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 아육왕의 불법 귀의
  • 아육왕의 불법 귀의 8
메뉴닫기 메뉴열기

아육왕의 불법 귀의 8


[아육왕의 불법 귀의 8]
◯ 그제 王이 宮內예 녜 주001)
녜:
늘. 항상. 녜[常](평-거, 부사).
二萬 沙門 주002)
사문(沙門):
śamaṇa. 출가한 이. 스님. 수행에 노력하는 이.
四事 주003)
사사(四事):
수행하는 스님들의 일상에 필요한 음식, 의복, 침구와 의약품의 네 가지.
로 供養더니

월인석보 25:84ㄱ

주004)
외도(外道):
불교 이외의 종교, 또는 그 종교를 믿는 사람을 이름.
梵志 주005)
제:
저의. 자기의. 저[自/其]+ㅣ(관형격조사). ‘제’는 성조로 주격과 관형격이 구별되는데 ‘:제(상성)’는 주격형, ‘제(평성)’은 관형격형임.
무리 甚히 盛터니 주006)
성(盛)터니:
(기운이나 세력이) 한창 왕성하더니. 盛-(형용사)+더+니.
沙門 여 주007)
여:
꺼리어. 시새워. -[忌]+아/어.
바텨 주008)
바텨:
바쳐. 드려. 바티-[呈]+아/어.
허로려 주009)
허로려:
헐려고. 무너뜨리려고. 헐-[破](상성)+오/우+려(의도의 연결어미). 이는 ‘헐-[襤](상성)’과 동음어임.
야 모 中에 幻化 주010)
환화(幻化):
남의 눈을 속이는 기술을 가진 이가 드러낸 실체가 없는 것.
잘 니 야 주011)
야:
가려. -[擇]+아/어. 연결어미 ‘-아’는 모음조화에 따라 ‘-아/어’로 변하지만 ‘-’ 뒤에서 만은 ‘야’로 변동됨.
다 道理의 셤기논 주012)
셤기논:
섬기는. 셤기-[事]++오/우+ㄴ.
夷摩旦羅 주013)
이마단라(夷摩旦羅):
외도의 한 사람.
ㅣ라  神이 외야  머리오 네 치오 주014)
치오:
낯이고. 얼굴이고. [顔]+이+고. 연결어미 ‘-고’가 ‘ㅣ’ 모음 아래서 ‘ㄱ’ 약화된 표기임.
여듧 주015)
여듧:
여덟. 여듧[八]. 여듧 나랏 王이〈석상 6:7ㄱ〉.
누니오 여듧 히오 주016)
히오:
팔이고. [臂](평성, ㅎ종성체언)+이(서술격조사) +고/오. 연결어미 ‘-고’가 ‘ㅣ’ 모음 아래서 ‘ㄱ’ 약화된 표기임.
强猛 주017)
강맹(强猛):
굳세고 사나움.
며 凶壯 주018)
흉장(凶壯):
흉악하고 굳셈.

월인석보 25:84ㄴ

야 더러 주019)
더러:
더러운. 더럽-[汚](ㅂ불규칙)+은(관형격조사). ⟶ 〈64ㄱ〉 ‘’.
무를 주020)
무를:
무리를. 물[群]+을(목적격조사).
만히 주021)
만히:
많이. 만-[多]+이(부사 파생접미사).
리고 주022)
리고:
데리고. 리-[率]+고.
몬져 주023)
몬져:
먼저. 몬져[先](평-평, 명사/부사). ‘몬졔’(평-거)〈석상 19:36ㄴ〉도 있음.
 주024)
:
마을을. [村](ㅎ종성체언)+(목적격조사).
도녀 주025)
도녀:
돌아다니어. 돌아다니고. 도니-[廻]+아/어.
버거 주026)
버거:
다음으로. 둘째로. 버거(평-거, 부사), ‘버거(평-평)’는 명사로 구별됨.
城門에 다니 주027)
다니:
다다르니. 다-[到](ㄷ불규칙)+(/으)니.
남진 겨지비 넉슬 주028)
넉슬:
넋을. 넋[魂]+을(목적격조사).
일허 주029)
일허:
잃어. 잃-[失]+어(연결어미).
쳐 주030)
쳐:
쫓겨. -[逐]+이(피동접미사)+아/어.
니거늘 주031)
니거늘:
다니거늘. 니-[行]+거늘. ‘니-’는 ‘-[走]+니-[行]’로 재분석됨. ‘거늘’은 기원적으로 선어말어미 ‘-거-’와 연결어미 ‘-늘’로 분석될 수 있으나, 이 시기에는 ‘-거늘’이 하나의 형태로 고정됨. 이미 일어난 사실을 주관적으로 확신하여 강조하는 선어말어미 ‘-거-’는 어말 말음이 ‘ㅣ’나 ‘ㄹ’, 계사 뒤에서 ‘-어-’(반드시 분철)로 나타남. 이런 음운론적인 교체 외에도 형태론적 교체를 보이기도 하는데 ‘-거/어-’는 자동사와 결합하고 ‘-아/어-’는 타동사와 결합하며 자동사 ‘오-[來]’ 뒤에서는 ‘-나-’로 교체됨.
王이 주032)
연(輦):
임금이나 왕비가 타는 수레.
브리고 주033)
브리고:
부리고. 브리-[使]+고.
주034)
개(盖):
(1) 번뇌의 다른 이름. (2) 자루가 긴 우산. 여기서는 (2)의 뜻임.
앗고 주035)
앗고:
빼앗고. 앗-[奪]+고.
城門에 마자 주036)
마자:
맞아. 맞-[迎]+아/어.
얻고져 논 이 무른대 鬼 닐오 나 사 먹고져 노니 百姓곳 주037)
백성(百姓)곳:
백성을. 백성+곳/옷(강세의 보조사).
앗기거시든 주038)
앗기거시든:
아끼시면. 앗기-[惜]+거+시+든. 연결어미 ‘-거든’은 선어말어미 ‘-시-’와 결합할 때 ‘시거’로 되지 않고 한 형태소인 ‘-거든’ 안에 ‘-시-’가 삽입되는 불연속 형태소.
沙門

