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 아육왕의 전생
  • 아육왕의 전생 2
메뉴닫기 메뉴열기

아육왕의 전생 2


[아육왕의 전생 2]
주001)
:
때에. [時]+/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 ⟶ 〈65ㄱ〉 ‘우희’.
世尊

월인석보 25:64ㄱ

우신대 주002)
우신대:
빙긋이 웃으시니. 미소지으시니. 우-[微笑](평-평-거, 동사)+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ㄴ대. 이 동사와 비슷한 ‘우-(상-거-평, 형용사)가 있는데, 뜻은 우연(偶然)-’로서 성조로 구별됨.
阿難合掌 주003)
합장(合掌):
두 손바닥을 합쳐 마음이 한결같음을 나타내는 인도 경례법의 한 가지.
야  주004)
:
사뢰되. 여쭈되. 여쭈기를. -[白](ㅂ불규칙)+오/우. 여기 종성 ‘ㅂ’이 다음에 이어지는 음운환경에 따라 ‘ㅂ/ㅸ’으로 교체되는바, 이 현상을 설명하는 방법은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ㅂ’ 종성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기본형으로 보고, 모음어미 앞에서 ‘ㅸ’ 로 변동되는 것을 이형태로 설명하는 것이고, 둘째는 ‘ㅸ’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기본형으로 잡고, 자음어미 앞에서 ‘ㅂ’으로 교체되는 것을 끝소리규칙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전자를 취하여 ㅂ불규칙으로 처리함.
世尊이 엇던 因緣으로 우시니고 주005)
우시니고:
웃으십니까? 웃으시는 것입니까? 우-[微笑]+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현재시상 선어말어미)+니(선어말어미)+(상대높임 선어말어미)+고(설명의 의문법 종결어미). 상위자를 상대한 화자의 공손한 진술을 표시하는 ‘--, --’는 설명법 종결어미 ‘-다’ 앞에서는 ‘--’로, 의문법 종결어미 ‘-가, -고’ 앞에서는 ‘--’으로, 명령법일 때는 ‘-쇼셔’로 쓰임.
世尊니샤 주006)
니샤:
이르시기를. 니-[云]+시+오. 선어말어미 ‘-시-’는 선어말어미 ‘-오/우-’ 앞에서 ‘샤’로 변동됨.
알라 주007)
알라:
알아라. 알-[知]+라(명령법 종결어미).
滅度 주008)
멸도(滅度):
멸도한. 滅度-+ㄴ(관형사형 연결어미). 멸도는 열반(涅槃, nirvāṇa)의 번역. 나고 죽는 큰 환난을 없애어 번뇌의 바다를 건넜다는 뜻임.
百年 後에 이 童子ㅣ 巴連弗邑 주009)
파련불읍(巴連弗邑):
파타리자(波陀釐子, Pāțaliputra). 중인도 마갈타국의 서울. 지금의 간지스강 남쪽 언덕에 있는 파트나시(市)가 그 옛터. 아육왕 때에는 그 광대한 영토의 중심지로 정치·종교상의 중요한 자리를 차지함.
에 一天下 거느려 轉輪王 주010)
전륜왕(轉輪王):
전륜성왕(轉輪聖王). cakravartīrāja. 세계를 지배하는 대왕. 하늘에서 윤보(輪寶)를 얻어, 이를 굴림으로써 사방을, 무력이 아닌, 위엄으로써 굴복케 하므로 전륜왕이라 이름.
외야 주011)
외야:
되어. 외-[爲]+아/어. ‘외-’는 ‘-(평-평)’〈용가 98〉의 ‘ㅸ’ 소실로 ‘외-’가 됨. 연결어미 ‘-아’는 어간 모음 ‘ㅣ〔j〕’에 동화되어 ‘-야’로 변동됨.
姓은 孔雀

