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 〈협주〉 아육왕의 전생과 석존이 8만 4천탑 공양을 받게 된 인연
  • 아육왕의 전생과 석존이 8만 4천탑 공양을 받게 된 인연 2
메뉴닫기 메뉴열기

아육왕의 전생과 석존이 8만 4천탑 공양을 받게 된 인연 2


[아육왕의 전생과 석존이 8만 4천탑 공양을 받게 된 인연 2]
阿難이 歡喜 부텨  如來 주001)
녜:
예, 옛적. 녜[昔](상성, 명사).
엇던 功德을 지시관 주002)
지시관:
지으셨기에. 짓-[作](ㅅ불규칙)+/으+시+관(원인·이유의 연결어미). 이 ‘짓-[作]’의 종성 ‘ㅅ’은 자음어미 앞에서는 ‘짓게, 짓고, 짓디...’와 같이 활용하여 변동이 없으나, 모음어미나, 매개모음을 취하는 ‘-ㄴ, -ㄹ, -며, -시’ 등 어미 앞에서 ‘ㅅ’은 ‘ㅿ’으로 변동된다. 이와 같은 교체 현상은 모든 어간에 규칙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데, 이 현상을 설명하는 방법은 두 가지이다. 첫째 ‘ㅅ’ 종성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기본형으로 보고, ‘ㅿ’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불규칙활용으로 간주하는 것이며, 둘째는 ‘ㅿ’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기본형으로 보고, ‘ㅅ’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음절 끝소리 규칙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전자를 취하기로 하여 ‘ㅅ’불규칙으로 설명함.
주003)
한:
많은. 하-[多]+ㄴ(관형사형 연결어미).
塔報 주004)
탑보(塔報):
전세의 착한 공덕에 따라 ‘탑’으로 보답 받음.
겨시리고 주005)
겨시리고:
계십니까? 있으십니까? 겨시-[有]+리+(상대높임 선어말어미)+고(설명의 의문법 종결어미). 중세국어 의문법은 의문사가 있는 설명법 의문문과 의문사가 없는 판정의문문으로 나뉘는데, 전자의 경우는 ‘-오’가 후자의 경우는 ‘-아’가 쓰임.
부톄 니샤 주006)
니샤:
이르시기를. 니-[說]+시+오. 선어말어미 ‘-시-’는 선어말어미 ‘-오/우-’ 앞에서 ‘샤’로 변동됨.
過去에  國王이 이쇼 주007)
이쇼:
있었는데. 이시-[有]+오(양보의 연결어미).
일후미 波塞奇 주008)
바새기(波塞奇):
과거 구원 2아승기 91겁(過去久遠二阿僧祇九十一劫)에 염부제의 국왕〈현우경(賢愚經) 제3, 빈녀난타품(貧女難陀品)〉.
러니 閻浮提 八萬四千 나라 주009)
나라흘:
나라를. 나라ㅎ[國](ㅎ종성체언)+을(목적격조사).
가졧더니 주010)
가졧더니:
가지고 있었는데. 가지-[持]+아/어#잇-[有]+더+니.
그제 주011)
그제:
그때. 그제(평-평, 명사).
부톄 겨샤 주012)
겨샤:
계시되. 겨시-[存]+오.
일후미 沸沙 주013)
불사(沸沙):
Tișya. 저사(底沙)라고도 함. 석가모니불이 미륵과 함께 이 부처님 화상 앞 에서 불도를 수행했는데, 석존은 7일7야 동안 이 부처님 존안을 우러르면서 찬탄하며 열심히 수행하고 나서 바로 9겁을 초원하여 미륵보다 먼저 성불하였다 함. 여기 ‘비(沸)’는 본문에 동국정음 한자음 ‘·’로 되어 있어서 ‘비’로 읽지 않고 ‘불’로 읽었음.
ㅣ러시니 波塞奇王이

월인석보 25:66ㄱ

民콰
주014)
신민(臣民)콰:
신하와 백성들과. 臣民+(복수접미사)+와/과.
부텨 供養며 주015)
공양(供養)며:
공양하며. 供養-++(/으)며.
比丘僧의게 四事 주016)
사사(四事):
수행승의 일상에 필요한 네 가지 물건으로 음식, 피복, 침구와 탕약(湯藥)을 이름.