월인석보 25:85ㄱ

히 주039)
받:
밭. 밭[田]. ‘받’은 ‘밭’의 8종성 표기임.
아니 갈오 주040)
갈오:
갈고. 갈-[耕]+고. 어간 ‘ㄹ’ 아래에서 ‘-고’의 ‘ㄱ’이 약화되어 ‘오’로 표기됨.
머그며 軍士 아니 외며 臣下 아니 외 無益 거시니 그를 내 차바내 주041)
차바내:
음식에. 차반에. 차반[餐]+애(처소의 부사격조사).
주쇼셔 주042)
주쇼셔:
주십시오. 주소서. 주-[授]+쇼셔(쇼셔체 명령법 종결어미). 중세국어의 종결어미체계는 ‘라’체, ‘야쎠’체, ‘쇼셔’체로 구분되는데 이에 따른 명령형어미는 ‘-라, -어쎠, -쇼셔’로 나타남.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時王宮內 常以四事供養二萬沙門 有外道梵志 門徒甚盛忌害沙門 欲加陵毀 乃選其眾中能幻化者 變爲異道 所奉神名夷摩旦羅 一頭四面八目八臂 強猛兇壯 多從醜類 先巡邑里次到城門 國中男女亡走失魄 王下輿却蓋迎之於城門 問其所欲得 鬼曰吾欲噉人 若惜民者 諸沙門

