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 아육왕의 불법 귀의
  • 아육왕의 불법 귀의 11
메뉴닫기 메뉴열기

아육왕의 불법 귀의 11


[아육왕의 불법 귀의 11]
◯ 그제 뎌 比丘ㅣ【偈  주001)
:
사뢴. 여쭌. -[白](ㅂ불규칙)+(관형사형어미) ⟶ 〈64ㄱ〉 ‘’.
比丘ㅣ라】
阿育王 濟度고 虛空애 올아 나거늘 주002)
나거늘:
나가거늘. 나-[出]+거늘. ‘거/늘’은 기원적으로 선어말어미 ‘-거-’와 연결어미 ‘-/늘’로 분석될 수 있으나 이 시기에는 ‘-거/거늘’이 하나의 형태로 고정됨.
그제 王도 地獄애셔 나려커늘 주003)
나려커늘:
나가려 하니. 나-[出]+려(의도의 연결어미)+-+거늘.
兇主ㅣ 닐오 王이 외야 주004)
외야:
다시. 외야[更](평-평-거, 부사).
나시리다 주005)
나시리다:
나실 것입니다. 나-[出]+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王이 닐오 네 이제 나 주규려 주006)
주규려:
죽이려. 죽-[死]+이(사동접미사)+오/우+려(의도의 연결어미).
다 주007)
다:
하느냐? -+(현재시상 선어말어미)+ㄴ다(라체 2인칭 의문법 종결어미). 중세국어의 의문법은 설명의문, 판정의문, 주어의 인칭 등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는데 주어의 인칭에 제약 없이 사용되는 의문법 종결어미 ‘-녀/니아(판정의문), 뇨/니오(설명의문)’와 주어가 2인칭일 때만 사용되는 ‘-ㄴ다’(판정의문과 설명의문 비구분), 내적 사유 구문에 쓰이는 ‘-(/으)ㄴ가/ㄴ고’가 있음.
兇主ㅣ 닐오 그리노

월인석보 25:87ㄴ

다
주008)
그리노다:
그리합니다. 그렇게 하겠습니다. 그리-+(현재시상 선어말어미)+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다.
王이 닐오 주009)
뉘:
누가. 누[誰]+ㅣ(주격조사). 현대어 ‘누/누구’ ‘누구’는 여기 ‘누’는 ‘뉘’ 주격형, ‘눌’ 목적격형, ‘누고’는 의문형으로 쓰였으나, 이 중의 ‘누고’는 중세어 말기에 ‘누구’〈석봉 천자〉는 대명사로 재구조화됨.
몬져 드뇨 주010)
드뇨:
들어왔는가? 들-[入]+니오/뇨(의문법 종결어미).
對答호 내 몬져 드로다 주011)
드로다:
들어왔습니다. 들-[入]+오/우++다.
王이 닐오 그러면 네 몬져 주그리라 고 즉재 그 놈 자바 브레 라 주012)
라:
살라. -[燒]+아/어(보조적 연결어미).
주기고 地獄 허러 주013)
허러:
헐어. 헐-[壞]+어.
리니라
◯ 王이 信心 得야 道人 주014)
도인(道人):
출가한 수행자.
 무로 내 아래 주015)
아래:
예전. 전일(前日). 아래(상-거, 명사). 이는 ‘아래(평-거, 명사)’, ‘아래[下], 뒤’의 뜻과는 성조로 구별됨. 이와 관련되는 부사 ‘아[曾](상-거/상-평)’도 있음.
브터 사 주규 주016)
주규:
죽이되. 죽-[死]+이(사동접미사)+오.
올히 주017)
올히:
옳게. 옳-[是]+이(부사 파생접미사).
몯호니 이제 엇

월인석보 25:88ㄱ

던 善을 닷가 주018)
닷가:
닦아야. -[修]+아/어+(강세의 보조사).
주019)
앙(殃):
재앙(災殃). 천변(天變) 지이(地異)로 말미암아 생긴 불행한 사고. 신이나 부처님의 꾸짖음.
免리고 주020)
면(免)리고:
면하겠습니까? 免-+리+(상대높임 선어말어미)+고(설명의 의문법 종결어미). 중세국어 의문법은 의문사가 있는 설명법 의문문과 의문사가 없는 판정의문문으로 나뉘는데, 전자의 경우는 ‘-오’가 후자의 경우는 ‘-아’가 사용된다.
對答호 오직 塔 이고 주021)
이고:
이루어지고. 되고. 일-[成](평성, 동사)+(/으)고. 成은 씨라〈훈언 13〉.
衆僧 주022)
중승(衆僧):
많은 수행하는 스님.
供養고 가틴 주023)
가틴:
갇힌. 가티-[囚]+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사 주024)
사(赦):
용서함. 사면함.
고 艱難 주025)
간난(艱難):
고통스럽고 괴로운 것. 이는 현대어 ‘가난’의 원말임.
 사 賑濟 주026)
진제(賑濟):
물품을 베풀어 구제함.
쇼셔 주027)
쇼셔:
하십시오. -+쇼셔(쇼셔체 명령법 종결어미). 중세국어의 종결어미체계는 ‘라’체, ‘야쎠’체, ‘쇼셔’체로 구분되는데 이에 따른 명령형어미는 ‘-라, -어쎠, -쇼셔’로 나타남.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時彼比丘度阿育王已 乘空而化 時王從彼地獄欲出 凶主白王言王不復得去 王曰汝今欲殺我耶 彼曰如是
王曰 誰先入此中 答曰我是 王曰若然者汝先應取死 王即勅人將此凶主 著作膠舍裏以火燒之 又勅壞此地獄施衆生無畏
(傳云) 王得信心 問道人曰 我從來殺害不必以理 今修何善得免斯殃
答曰 唯有起塔供養衆僧 赦諸徒囚賑濟貧乏 (王曰 何處可起塔 道人即以神力左手掩日 日光作八萬四千道 散照閻浮提 所照之處皆可起塔 今諸塔處是也)

