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 보리수와 승중 공양
  • 보리수와 승중 공양 5
메뉴닫기 메뉴열기

보리수와 승중 공양 5


[보리수와 승중 공양 5]
如來 比丘僧

월인석보 25:122ㄴ

리시고 城에 드러 주001)
드러:
들어가. 들-[入]+아/어.
乞食 제 王과 두 童子ㅣ 몰앳 주002)
몰앳:
모래의. 몰애[砂]+ㅅ(관형격조사).
가온 주003)
가온:
가운데[中]. 가온[中](평-거-거). 이는 ‘가’〈월석 14:80〉의 바뀐 것임.
이셔 노시다가 주004)
노시다가:
노시다가. 놀-[遊](상성)+(/으)시+다가.
부텨 오시거늘 라고 주005)
라고:
바라보고. 쳐다보고. 라-[望]++고.
몰애 바다 부텨받시 주006)
받시:
바치시니. 받들어 올리시니. 받-[奉]++아+시+. ‘아/어’ 연결어미 ‘-아/어’에 선어말어미 ‘-시-’가 결합할 때 ‘-시아’로 되지 않고 한 형태소 안에 ‘-시-’가 삽입된다. 이런 형태를 불연속 형태소라고 함. ⟶ 〈63ㄱ〉 ‘받리라’.
世尊記샤 주007)
기(記)샤:
수기하시되. 수기하시기를. 記-+시+오. 선어말어미 ‘-시-’는 선어말어미 ‘-오/우-’ 앞에서 ‘샤’로 변동됨.
뎌 童子ㅣ 나 滅度 百歲 後에 이 童子ㅣ 巴連弗邑에 王

월인석보 25:123ㄱ

이 외야 閻浮提 주008)
염부제(閻浮提):
Jambu-dvīpa. 수미산 남쪽, 7금산(金山)과 대철위산(大鐵衛山) 중간에 있는 수미4주(須彌四州)의 하나. 후에는 인간세계, 사바세계로 일컫게 됨.
 거느려 일후미 阿育이리니 내 舍利 너비 주009)
너비:
널리. 넓게. 넙-[廣]+이(부사 파생접미사).
주010)
펴:
펴. 펴-[放]+(아/어).
 주011)
:
하루의. [一日]+ㅅ(관형격조사).
內예 八萬四千 塔 셰리라 주012)
셰리라:
세우리라. 세울 것이다. 셰-[立](사동사)+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다/라(설명법 종결어미). 서술격조사 ‘이-’와 선어말어미 ‘-오/우-, -니-, -리-, -더-, -지-’ 등 뒤에서는 종결어미 ‘-다’가 ‘-라’로 교체됨.
시니 이제 王 모미 긔시니다 주013)
긔시니다:
그(분)이십니다. 그+ㅣ(서술격조사)+니++다.
내 그제  그 中에 잇다다 주014)
잇다다:
있었습니다. 잇-[有]+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오/우++다. 선어말어미 ‘-오/우-’는 모음어간이 ‘아·어·오·우’일 경우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어간의 성조변동만 나타나고, 어간이 ‘, 으’이면 그 어간모음이 탈락한다. 어간모음이 단모음 ‘ㅣ’이면 ‘-오/우-’와 합음되어 ‘-요/유-’로 실현되고, 또 선어말어미 ‘-더-, -거/어-’와 연결되면 ‘-다-, -가/아-, -과/와-’가 됨.
王이 尊者  尊者ㅣ 이제 어듸 주015)
어듸:
어디. 어듸[何處](평-거, 대명사).
겨시니고 尊

