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 아육왕의 아우 선용의 출가
  • 아육왕의 아우 선용의 출가 2
메뉴닫기 메뉴열기

아육왕의 아우 선용의 출가 2


[아육왕의 아우 선용의 출가 2]
阿育이 듣고 시

월인석보 25:132ㄱ

름야 주001)
내:
나의. 나[我]+/의(관형격조사). 대명사의 주격형과 관형격은 성조로 구별되는데 ‘·내(거성)’은 주격형, ‘내(평성)’은 관형격임.
주002)
:
한. [一](평성, 관형사).
앗이로 주003)
앗이로:
아우인데. 앗[弟]+이+오/로. 이는 모음조사 앞에서 ‘ㅅ’받침이 반치음 ‘ㅿ’으로 표기되는 것이 보통이나, 『석보상절』에는 ‘앗’으로 표기된 것이 더러 있음(‘이/앗이’〈석상24:27ㄱ~ㄴ〉).
邪見 주004)
사견(邪見):
부정한 생각. 잘못된 견해.
내도소니 주005)
내도소니:
내니. 내-[出]+돗(감탄법 선어말어미)+(/으)니. ‘-돗-’이 ‘-(/으)니-’와 연결되면 ‘-도니’가 되는데 ‘-도-’의 ‘오’에 원순동화 되어 ‘도소니’로 나타남.
方便 주006)
방편(方便):
밥법. 수단. 뛰어난 교화 방법.
으로 惡念을 더루리라 주007)
더루리라:
덜 것이다. 덜-[除]+오/우+리+라.
고 妓女 莊嚴야 善容게 가 즐기라 고 미리 大臣 勑호 나옷 주008)
나옷:
내가. 나+옷(강세의 보조사).
善容주기라 주009)
주기라:
죽이라. 죽-[死]+이(사동접미사)+라(설명법 종결어미).
커든 그듸내 주010)
그듸내:
그대들이. 그듸+내(존칭의 복수접미사).
닐웨를 주011)
닐웨를:
이레를. 7일을. 닐웨[七日]+를(목적격조사).
기드려 주012)
기드려:
기다려. 기드리-[待]+아/어.
주겨지라 주013)
주겨지라:
죽이길 바란다. 죽이고자 한다. 죽-[死]+이(사동접미사)+아/어+지라(청원의 종결어미). 청원의 뜻을 가진 명령법에는 ‘-고려, -고라’와 ‘-지라(라체), 지다(하쇼셔체)’가 있음. ‘-지라, -지다’는 화자 자신의 일이 이루어지게 해달라는 표현이며 항상 선어말어미 ‘-거/어-, -아/어-’가 선행함.
라 고 王이

월인석보 25:132ㄴ

게 가 닐오 엇뎨 주014)
엇뎨:
어찌. 엇뎨[何](상-거, 부사).
내 妓女 려 주015)
려:
데리고. 더불어. -와/과. 리-[與]+아/어.
즐겨 다 주016)
다:
하느냐? -++ㄴ다(2인칭 의문법 종결어미).
고 怒야 大臣 블러 닐어 주017)
닐어:
일러. 니-[云]+아/어.
주기라 야 臣下히 주018)
간(諫):
어른이나 임금께 옳지 못하거나 잘못된 일을 고치도록 말함.
호고 주019)
고:
곧은. 곧-[直]+(관형사형 연결어미).
마리라】
王이 다 주020)
다:
다만. 단지. 다[只](상-거, 부사).
주021)
:
한. [一](평성, 관형사).
앗이시니 주022)
앗이시니:
아우이시니. 앗[弟]+이(서술격조사)+시+니. 이는 바로 앞면에서도 ‘앗’으로 쓰였으나, 혹 표기자의 방언의 영향일 수도 있겠음.
닐웨 기드려지다 주023)
기드려지다:
기다리기 바랍니다. 기드리-[待]+아/어(선어말어미)+지다(청원의 종결어미). 청원의 뜻을 가진 명령법에는 ‘-고려, -고라’와 ‘-지라(라체), 지다(하쇼셔체)’가 존재함. ‘-지라, -지다’는 화자 자신의 일이 이루어지게 해달라는 표현이며 항상 선어말어미 ‘-거/어-ㅡ -아/어-’가 선행함.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阿育聞弟有此議論 即懷憂慼 吾唯有一弟 忽生邪見恐永迷沒 我當方宜除其惡念 即還宮內 勅諸妓女各自嚴莊 至善容所共相娛樂 預勅大臣吾有所圖 若我勅卿殺善容者 卿等便諫 須待七日隨王殺之 時諸妓女即往娛樂 未經時頃王躬自往語弟 王子何為將吾妓女 妻妾恣意自娛 奮其威怒以輪擲空 召諸大臣即告之曰 (卿等知不 吾不衰老亦無外寇 強敵來侵境者 吾亦聞 古昔諸賢有此諺言 夫人有福四海歸伏 福盡德薄肘腋叛離 如我自察未有斯變 然我弟善容誘吾妓女 妻妾縱情自恣事露 如是豈有我乎) 汝等將去詣市殺之 諸臣諫曰 (唯願大王聽臣微言) 今王唯有此一弟 (又少息胤無繼嗣者) 願聽七日奉依王命

