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 〈협주〉 목련의 난타용왕 교화
  • 목련의 난타용왕 교화 5
메뉴닫기 메뉴열기

목련의 난타용왕 교화 5


[목련의 난타용왕 교화 5]
龍王目連려 주001)
목련(目連)려:
목련에게. 目蓮+려(부사격조사). ‘려(평거)’는 현대국어 ‘더러’로 연결되는 조사로 기원적으로는 ‘리-[率](평-거)’의 부사형이 문법화된 형태. ‘려’는 항상 ‘니-[謂]’, ‘묻-[問]’의 지배를 받음.
닐오 尊者ㅣ 엇뎨 우리 이리 보차시니가 주002)
보차시니가:
보채십니까? 괴롭히십니까? 보차-[惱]+시++니++가. → 〈75ㄴ〉‘주기시니고’.
엇던 誡勑호려 주003)
계칙(誡勅)호려:
부처님이 타일러 고하려. 誡勅-+오/우+려.
시고 주004)
시고:
하십니까? 하시는 것입니까? -+시++ㄴ고(의문법 종결어미).
目連이 닐오 너희 어제 너교 주005)
너교:
여기되. 여기기를. 너기-[念]+오.
엇뎨 머리 믠 沙門이 녜 내 우희 라니니 주006)
라니니:
날아다니니. -[飛]+아/어#니-[走]++니.
이긔유리라 주007)
이긔유리라:
이기리라. 이길 것이다. 이긔-[勝]+오/우+리+다/라. 서술격조사 ‘이-’와 선어말어미 ‘-오/우-, -니-, -리-, -더-, -지-’등 뒤에서는 종결어미 ‘-다’가 ‘-라’로 교체됨.
던다 주008)
던다:
하였느냐? -+더+ㄴ다(라체 2인칭 의문법 종결어미). → 〈37ㄴ〉 ‘아다’.
龍王이 對答호 올니다 주009)
올니다:
옳습니다. 그렇습니다. 올-[正]+니++다.
目連이 닐오 龍王아 알라 이 須彌山諸天 주010)
제천(諸天):
천상(天上) 세계에 살며 불법을 수호하는 모든 신들.
길히라 주011)
길히라:
길이어서. 긿[路](ㅎ종성체언)+이(서술격조사)+라(이유의 연결어미).
사논 주012)
사논:
사는. 살-[生]+오/우+ㄴ.
히 아니라 龍王이 對答호 願 주013)
원(願):
원컨대. 願(거-평-거, 부사). 본래는 ‘願-(동사)+(/으)ㄴ(관형사형 연결어미)#(의존명사)+(/으)ㄴ//는(대조의 보조조사)’와 같은 구성으로 ‘원하는 바는’로 쓰이다가 부사로 굳어진 것임.
리샤 주014)
리샤:
버리시어. 리-[棄]+시+아/어.
외다 주015)
외다:
그르다. 외다[非](평-거, 형용사)+다/라.
마쇼셔 주016)
마쇼셔:
마소서. 말-[休]+(/으)쇼셔(쇼셔체 명령법 종결어미). 현대어에서처럼 어간말음 ‘ㄹ’이 어미의 두음 ‘ㅅ’ 위에서 탈락되는 것이 아니라, 중세국어에서는 매개모음 (/으)를 개입시켜 ‘ㄹ’을 연철 표기한 것임.
오록 주017)
오록:
오늘부터. 오[今]+(으)로(부사격조사)+ㄱ(강세의 보조조사).
後에 주018)
후(後)에:
후에야. 후에는. 後+에(처소의 부사격조사)+(강세의 보조조사).
외 주019)
외:
다시. 외[更](평-평, 부사). 앞의 ‘외야’와 같이 부사로 씌었음.
어즈려 주020)
어즈려:
어지럽혀. 어즈리-[亂](동사)+아/어.
모딘  니왇디 주021)
니왇디:
일으키지. 니왇-[起]+디(부정의 보조적 연결어미). ‘니왇-’은 ‘닐-[起]’에 강세첨미사 ‘왇’이 결합한 것으로 재분석됨.
아니호

월인석보 25:109ㄱ

리니 願 弟子ㅣ 외아지다 주022)
외아지다:
되고 싶습니다. 외-[爲]+아/어+지다. 청원의 뜻을 가진 명령법에는 ‘-고려, -고라’와 ‘-지라(라체), 지다(하쇼셔체)’가 존재함. ‘-지라, -지다’는 화자 자신의 일이 이루어지게 해달라는 표현이며 항상 선어말어미 ‘-거/어-, -아/어-’가 선행함.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是時 二龍王目連言 尊者何為觸嬈我乃爾 欲何所誡勅 目連報曰 汝等昨日而作是念 云何禿頭沙門恒在我上飛 今當制御之 龍王報曰 如是 目連 目連告曰 龍王當知 此須彌山者是諸天道路 非汝所居之處 龍王報曰 唯願恕之 不見重責 自今以後更不敢觸嬈 興惡亂想 唯願聽爲弟子