로 供養더니 그제 王이 念호 주017)
:
끝. 가. /[邊](명사). 대체로 ‘ㅿ’은 모음조사 앞에 쓰이고, ‘ㅅ’은 단독형이나, 자음조사 앞에 쓰였으나, 혼용된 경우도 있음. 겨우. 방금. 갓. (평성 또는 거성, 부사).
혀근 주018)
혀근:
작은. 혁-[小]+은(관형사형 연결어미).
나라햇 주019)
나라햇:
나라들의. 나라[國]+(복수접미사)+애(처소의 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사히 주020)
사히:
사람들이. 사[人]++이(주격조사).
닷 주021)
닷:
닦을. -[修]+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ㅭ(관형사형 연결어미).
길히 주022)
길히:
길이. 길ㅎ[道](ㅎ종성체언)+이/ㅣ(주격조사).
업스니 이제 부텻 像 그리 주023)
그리:
그려. 그리-[畵]++아/어.
諸國에 두루 펴 다 供養게 호리라 고 즉재 주024)
즉재:
즉시. 즉재[卽](거-평, 부사). 이는 같은 뜻의 ‘즉자히(거-평-거, 부사)’가 있는데, 같이 쓰였음.
畫師 블러 그리라 주025)
그리라:
그려라. 그리-[畵]++(/으)라. ⟶ 〈63ㄱ〉 ‘받리라’.
니 畫師 주026)
화사(畵師):
화공(畵工). 직업적으로 그림을 그리는 이.
부텨 와 相好 주027)
상호(相好):
부처님 신체에 구비되어 있는 훌륭한 특징인 32상(相)과 80종호(種好)를 이름.
보 주028)
보:
보아. 보-[見]++아/어.
그리려 호 주029)
:
한. [一](평성, 관형사).
주030)
곧:
곳. 바. 것. 곧[處](거성, 명사). 부사 ‘곧[卽](거성)’과는 동음어임.
그리고 녀나 주031)
녀나:
다른. 남은. 그 밖의. 녀나(거-평-거, 관형사).
니저 주032)
니저:
잊어. 닞-[忘]+아/어.
몯 일워커늘 주033)
못일워커늘:
이루지 못하여 하거늘. 못[不]#일우-+어#-+거늘. ‘거’은 기원적으로 선어말어미 ‘-거-’와 연결어미 ‘-’로 분석될 수 있으나 이 시기에는 ‘-거’이 하나의 형태로 고정됨. 이미 일어난 사실을 주관적으로 확신하여 강조하는 선어말어미 ‘-거-’는 어말 말음이 ‘ㅣ’나 ‘ㄹ’, 계사 뒤에서 ‘-어-’(반드시 분철)로 나타남. 이런 음운론적인 교체 외에도 형태론적 교체를 보이기도 하는데 ‘-거/어-’는 자동사와 결합하고 ‘-아/어-’는 타동사와 결합하며 자동사 ‘오-[來]’ 뒤에서는 ‘-나-’로 교체됨.
波塞奇王彩色 라 주034)
채색(彩色) 라:
채색을 풀어. 물감을 풀어. -[調](평성)+아/어.
손 주035)
손:
손수. 손[自](거-평, 부사). 이는 ‘ㅿ’의 소실 이후 ‘손조’로 쓰이다가 현대어 ‘손수’로 바뀜.
 像 그리 보 주036)
보:
본을. 본[本]+(목적격조사).
내야 주037)
내야:
내거늘. 내니. 내-[出]+거/아.
畫師ㅣ 그를 주038)
그를:
그것을. 그+를(목적격조사).
브터 주039)
브터:
붙어. 의지하여. 븥-[附]+아/어.
八萬四千 像 그리 諸國에 펴 小

월인석보 25:66ㄴ

國王히 주040)
국왕(國王)히:
국왕들이. 국왕+(복수접미사)+이(주격조사).
供養니 주041)
공양(供養)니:
공양하니. 공양-++(/으)니. ⟶ 〈63ㄱ〉 ‘받리라’.
그젯 주042)
그젯:
그때의. 그+제[時]+ㅅ(관형격조사).
波塞奇 내 모미 주043)
모미:
몸이. 몸[身]+이(주격조사).
