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 대제자의 사리탑 공양 ②
  • 대제자의 사리탑 공양 4
메뉴닫기 메뉴열기

대제자의 사리탑 공양 4


[대제자의 사리탑 공양 4]
버거 주001)
버거:
다음으로. 둘째로. 버거(평-거, 부사). ‘버거(평-평)’은 명사.
尊者 薄拘羅 주002)
박구라(薄拘羅):
Vakkula. 부처님 제자로 얼굴과 몸매가 매우 단정하며, 한 번도 앓은 일이 없고 항상 여러 사람을 피하여 한적한 곳에서 수양하기를 좋아했다 함.
塔 뵈오 供養쇼셔 王이 무로 뎨 엇던 功德이 겨시더니고 주003)
겨시더니고:
계시던 이입니까? 겨시-[有]+더+ㄴ(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상대높임 선어말어미)+고(의문법 종결어미). 상위자를 상대한 화자의 공손한 진술을 표시하는 ‘--, --’은 설명법 종결어미 ‘-다’ 앞에서는 ‘--’로, 의문법 종결어미 ‘-가, -고’ 앞에서는 ‘--’으로, 명령법일 때는 ‘-쇼셔’로 쓰임.
對答호 無病이 第一이며  爲

월인석보 25:111ㄴ

야 주004)
:
한. [一](평성, 관형사).
句法 주005)
구법(句法):
(한) 구절의 법.
니디 주006)
니디:
이르지. 니-[云]+디(부정의 보조적 연결어미). ‘-디’는 부정의 대상임을 나타내는 현대국어의 ‘-지’에 소급되는 형태임.
아니야 괴외야 주007)
괴외야:
고요하여. 조용하여. 괴외-[寂]+아/어. 연결어미 ‘-아’는 모음조화에 따라 ‘-아/어’로 변하지만 ‘-’ 뒤에서 만은 ‘야’로 변동됨.
마리 주008)
마리:
말이. 말[言]+ㅣ(주격조사).
업더니다
王이 닐오 도로 주009)
도로:
돈으로. 돈[錢]+(/으)로.
供養라 諸臣이  功德이 거늘 주010)
거늘:
같거늘. 같은데. -[如]+거늘/어늘(연결어미). ⟶ 〈65ㄱ〉 ‘오시거늘’.
엇뎨 이 주011)
이:
여기에. 이[此](평-평, 대명사).
도로 供養시니고 주012)
시니고:
하십니까? +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현재시상 선어말어미)+니(선어말어미)+(상대높임 선어말어미)+고(설명의 의문법 종결어미). 상위자를 상대한 화자의 공손한 진술을 표시하는 ‘--, --’는 설명법 종결어미 ‘-다’ 앞에서는 ‘--’로, 의문법 종결어미 ‘-가, -고’ 앞에서는 ‘--’으로, 명령법일 때는 ‘-쇼셔’로 쓰임.
王이 닐오 내 말 드르라 비록 無明 주013)
무명(無明):
avidyā. 불교의 진리를 알지 못하는 것. 또는 진여(眞如)에 대하여 그와 모순되는 비(非)진여를 이름.
주014)
치(癡):
moha. 3독의 하나. 현상(現象)과 도리에 대하여 마음이 어두움. 불교에서는 인생의 고통 받는 근원과 모든 번뇌의 근본을 이름.
더러 주015)
더러:
덜어. 덜-[除]+아/어.
智慧

월인석보 25:112ㄱ

能히 펴 주016)
펴:
살펴. 피-[察]+아/어.
비록 薄拘 일후미 이시나 世間애 므스기 주017)
므스기:
무엇이. 므슥(평-평, 대명사)+ㅣ(주격조사).
有益리오
그제  도니 王ㅅ게 주018)
왕(王)ㅅ게:
왕께. 王+ㅅ게(존칭의 부사격조사). ‘게/의게(낙차점 처소의 부사격조사)’는 ‘ㅅ게’의 평칭 표현임.
도로 주019)
도로:
도로. ‘도로(평평, 부사)’는 ‘돌-[回]’에서 파생된 부사로 파악되는데 동사 ‘돌-’은 상성을 가지는데 부사 ‘도로’는 성조가 달라져 이미 재구조화 된 것으로 보임.
오나 주020)
오나:
오거늘. 오-[來]+거/어/나. 확인법 선어말어미는 자동사와 형용사 뒤에서는 ‘-거/어(계사, ‘ㄹ’, ‘ㅣ(y)’ 뒤)-’로 나타나고, 타동사 뒤에서는 ‘-아/어-’로 나타나며 자동사 ‘오-’[來] 뒤에서는 ‘-나-’로 교체됨.
大臣히 希有 주021)
희유(希有):
아주 드문. 신기하고 기이한. 希有-+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이 보고  소리로 讚歎호 尊者ㅣ 欲이 져거 足 아샤 주022)
아샤:
아셔. 알-[知]+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아/어(연결어미).
 돈도 받디 아니시놋다 주023)
아니시놋다:
않으시는구나. 아니-+시++옷(감탄법 선어말어미)+다.
더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次示尊者薄拘羅塔 應當供養 王問曰 彼有何功德 尊者答曰 彼無病第一 乃至不爲人說一句法寂默無言
王曰以一錢供養 諸臣白王言 功德既等何故於此供養一錢 王告之曰聽吾所說 雖除無明癡 智慧能鑑察 雖有薄拘句 於世何所益
時彼一錢還來至王所 時大臣輩見是希有事 異口同音讚彼 嗚呼尊者少欲知足 乃至不須一錢