월인석보 25:64ㄴ

이오 주012)
이오:
-이고. 이(서술격조사)+고/오. ‘-오’는 연결어미 ‘-고’가 ‘ㅣ’ 모음 아래서 ‘ㄱ’ 약화된 ㅇ〔ɦ〕의 표기임.
일후믄 주013)
일후믄:
이름은. 일훔[名]+은(보조조사).
阿育 주014)
아육(阿育):
Aśoka. 무우(無憂)로 번역. B.C. 2세기에 인도를 통일하고 불교를 보호한 왕.
이리니 正法 주015)
정법(正法):
부처님의 교법.
으로 다리며 주016)
다리며:
다스리며. 다리-[治]+며(연결어미).
 내 舍利 주017)
사리(舍利):
śarīra의 음역. 특히 부처님의 유골(遺骨)을 이름.
너비 주018)
너비:
널리. 넓게. 넙-[廣]+이(부사 파생접미사).
펴 八萬四千 塔을 리라 주019)
리라:
만들리라. 만들 것이다. -[造]+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라(평서법 종결어미). 서술격조사 ‘이-’와 선어말어미 ‘-오/우-, -니-, -리-, -더-, -지-’ 등 뒤에서는 종결어미 ‘-다’가 ‘-라’로 교체됨.
阿難아 이 바리옛 주020)
바리옛:
바리의. 바리[鉢]+예(처소의 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애’는 체언의 끝모음이 양성일 때, ‘-에’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음성일 때, ‘-예’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이〔i〕’나, 부모음 ‘ㅣ〔y〕’일 때 쓰임.
몰애 주021)
몰애:
모레를. 몰애[沙]+//ㄹ(목적격조사).
가져다가 如來 니 주022)
니:
다니는. 니-[行]+(현재시상 선어말어미)+(/으)ㄴ. ‘니-’는 ‘-[走]+니-[行]’의 합성동사로 ‘니-’에서 비음동화된 표기인 ‘니-’도 나타남.
해 주023)
해:
땅에. [地](ㅎ종성체언)+애(처소의 부사격조사).
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爾時世尊 發容微笑 阿難合掌白言世尊 何緣微笑 爾時世尊阿難 當知我滅度百年之後 此童子於巴連弗邑 統領一天下轉輪王孔雀阿育 正法治化 又復廣布我舍利 當造八萬四千塔 阿難取此鉢中所施之沙 捨著如來經行處 >(이상, 석가보 제5, 아육왕조팔만사천탑기 제31, 〈대정신수대장경〉 제50, 76쪽 중~하)