긔니 주044)
긔니:
그것이니. 그+이(서술격조사)+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이 因緣으로 녜 주045)
녜:
늘. 항상. 녜[常](평-거, 부사), 녜[常例](평-거, 명사)로 씌었고, ‘례’(常例)(평-상, 명사, 부사)도 같이 씌었음.
三十二相 주046)
삼십이상(三十二相):
Dvātriṃśatmahāpurușa-lakșaṇāni. 부처님 몸에 갖춘 32표상(標相). 삼십이대인상(三十二大人相)·삼십이대장부상(三十二大丈夫相)이라고도 함. 이 상을 갖춘 이는 세속에 있으면 전륜왕(轉輪王), 출가하면 부처님이 된다고 함. 그 특징은 발바닥이 판판함, 손바닥에 수레바퀴 같은 금(무늬)이 있음. 손가락이 가늘면서 긴 것 등등 서른두 가지 신체적 특징이 있음.
로 주047)
로:
따로. 유다르게. 로[特](거-거, 부사).
奇特 모 주048)
모:
몸을. 몸[身]+(목적격조사).
어더 주049)
어더:
얻어. 얻-[得]+아/어.
涅槃 後에 八萬四千 塔 어드리라 주050)
어드리라:
얻으리라. 얻을 것이다. 얻-[得]+(/으)리+다/라(설명법 종결어미). ‘-다’는 ‘--, -거-, -시-, --, -도-, -ㅅ-, --’ 등 선어말어미와 용언 어간 뒤에 쓰이고, ‘-라’는 ‘-오/우-, -니-, -리-, -더-, -지-’ 등 선어말어미와 서술격조사 뒤에 쓰이며, 분포는 상보적임.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阿難歡喜重白如來先昔造何功德 而乃有此多塔之報 佛言 過去有國王 名波塞奇閻浮提八萬四千國 時世有名曰沸沙 波塞奇王與諸臣民 供養於佛及比丘僧 四事供養時王心念 邊小諸國皆悉偏僻 人民之類無由修福 今當圖畵佛之形象 分布諸國咸得供養 作是念已 卽召畵師勅使圖畵 時諸畵師來至佛所 看佛相好欲得畫之 適畫一處亡失餘處 重複觀看復次下手 畫一忘一不能使成 時波塞奇調和衆彩 手自爲畫一像以模法 於時畵師 乃依圖畵八萬四千像與諸國
諸小國王皆得供養 時波塞奇我今身是 以此緣故 常得三十二相殊特之身 般涅槃後 得此八萬四千諸塔 >(이상, 석가보 제5, 석가획팔만사천탑숙연기 제32, 〈대정신수대장경〉 제50, 사전부 82쪽 중~하)

[아육왕의 전생과 석존이 8만 4천탑 공양을 받게 된 인연 2]
아난이 기뻐하여 부처님께 사뢰기를, “여래께서 옛날 어떤 공덕을 지으셨기에 이 많은 탑보가 있으십니까?” 부처님이 말씀하시기를, “과거에 한 국왕이 있었는데 이름이 바새기였고, 염부제의 8만 4천 나라를 가졌었는데, 그때 부처님이 계셨는데 이름이 ‘불사’이셨다. 바새기왕과 신하와 백성들이 부처님을 공양하며 비구승에게 4사로 공양하더니, 그때 왕이 생각하기를, ‘변두리 작은 나라들의 사람들이 복을 닦을 길이 없으니, 이제 부처님의 상을 그려서 모든 나라에 두루 펴 다 공양하게 하리라.’ 하고, 즉시 화공을 불러 ‘그리라.’ 하니, 화공이 부처님께 와서 상호를 보고 그리려 하되, 한 곳을 그리고 다른 곳을 잊어 완성하지 못하여서, 바새기왕이 채색을(물감을) 풀어 손수 한 상을 그려 본을 〈만들어〉 내니, 화공이 이것을 의지하여 8만 4천의 〈불〉상을 그려 모든 나라에 펴 소국왕들이 다 공양하니, 그때의 바새기는 내 몸이 그것이니(바새기가 나이니), 이 인연으로 항상 삼십이상의, 따로 특별한(상서로운) 몸을 얻어 열반 후에 8만 4천의 탑을 얻으리라.”】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녜:예, 옛적. 녜[昔](상성, 명사).