[아육왕의 아우 선용의 출가 2]
아육이 듣고 시름하여 나의 한 동생인데, 사견을 내니 내가 방편으로 나쁜 생각을 덜(없앨) 것이다.’ 하고, 기녀들을 치장하여 선용에게 가 즐기라 하고 미리 대신에게 명령을 내리기를, “‘내가 선용을 죽이라.’ 하면 그대들이 ‘7일을 기다렸다 죽이길 바란다.’고 하라.” 하고 왕이 선용에게 가서 이르기를, “어찌 나의 기녀를 데리고 즐기고 있느냐?” 하고, 노하여 대신을 불러 일러 “죽이라.” 하니, 대신들이 간하기를,【‘간’은 곧은 말이다.】 “왕이(왕의) 오직 한 아우이시니 7일을 기다리시길 바랍니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내:나의. 나[我]+/의(관형격조사). 대명사의 주격형과 관형격은 성조로 구별되는데 ‘·내(거성)’은 주격형, ‘내(평성)’은 관형격임.
주002)
:한. [一](평성, 관형사).
주003)
앗이로:아우인데. 앗[弟]+이+오/로. 이는 모음조사 앞에서 ‘ㅅ’받침이 반치음 ‘ㅿ’으로 표기되는 것이 보통이나, 『석보상절』에는 ‘앗’으로 표기된 것이 더러 있음(‘이/앗이’〈석상24:27ㄱ~ㄴ〉).
주004)
사견(邪見):부정한 생각. 잘못된 견해.
주005)
내도소니:내니. 내-[出]+돗(감탄법 선어말어미)+(/으)니. ‘-돗-’이 ‘-(/으)니-’와 연결되면 ‘-도니’가 되는데 ‘-도-’의 ‘오’에 원순동화 되어 ‘도소니’로 나타남.
주006)
방편(方便):밥법. 수단. 뛰어난 교화 방법.
주007)
더루리라:덜 것이다. 덜-[除]+오/우+리+라.
주008)
나옷:내가. 나+옷(강세의 보조사).
주009)
주기라:죽이라. 죽-[死]+이(사동접미사)+라(설명법 종결어미).
주010)
그듸내:그대들이. 그듸+내(존칭의 복수접미사).
주011)
닐웨를:이레를. 7일을. 닐웨[七日]+를(목적격조사).
주012)
기드려:기다려. 기드리-[待]+아/어.
주013)
주겨지라:죽이길 바란다. 죽이고자 한다. 죽-[死]+이(사동접미사)+아/어+지라(청원의 종결어미). 청원의 뜻을 가진 명령법에는 ‘-고려, -고라’와 ‘-지라(라체), 지다(하쇼셔체)’가 있음. ‘-지라, -지다’는 화자 자신의 일이 이루어지게 해달라는 표현이며 항상 선어말어미 ‘-거/어-, -아/어-’가 선행함.
주014)
엇뎨:어찌. 엇뎨[何](상-거, 부사).
주015)
려:데리고. 더불어. -와/과. 리-[與]+아/어.
주016)
다:하느냐? -++ㄴ다(2인칭 의문법 종결어미).
주017)
닐어:일러. 니-[云]+아/어.
주018)
간(諫):어른이나 임금께 옳지 못하거나 잘못된 일을 고치도록 말함.
주019)
고:곧은. 곧-[直]+(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20)
다:다만. 단지. 다[只](상-거, 부사).
주021)
:한. [一](평성, 관형사).
주022)
앗이시니:아우이시니. 앗[弟]+이(서술격조사)+시+니. 이는 바로 앞면에서도 ‘앗’으로 쓰였으나, 혹 표기자의 방언의 영향일 수도 있겠음.
주023)
기드려지다:기다리기 바랍니다. 기드리-[待]+아/어(선어말어미)+지다(청원의 종결어미). 청원의 뜻을 가진 명령법에는 ‘-고려, -고라’와 ‘-지라(라체), 지다(하쇼셔체)’가 존재함. ‘-지라, -지다’는 화자 자신의 일이 이루어지게 해달라는 표현이며 항상 선어말어미 ‘-거/어-ㅡ -아/어-’가 선행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