[아육왕의 불법 귀의 8]
◯ 그때 왕이 궁내에 항상 2만의 사문을 네 가지로 공양하였는데, 외도 범지가 자기 무리가 매우 번성하였는데, 사문을 꺼려 욕 바쳐서(욕보여) 헐려 하여 자기의 모여 있는 〈무리〉 가운데 변신을 잘 하는 이를 가려내어 다른 도리를 섬기는 ‘이마단라’라고 하는 신이 되어 하나의 머리에, 네 개의 얼굴에, 여덟 개의 눈에, 여덟 개의 팔에, 강맹하며 흉장하여 더러운(추악한) 무리를 많이 데리고 먼저 마을을 돌아다니고 다음 성문에 다다르니, 남자 여자가 넋을 잃고 쫓겨 다니거늘, 왕이 연을 부리고(내려서) 개(자루가 긴 우산)를 빼앗고(벗기고) 성문에서 맞아 얻고자 하는 일을 물으니, 귀신이 말하기를, “나는 사람을 먹고자 하니 백성을 아끼신다면 사문들이 밭을 갈지 않고 〈음식을〉 먹으며, 군사도 되지 않으며, 신하도 되지 않는 무익한 것이니, 그를 내 음식으로 주십시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녜:늘. 항상. 녜[常](평-거, 부사).
주002)
사문(沙門):śamaṇa. 출가한 이. 스님. 수행에 노력하는 이.
주003)
사사(四事):수행하는 스님들의 일상에 필요한 음식, 의복, 침구와 의약품의 네 가지.
주004)
외도(外道):불교 이외의 종교, 또는 그 종교를 믿는 사람을 이름.
주005)
제:저의. 자기의. 저[自/其]+ㅣ(관형격조사). ‘제’는 성조로 주격과 관형격이 구별되는데 ‘:제(상성)’는 주격형, ‘제(평성)’은 관형격형임.
주006)
성(盛)터니:(기운이나 세력이) 한창 왕성하더니. 盛-(형용사)+더+니.
주007)
여:꺼리어. 시새워. -[忌]+아/어.
주008)
바텨:바쳐. 드려. 바티-[呈]+아/어.
주009)
허로려:헐려고. 무너뜨리려고. 헐-[破](상성)+오/우+려(의도의 연결어미). 이는 ‘헐-[襤](상성)’과 동음어임.
주010)
환화(幻化):남의 눈을 속이는 기술을 가진 이가 드러낸 실체가 없는 것.
주011)
야:가려. -[擇]+아/어. 연결어미 ‘-아’는 모음조화에 따라 ‘-아/어’로 변하지만 ‘-’ 뒤에서 만은 ‘야’로 변동됨.
주012)
셤기논:섬기는. 셤기-[事]++오/우+ㄴ.
주013)
이마단라(夷摩旦羅):외도의 한 사람.
주014)
치오:낯이고. 얼굴이고. [顔]+이+고. 연결어미 ‘-고’가 ‘ㅣ’ 모음 아래서 ‘ㄱ’ 약화된 표기임.
주015)
여듧:여덟. 여듧[八]. 여듧 나랏 王이〈석상 6:7ㄱ〉.
주016)
히오:팔이고. [臂](평성, ㅎ종성체언)+이(서술격조사) +고/오. 연결어미 ‘-고’가 ‘ㅣ’ 모음 아래서 ‘ㄱ’ 약화된 표기임.
주017)
강맹(强猛):굳세고 사나움.
주018)
흉장(凶壯):흉악하고 굳셈.
주019)
더러:더러운. 더럽-[汚](ㅂ불규칙)+은(관형격조사). ⟶ 〈64ㄱ〉 ‘’.
주020)
무를:무리를. 물[群]+을(목적격조사).
주021)
만히:많이. 만-[多]+이(부사 파생접미사).
주022)
리고:데리고. 리-[率]+고.
주023)
몬져:먼저. 몬져[先](평-평, 명사/부사). ‘몬졔’(평-거)〈석상 19:36ㄴ〉도 있음.
주024)
:마을을. [村](ㅎ종성체언)+(목적격조사).
주025)
도녀:돌아다니어. 돌아다니고. 도니-[廻]+아/어.
주026)
버거:다음으로. 둘째로. 버거(평-거, 부사), ‘버거(평-평)’는 명사로 구별됨.
주027)
다니:다다르니. 다-[到](ㄷ불규칙)+(/으)니.
주028)
넉슬:넋을. 넋[魂]+을(목적격조사).
주029)
일허:잃어. 잃-[失]+어(연결어미).
주030)
쳐:쫓겨. -[逐]+이(피동접미사)+아/어.
주031)
니거늘:다니거늘. 니-[行]+거늘. ‘니-’는 ‘-[走]+니-[行]’로 재분석됨. ‘거늘’은 기원적으로 선어말어미 ‘-거-’와 연결어미 ‘-늘’로 분석될 수 있으나, 이 시기에는 ‘-거늘’이 하나의 형태로 고정됨. 이미 일어난 사실을 주관적으로 확신하여 강조하는 선어말어미 ‘-거-’는 어말 말음이 ‘ㅣ’나 ‘ㄹ’, 계사 뒤에서 ‘-어-’(반드시 분철)로 나타남. 이런 음운론적인 교체 외에도 형태론적 교체를 보이기도 하는데 ‘-거/어-’는 자동사와 결합하고 ‘-아/어-’는 타동사와 결합하며 자동사 ‘오-[來]’ 뒤에서는 ‘-나-’로 교체됨.
주032)
연(輦):임금이나 왕비가 타는 수레.
주033)
브리고:부리고. 브리-[使]+고.
주034)
개(盖):(1) 번뇌의 다른 이름. (2) 자루가 긴 우산. 여기서는 (2)의 뜻임.
주035)
앗고:빼앗고. 앗-[奪]+고.
주036)
마자:맞아. 맞-[迎]+아/어.
주037)
백성(百姓)곳:백성을. 백성+곳/옷(강세의 보조사).
주038)
앗기거시든:아끼시면. 앗기-[惜]+거+시+든. 연결어미 ‘-거든’은 선어말어미 ‘-시-’와 결합할 때 ‘시거’로 되지 않고 한 형태소인 ‘-거든’ 안에 ‘-시-’가 삽입되는 불연속 형태소.
주039)
받:밭. 밭[田]. ‘받’은 ‘밭’의 8종성 표기임.
주040)
갈오:갈고. 갈-[耕]+고. 어간 ‘ㄹ’ 아래에서 ‘-고’의 ‘ㄱ’이 약화되어 ‘오’로 표기됨.
주041)
차바내:음식에. 차반에. 차반[餐]+애(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42)
주쇼셔:주십시오. 주소서. 주-[授]+쇼셔(쇼셔체 명령법 종결어미). 중세국어의 종결어미체계는 ‘라’체, ‘야쎠’체, ‘쇼셔’체로 구분되는데 이에 따른 명령형어미는 ‘-라, -어쎠, -쇼셔’로 나타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