[대제자의 사리탑 공양 4]
다음으로 존자 박구라의 탑을 뵙고 “공양하십시오.” 왕이 묻기를, “저 분이 어떤 공덕이 있으셨습니까?” 대답하기를, “무병 제일이며, 남을 위하여 한 구절의 법도 이르지 않고 조용하여 말이 없었습니다.”
왕이 이르기를, “한 돈으로(돈 한 닢으로) 공양하라.” 여러 신하들이 사뢰기를, “공덕이 같은데 어찌 여기에는 한 돈으로 공양하십니까?” 왕이 이르기를, “내 말을 들어〈보아〉라. 비록 무명의 치를 덜고, 지혜가 능히 살펴서 비록 박구라는 이름은 있으나, 세간에 무엇이 유익하겠는가?”
이때 한 돈이(돈 한 닢이) 왕께 도로 오니, 대신들이 희유한 일을 보고 한 소리로 찬탄하기를, “존자가 욕심이 적고 만족함을 아시어 한 돈도 받지 않으시는구나.” 하였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버거:다음으로. 둘째로. 버거(평-거, 부사). ‘버거(평-평)’은 명사.
주002)
박구라(薄拘羅):Vakkula. 부처님 제자로 얼굴과 몸매가 매우 단정하며, 한 번도 앓은 일이 없고 항상 여러 사람을 피하여 한적한 곳에서 수양하기를 좋아했다 함.
주003)
겨시더니고:계시던 이입니까? 겨시-[有]+더+ㄴ(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상대높임 선어말어미)+고(의문법 종결어미). 상위자를 상대한 화자의 공손한 진술을 표시하는 ‘--, --’은 설명법 종결어미 ‘-다’ 앞에서는 ‘--’로, 의문법 종결어미 ‘-가, -고’ 앞에서는 ‘--’으로, 명령법일 때는 ‘-쇼셔’로 쓰임.
주004)
:한. [一](평성, 관형사).
주005)
구법(句法):(한) 구절의 법.
주006)
니디:이르지. 니-[云]+디(부정의 보조적 연결어미). ‘-디’는 부정의 대상임을 나타내는 현대국어의 ‘-지’에 소급되는 형태임.
주007)
괴외야:고요하여. 조용하여. 괴외-[寂]+아/어. 연결어미 ‘-아’는 모음조화에 따라 ‘-아/어’로 변하지만 ‘-’ 뒤에서 만은 ‘야’로 변동됨.
주008)
마리:말이. 말[言]+ㅣ(주격조사).
주009)
도로:돈으로. 돈[錢]+(/으)로.
주010)
거늘:같거늘. 같은데. -[如]+거늘/어늘(연결어미). ⟶ 〈65ㄱ〉 ‘오시거늘’.
주011)
이:여기에. 이[此](평-평, 대명사).
주012)
시니고:하십니까? +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현재시상 선어말어미)+니(선어말어미)+(상대높임 선어말어미)+고(설명의 의문법 종결어미). 상위자를 상대한 화자의 공손한 진술을 표시하는 ‘--, --’는 설명법 종결어미 ‘-다’ 앞에서는 ‘--’로, 의문법 종결어미 ‘-가, -고’ 앞에서는 ‘--’으로, 명령법일 때는 ‘-쇼셔’로 쓰임.
주013)
무명(無明):avidyā. 불교의 진리를 알지 못하는 것. 또는 진여(眞如)에 대하여 그와 모순되는 비(非)진여를 이름.
주014)
치(癡):moha. 3독의 하나. 현상(現象)과 도리에 대하여 마음이 어두움. 불교에서는 인생의 고통 받는 근원과 모든 번뇌의 근본을 이름.
주015)
더러:덜어. 덜-[除]+아/어.
주016)
펴:살펴. 피-[察]+아/어.
주017)
므스기:무엇이. 므슥(평-평, 대명사)+ㅣ(주격조사).
주018)
왕(王)ㅅ게:왕께. 王+ㅅ게(존칭의 부사격조사). ‘게/의게(낙차점 처소의 부사격조사)’는 ‘ㅅ게’의 평칭 표현임.
주019)
도로:도로. ‘도로(평평, 부사)’는 ‘돌-[回]’에서 파생된 부사로 파악되는데 동사 ‘돌-’은 상성을 가지는데 부사 ‘도로’는 성조가 달라져 이미 재구조화 된 것으로 보임.
주020)
오나:오거늘. 오-[來]+거/어/나. 확인법 선어말어미는 자동사와 형용사 뒤에서는 ‘-거/어(계사, ‘ㄹ’, ‘ㅣ(y)’ 뒤)-’로 나타나고, 타동사 뒤에서는 ‘-아/어-’로 나타나며 자동사 ‘오-’[來] 뒤에서는 ‘-나-’로 교체됨.
주021)
희유(希有):아주 드문. 신기하고 기이한. 希有-+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22)
아샤:아셔. 알-[知]+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아/어(연결어미).
주023)
아니시놋다:않으시는구나. 아니-+시++옷(감탄법 선어말어미)+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