[아육왕의 전생 2]
그때에 세존이 빙긋이 웃으시니, 아난이 합장하여 사뢰기를, “세존이(께서) 어떤 인연으로 웃으시는 것입니까?” 세존이 이르시기를 “알아라. 내가 멸도한 백년 후에 이 동자가 파련불읍에 〈나서〉 한 천하를 거느려 전륜왕이 되어 성은 공작이고 이름은 ‘아육’일 것이니, 정법으로 다스리며 또 나의 사리를 널리 펴 8만 4천 탑을 만들 것이다. 아난아 이 바리의 모래를 가져다가 여래가 다니는 땅에 깔아라.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때에. [時]+/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 ⟶ 〈65ㄱ〉 ‘우희’.
주002)
우신대:빙긋이 웃으시니. 미소지으시니. 우-[微笑](평-평-거, 동사)+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ㄴ대. 이 동사와 비슷한 ‘우-(상-거-평, 형용사)가 있는데, 뜻은 우연(偶然)-’로서 성조로 구별됨.
주003)
합장(合掌):두 손바닥을 합쳐 마음이 한결같음을 나타내는 인도 경례법의 한 가지.
주004)
:사뢰되. 여쭈되. 여쭈기를. -[白](ㅂ불규칙)+오/우. 여기 종성 ‘ㅂ’이 다음에 이어지는 음운환경에 따라 ‘ㅂ/ㅸ’으로 교체되는바, 이 현상을 설명하는 방법은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ㅂ’ 종성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기본형으로 보고, 모음어미 앞에서 ‘ㅸ’ 로 변동되는 것을 이형태로 설명하는 것이고, 둘째는 ‘ㅸ’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기본형으로 잡고, 자음어미 앞에서 ‘ㅂ’으로 교체되는 것을 끝소리규칙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전자를 취하여 ㅂ불규칙으로 처리함.
주005)
우시니고:웃으십니까? 웃으시는 것입니까? 우-[微笑]+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현재시상 선어말어미)+니(선어말어미)+(상대높임 선어말어미)+고(설명의 의문법 종결어미). 상위자를 상대한 화자의 공손한 진술을 표시하는 ‘--, --’는 설명법 종결어미 ‘-다’ 앞에서는 ‘--’로, 의문법 종결어미 ‘-가, -고’ 앞에서는 ‘--’으로, 명령법일 때는 ‘-쇼셔’로 쓰임.
주006)
니샤:이르시기를. 니-[云]+시+오. 선어말어미 ‘-시-’는 선어말어미 ‘-오/우-’ 앞에서 ‘샤’로 변동됨.
주007)
알라:알아라. 알-[知]+라(명령법 종결어미).
주008)
멸도(滅度):멸도한. 滅度-+ㄴ(관형사형 연결어미). 멸도는 열반(涅槃, nirvāṇa)의 번역. 나고 죽는 큰 환난을 없애어 번뇌의 바다를 건넜다는 뜻임.
주009)
파련불읍(巴連弗邑):파타리자(波陀釐子, Pāțaliputra). 중인도 마갈타국의 서울. 지금의 간지스강 남쪽 언덕에 있는 파트나시(市)가 그 옛터. 아육왕 때에는 그 광대한 영토의 중심지로 정치·종교상의 중요한 자리를 차지함.
주010)
전륜왕(轉輪王):전륜성왕(轉輪聖王). cakravartīrāja. 세계를 지배하는 대왕. 하늘에서 윤보(輪寶)를 얻어, 이를 굴림으로써 사방을, 무력이 아닌, 위엄으로써 굴복케 하므로 전륜왕이라 이름.
주011)
외야:되어. 외-[爲]+아/어. ‘외-’는 ‘-(평-평)’〈용가 98〉의 ‘ㅸ’ 소실로 ‘외-’가 됨. 연결어미 ‘-아’는 어간 모음 ‘ㅣ〔j〕’에 동화되어 ‘-야’로 변동됨.
주012)
이오:-이고. 이(서술격조사)+고/오. ‘-오’는 연결어미 ‘-고’가 ‘ㅣ’ 모음 아래서 ‘ㄱ’ 약화된 ㅇ〔ɦ〕의 표기임.
주013)
일후믄:이름은. 일훔[名]+은(보조조사).
주014)
아육(阿育):Aśoka. 무우(無憂)로 번역. B.C. 2세기에 인도를 통일하고 불교를 보호한 왕.
주015)
정법(正法):부처님의 교법.
주016)
다리며:다스리며. 다리-[治]+며(연결어미).
주017)
사리(舍利):śarīra의 음역. 특히 부처님의 유골(遺骨)을 이름.
주018)
너비:널리. 넓게. 넙-[廣]+이(부사 파생접미사).
주019)
리라:만들리라. 만들 것이다. -[造]+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라(평서법 종결어미). 서술격조사 ‘이-’와 선어말어미 ‘-오/우-, -니-, -리-, -더-, -지-’ 등 뒤에서는 종결어미 ‘-다’가 ‘-라’로 교체됨.
주020)
바리옛:바리의. 바리[鉢]+예(처소의 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애’는 체언의 끝모음이 양성일 때, ‘-에’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음성일 때, ‘-예’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이〔i〕’나, 부모음 ‘ㅣ〔y〕’일 때 쓰임.
주021)
몰애:모레를. 몰애[沙]+//ㄹ(목적격조사).
주022)
니:다니는. 니-[行]+(현재시상 선어말어미)+(/으)ㄴ. ‘니-’는 ‘-[走]+니-[行]’의 합성동사로 ‘니-’에서 비음동화된 표기인 ‘니-’도 나타남.
주023)
해:땅에. [地](ㅎ종성체언)+애(처소의 부사격조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