주002)
지시관:지으셨기에. 짓-[作](ㅅ불규칙)+/으+시+관(원인·이유의 연결어미). 이 ‘짓-[作]’의 종성 ‘ㅅ’은 자음어미 앞에서는 ‘짓게, 짓고, 짓디...’와 같이 활용하여 변동이 없으나, 모음어미나, 매개모음을 취하는 ‘-ㄴ, -ㄹ, -며, -시’ 등 어미 앞에서 ‘ㅅ’은 ‘ㅿ’으로 변동된다. 이와 같은 교체 현상은 모든 어간에 규칙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데, 이 현상을 설명하는 방법은 두 가지이다. 첫째 ‘ㅅ’ 종성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기본형으로 보고, ‘ㅿ’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불규칙활용으로 간주하는 것이며, 둘째는 ‘ㅿ’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기본형으로 보고, ‘ㅅ’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음절 끝소리 규칙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전자를 취하기로 하여 ‘ㅅ’불규칙으로 설명함.
주003)
한:많은. 하-[多]+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04)
탑보(塔報):전세의 착한 공덕에 따라 ‘탑’으로 보답 받음.
주005)
겨시리고:계십니까? 있으십니까? 겨시-[有]+리+(상대높임 선어말어미)+고(설명의 의문법 종결어미). 중세국어 의문법은 의문사가 있는 설명법 의문문과 의문사가 없는 판정의문문으로 나뉘는데, 전자의 경우는 ‘-오’가 후자의 경우는 ‘-아’가 쓰임.
주006)
니샤:이르시기를. 니-[說]+시+오. 선어말어미 ‘-시-’는 선어말어미 ‘-오/우-’ 앞에서 ‘샤’로 변동됨.
주007)
이쇼:있었는데. 이시-[有]+오(양보의 연결어미).
주008)
바새기(波塞奇):과거 구원 2아승기 91겁(過去久遠二阿僧祇九十一劫)에 염부제의 국왕〈현우경(賢愚經) 제3, 빈녀난타품(貧女難陀品)〉.
주009)
나라흘:나라를. 나라ㅎ[國](ㅎ종성체언)+을(목적격조사).
주010)
가졧더니:가지고 있었는데. 가지-[持]+아/어#잇-[有]+더+니.
주011)
그제:그때. 그제(평-평, 명사).
주012)
겨샤:계시되. 겨시-[存]+오.
주013)
불사(沸沙):Tișya. 저사(底沙)라고도 함. 석가모니불이 미륵과 함께 이 부처님 화상 앞 에서 불도를 수행했는데, 석존은 7일7야 동안 이 부처님 존안을 우러르면서 찬탄하며 열심히 수행하고 나서 바로 9겁을 초원하여 미륵보다 먼저 성불하였다 함. 여기 ‘비(沸)’는 본문에 동국정음 한자음 ‘·’로 되어 있어서 ‘비’로 읽지 않고 ‘불’로 읽었음.
주014)
신민(臣民)콰:신하와 백성들과. 臣民+(복수접미사)+와/과.
주015)
공양(供養)며:공양하며. 供養-++(/으)며.
주016)
사사(四事):수행승의 일상에 필요한 네 가지 물건으로 음식, 피복, 침구와 탕약(湯藥)을 이름.
주017)
:끝. 가. /[邊](명사). 대체로 ‘ㅿ’은 모음조사 앞에 쓰이고, ‘ㅅ’은 단독형이나, 자음조사 앞에 쓰였으나, 혼용된 경우도 있음. 겨우. 방금. 갓. (평성 또는 거성, 부사).
주018)
혀근:작은. 혁-[小]+은(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19)
나라햇:나라들의. 나라[國]+(복수접미사)+애(처소의 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주020)
사히:사람들이. 사[人]++이(주격조사).
주021)
닷:닦을. -[修]+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ㅭ(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22)
길히:길이. 길ㅎ[道](ㅎ종성체언)+이/ㅣ(주격조사).
주023)
그리:그려. 그리-[畵]++아/어.