[목련의 난타용왕 교화 5]
용왕목련에게 이르기를, “존자가 어찌 우리를 이리 괴롭히십니까? 어떤 타이름을(훈계를) 내리시려고 하시는가?” 목련이 이르기를, “너희가 어제 생각하기를, ‘어찌 머리 민 사문이 항상 내 위에 날아다니니 〈우리가〉 이길 것이다’ 하였느냐?” 용왕이 대답하되, “그렇습니다.” 목련이 이르기를, “용왕아 알아라. 이 수미산은 제천의 길이여서, 네가 사는 곳이 아니다.” 용왕이 대답하기를, “원컨대 버리시어 그르다고는 마십시오. 오늘부터 이후에는 다시 어지럽혀 나쁜 뜻을 일으키지 않을 것이니 원컨대 제자가 되고 싶습니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목련(目連)려:목련에게. 目蓮+려(부사격조사). ‘려(평거)’는 현대국어 ‘더러’로 연결되는 조사로 기원적으로는 ‘리-[率](평-거)’의 부사형이 문법화된 형태. ‘려’는 항상 ‘니-[謂]’, ‘묻-[問]’의 지배를 받음.
주002)
보차시니가:보채십니까? 괴롭히십니까? 보차-[惱]+시++니++가. → 〈75ㄴ〉‘주기시니고’.
주003)
계칙(誡勅)호려:부처님이 타일러 고하려. 誡勅-+오/우+려.
주004)
시고:하십니까? 하시는 것입니까? -+시++ㄴ고(의문법 종결어미).
주005)
너교:여기되. 여기기를. 너기-[念]+오.
주006)
라니니:날아다니니. -[飛]+아/어#니-[走]++니.
주007)
이긔유리라:이기리라. 이길 것이다. 이긔-[勝]+오/우+리+다/라. 서술격조사 ‘이-’와 선어말어미 ‘-오/우-, -니-, -리-, -더-, -지-’등 뒤에서는 종결어미 ‘-다’가 ‘-라’로 교체됨.
주008)
던다:하였느냐? -+더+ㄴ다(라체 2인칭 의문법 종결어미). → 〈37ㄴ〉 ‘아다’.
주009)
올니다:옳습니다. 그렇습니다. 올-[正]+니++다.
주010)
제천(諸天):천상(天上) 세계에 살며 불법을 수호하는 모든 신들.
주011)
길히라:길이어서. 긿[路](ㅎ종성체언)+이(서술격조사)+라(이유의 연결어미).
주012)
사논:사는. 살-[生]+오/우+ㄴ.
주013)
원(願):원컨대. 願(거-평-거, 부사). 본래는 ‘願-(동사)+(/으)ㄴ(관형사형 연결어미)#(의존명사)+(/으)ㄴ//는(대조의 보조조사)’와 같은 구성으로 ‘원하는 바는’로 쓰이다가 부사로 굳어진 것임.
주014)
리샤:버리시어. 리-[棄]+시+아/어.
주015)
외다:그르다. 외다[非](평-거, 형용사)+다/라.
주016)
마쇼셔:마소서. 말-[休]+(/으)쇼셔(쇼셔체 명령법 종결어미). 현대어에서처럼 어간말음 ‘ㄹ’이 어미의 두음 ‘ㅅ’ 위에서 탈락되는 것이 아니라, 중세국어에서는 매개모음 (/으)를 개입시켜 ‘ㄹ’을 연철 표기한 것임.
주017)
오록:오늘부터. 오[今]+(으)로(부사격조사)+ㄱ(강세의 보조조사).
주018)
후(後)에:후에야. 후에는. 後+에(처소의 부사격조사)+(강세의 보조조사).
주019)
외:다시. 외[更](평-평, 부사). 앞의 ‘외야’와 같이 부사로 씌었음.
주020)
어즈려:어지럽혀. 어즈리-[亂](동사)+아/어.
주021)
니왇디:일으키지. 니왇-[起]+디(부정의 보조적 연결어미). ‘니왇-’은 ‘닐-[起]’에 강세첨미사 ‘왇’이 결합한 것으로 재분석됨.
주022)
외아지다:되고 싶습니다. 외-[爲]+아/어+지다. 청원의 뜻을 가진 명령법에는 ‘-고려, -고라’와 ‘-지라(라체), 지다(하쇼셔체)’가 존재함. ‘-지라, -지다’는 화자 자신의 일이 이루어지게 해달라는 표현이며 항상 선어말어미 ‘-거/어-, -아/어-’가 선행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