성 대립을 보이는 음소이나 어두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고(‘’, ‘’과 같은 의성의태어, ‘’(褥)과 같은 차용어에만 조금 있음) 대개 어중(모음과 모음, y와 모음, ㄴ·ㅁ과 모음 사이 등)에만 나타남.
주014)
시드러:시들어. 피곤해. 고달파. 시들-[萎]+아/어.
주015)
니르자바:일으켜 잡아. 니르-[起]#잡-[執]+아/어.
주016)
도:도와. 돕-[助](ㅂ불규칙)+아/어. → 〈64ㄱ〉 ‘’.
주017)
그럴:그러므로. 그렇기 때문에. 그럴[故](평-거-거, 부사).
주018)
올:올릴. 올이-[上](사동사)+ㅭ(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19)
몬져:먼저. 몬져[先](평-평, 명사/부사).
주020)
다로:탓으로. 때문으로. 닷[尤]+로(부사격조사).
주021)
됴하:좋아. 좋아져. 둏-[好](상성, 동사)+아/어. 이는 상성으로 형용사와 동사에 두루 쓰인 동음어이나, 여기서는 동사로 쓰임.
주022)
살:살므로. 살-[生]+ㄹ(원인·이유의 연결어미).
주023)
속명번(續命幡):목숨을 연장시킨 번.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