주024)
즉재:즉시. 즉재[卽](거-평, 부사). 이는 같은 뜻의 ‘즉자히(거-평-거, 부사)’가 있는데, 같이 쓰였음.
주025)
그리라:그려라. 그리-[畵]++(/으)라. ⟶ 〈63ㄱ〉 ‘받리라’.
주026)
화사(畵師):화공(畵工). 직업적으로 그림을 그리는 이.
주027)
상호(相好):부처님 신체에 구비되어 있는 훌륭한 특징인 32상(相)과 80종호(種好)를 이름.
주028)
보:보아. 보-[見]++아/어.
주029)
:한. [一](평성, 관형사).
주030)
곧:곳. 바. 것. 곧[處](거성, 명사). 부사 ‘곧[卽](거성)’과는 동음어임.
주031)
녀나:다른. 남은. 그 밖의. 녀나(거-평-거, 관형사).
주032)
니저:잊어. 닞-[忘]+아/어.
주033)
못일워커늘:이루지 못하여 하거늘. 못[不]#일우-+어#-+거늘. ‘거’은 기원적으로 선어말어미 ‘-거-’와 연결어미 ‘-’로 분석될 수 있으나 이 시기에는 ‘-거’이 하나의 형태로 고정됨. 이미 일어난 사실을 주관적으로 확신하여 강조하는 선어말어미 ‘-거-’는 어말 말음이 ‘ㅣ’나 ‘ㄹ’, 계사 뒤에서 ‘-어-’(반드시 분철)로 나타남. 이런 음운론적인 교체 외에도 형태론적 교체를 보이기도 하는데 ‘-거/어-’는 자동사와 결합하고 ‘-아/어-’는 타동사와 결합하며 자동사 ‘오-[來]’ 뒤에서는 ‘-나-’로 교체됨.
주034)
채색(彩色) 라:채색을 풀어. 물감을 풀어. -[調](평성)+아/어.
주035)
손:손수. 손[自](거-평, 부사). 이는 ‘ㅿ’의 소실 이후 ‘손조’로 쓰이다가 현대어 ‘손수’로 바뀜.
주036)
보:본을. 본[本]+(목적격조사).
주037)
내야:내거늘. 내니. 내-[出]+거/아.
주038)
그를:그것을. 그+를(목적격조사).
주039)
브터:붙어. 의지하여. 븥-[附]+아/어.
주040)
국왕(國王)히:국왕들이. 국왕+(복수접미사)+이(주격조사).
주041)
공양(供養)니:공양하니. 공양-++(/으)니. ⟶ 〈63ㄱ〉 ‘받리라’.
주042)
그젯:그때의. 그+제[時]+ㅅ(관형격조사).
주043)
모미:몸이. 몸[身]+이(주격조사).
주044)
긔니:그것이니. 그+이(서술격조사)+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주045)
녜:늘. 항상. 녜[常](평-거, 부사), 녜[常例](평-거, 명사)로 씌었고, ‘례’(常例)(평-상, 명사, 부사)도 같이 씌었음.
주046)
삼십이상(三十二相):Dvātriṃśatmahāpurușa-lakșaṇāni. 부처님 몸에 갖춘 32표상(標相). 삼십이대인상(三十二大人相)·삼십이대장부상(三十二大丈夫相)이라고도 함. 이 상을 갖춘 이는 세속에 있으면 전륜왕(轉輪王), 출가하면 부처님이 된다고 함. 그 특징은 발바닥이 판판함, 손바닥에 수레바퀴 같은 금(무늬)이 있음. 손가락이 가늘면서 긴 것 등등 서른두 가지 신체적 특징이 있음.
주047)
로:따로. 유다르게. 로[特](거-거, 부사).
주048)
모:몸을. 몸[身]+(목적격조사).
주049)
어더:얻어. 얻-[得]+아/어.
주050)
어드리라:얻으리라. 얻을 것이다. 얻-[得]+(/으)리+다/라(설명법 종결어미). ‘-다’는 ‘--, -거-, -시-, --, -도-, -ㅅ-, --’ 등 선어말어미와 용언 어간 뒤에 쓰이고, ‘-라’는 ‘-오/우-, -니-, -리-, -더-, -지-’ 등 선어말어미와 서술격조사 뒤에 쓰이며, 분포는 상보적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