[아육왕의 불법 귀의 11]
◯ 그때 그 비구가【게송을 사뢴 비구이다.】 아육왕을 제도하고 허공에 올라 〈밖으로〉 나가거늘, 그때 왕도 지옥에서(지옥 같은 곳에서) 나가려 하니, 〈흉악한〉 주인이 이르기를, “왕이 다시는 못 나가십니다.” 왕이 이르기를, “네가 이제 나를 죽이려 하느냐?” 흉악한 주인이 이르되, “그리합니다.”
왕이 이르기를, “누가 먼저 들어왔는가?” 대답하기를, “내가 먼저 들어왔습니다.” 왕이 이르되, “그러면 네가 먼저 죽을 것이다.” 하고, 즉시 그 놈을 잡아 불에 살라 죽이고 지옥〈같은 집〉을 헐어버렸다.
◯ 왕이 신심을 얻어 도인에게 묻기를, “내가 예전부터 사람을 죽이되 옳게 하지 못했으니, 이제 어떤 선을 닦아야 이 재앙을 면하겠습니까?”
대답하기를, “오직 탑이 이루어지고(탑을 세우고), 중승을 공양하고, 〈감옥에〉 갇힌 사람을 사면하고, 어려운 사람을 구제하십시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사뢴. 여쭌. -[白](ㅂ불규칙)+(관형사형어미) ⟶ 〈64ㄱ〉 ‘’.
주002)
나거늘:나가거늘. 나-[出]+거늘. ‘거/늘’은 기원적으로 선어말어미 ‘-거-’와 연결어미 ‘-/늘’로 분석될 수 있으나 이 시기에는 ‘-거/거늘’이 하나의 형태로 고정됨.
주003)
나려커늘:나가려 하니. 나-[出]+려(의도의 연결어미)+-+거늘.
주004)
외야:다시. 외야[更](평-평-거, 부사).
주005)
나시리다:나실 것입니다. 나-[出]+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주006)
주규려:죽이려. 죽-[死]+이(사동접미사)+오/우+려(의도의 연결어미).
주007)
다:하느냐? -+(현재시상 선어말어미)+ㄴ다(라체 2인칭 의문법 종결어미). 중세국어의 의문법은 설명의문, 판정의문, 주어의 인칭 등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는데 주어의 인칭에 제약 없이 사용되는 의문법 종결어미 ‘-녀/니아(판정의문), 뇨/니오(설명의문)’와 주어가 2인칭일 때만 사용되는 ‘-ㄴ다’(판정의문과 설명의문 비구분), 내적 사유 구문에 쓰이는 ‘-(/으)ㄴ가/ㄴ고’가 있음.
주008)
그리노다:그리합니다. 그렇게 하겠습니다. 그리-+(현재시상 선어말어미)+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다.
주009)
뉘:누가. 누[誰]+ㅣ(주격조사). 현대어 ‘누/누구’ ‘누구’는 여기 ‘누’는 ‘뉘’ 주격형, ‘눌’ 목적격형, ‘누고’는 의문형으로 쓰였으나, 이 중의 ‘누고’는 중세어 말기에 ‘누구’〈석봉 천자〉는 대명사로 재구조화됨.
주010)
드뇨:들어왔는가? 들-[入]+니오/뇨(의문법 종결어미).
주011)
드로다:들어왔습니다. 들-[入]+오/우++다.
주012)
라:살라. -[燒]+아/어(보조적 연결어미).
주013)
허러:헐어. 헐-[壞]+어.
주014)
도인(道人):출가한 수행자.
주015)
아래:예전. 전일(前日). 아래(상-거, 명사). 이는 ‘아래(평-거, 명사)’, ‘아래[下], 뒤’의 뜻과는 성조로 구별됨. 이와 관련되는 부사 ‘아[曾](상-거/상-평)’도 있음.
주016)
주규:죽이되. 죽-[死]+이(사동접미사)+오.
주017)
올히:옳게. 옳-[是]+이(부사 파생접미사).
주018)
닷가:닦아야. -[修]+아/어+(강세의 보조사).
주019)
앙(殃):재앙(災殃). 천변(天變) 지이(地異)로 말미암아 생긴 불행한 사고. 신이나 부처님의 꾸짖음.
주020)
면(免)리고:면하겠습니까? 免-+리+(상대높임 선어말어미)+고(설명의 의문법 종결어미). 중세국어 의문법은 의문사가 있는 설명법 의문문과 의문사가 없는 판정의문문으로 나뉘는데, 전자의 경우는 ‘-오’가 후자의 경우는 ‘-아’가 사용된다.
주021)
이고:이루어지고. 되고. 일-[成](평성, 동사)+(/으)고. 成은 씨라〈훈언 13〉.
주022)
중승(衆僧):많은 수행하는 스님.
주023)
가틴:갇힌. 가티-[囚]+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24)
사(赦):용서함. 사면함.
주025)
간난(艱難):고통스럽고 괴로운 것. 이는 현대어 ‘가난’의 원말임.
주026)
진제(賑濟):물품을 베풀어 구제함.
주027)
쇼셔:하십시오. -+쇼셔(쇼셔체 명령법 종결어미). 중세국어의 종결어미체계는 ‘라’체, ‘야쎠’체, ‘쇼셔’체로 구분되는데 이에 따른 명령형어미는 ‘-라, -어쎠, -쇼셔’로 나타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