월인석보 25:123ㄴ

者ㅣ 對答호 北山애 잇노니 주016)
잇노니:
있으니. 잇-[有]++오/오+니.
山ㅅ 일후미 주017)
일후미:
이름이. 일훔[名]+이(주격조사).
揵陁摩羅ㅣ니 가지로 주018)
가지로:
함께. ‘+가지+로’의 구성이나, 부사로(평-평-거-거) 재구조화된 것으로 봄. 부톄 니샤 가지로 그지업스며 업스리라〈석상 23:4ㄴ〉.
梵行 주019)
범행(梵行):
맑고 깨끗한 행실. 더럽고 추한 음욕을 끊는 것.
 僧콰 주020)
승(僧)콰:
승들과. 僧+(복수접미사)+과(접속조사).
 잇노다 주021)
잇노다:
있습니다. 잇-[有]++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다.
王이  무로 몃 眷屬 주022)
권속(眷屬):
자기 집안에 딸린 식구. 여기서는 불·보살을 따르는 이.
이 잇니고 尊者ㅣ 對答호 六萬 阿羅漢 주023)
아라한(阿羅漢):
arahan. 나한(羅漢). 소승불교에서 최상의 성자. 존경받을 만한 수행자.
이니다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又復如來 將諸比丘僧 入城乞食 時王共二童子 沙土中戲峰見佛來 捧於塵沙奉上於佛 時世尊記彼童子 於我滅度百歲之後 此童子於巴連弗邑當受王位領閻浮提 名曰阿育 當廣布我舍利 一日之中當造八萬四千塔 今王身是也 我爾時亦在於中 (而說偈曰 … 줄임) 時王白尊者曰 尊者今住在何處 尊者答王曰 在於北山 山名揵陀摩羅 共諸同梵行僧 王復問曰有幾眷屬 尊者答曰六萬阿羅漢

[보리수와 승중 공양 5]
여래가 비구승들을 데리시고 성에 들어가 걸식하실 때, 왕과 두 동자가 모래 가운데서 노시다가 부처님이 오시니 바라보고 모래를 받아 부처님께 바치시니, 세존이 수기하시기를, ‘저 동자가 나 멸도한 백년 후에 이 동자가 파련불읍에 왕이 되어 염부제를 거느려 이름이 아육일 것이니, 나의 사리를 널리 펴 하루 안에 8만 4천 탑을 세울 것이다.’ 하셨으니, 지금 왕의 몸이 그〈분〉이십니다. 내가 그때 또 그 중에 있었습니다.” 왕이 존자께 사뢰기를, “존자가(존자는) 지금 어디 계십니까?” 존자가 대답하기를, “북산에 있으니 산의 이름이 건타마라이니 함께 범행하는 승려들과 한데 있습니다.” 왕이 또 묻기를, “몇 〈명의〉 권속이 있습니까?” 존자가 대답하기를, “6만 아라한입니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드러:들어가. 들-[入]+아/어.
주002)
몰앳:모래의. 몰애[砂]+ㅅ(관형격조사).
주003)
가온:가운데[中]. 가온[中](평-거-거). 이는 ‘가’〈월석 14:80〉의 바뀐 것임.
주004)
노시다가:노시다가. 놀-[遊](상성)+(/으)시+다가.
주005)
라고:바라보고. 쳐다보고. 라-[望]++고.
주006)
받시:바치시니. 받들어 올리시니. 받-[奉]++아+시+. ‘아/어’ 연결어미 ‘-아/어’에 선어말어미 ‘-시-’가 결합할 때 ‘-시아’로 되지 않고 한 형태소 안에 ‘-시-’가 삽입된다. 이런 형태를 불연속 형태소라고 함. ⟶ 〈63ㄱ〉 ‘받리라’.
주007)
기(記)샤:수기하시되. 수기하시기를. 記-+시+오. 선어말어미 ‘-시-’는 선어말어미 ‘-오/우-’ 앞에서 ‘샤’로 변동됨.
주008)
염부제(閻浮提):Jambu-dvīpa. 수미산 남쪽, 7금산(金山)과 대철위산(大鐵衛山) 중간에 있는 수미4주(須彌四州)의 하나. 후에는 인간세계, 사바세계로 일컫게 됨.
주009)
너비:널리. 넓게. 넙-[廣]+이(부사 파생접미사).
주010)
펴:펴. 펴-[放]+(아/어).
주011)
:하루의. [一日]+ㅅ(관형격조사).
주012)
셰리라:세우리라. 세울 것이다. 셰-[立](사동사)+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다/라(설명법 종결어미). 서술격조사 ‘이-’와 선어말어미 ‘-오/우-, -니-, -리-, -더-, -지-’ 등 뒤에서는 종결어미 ‘-다’가 ‘-라’로 교체됨.
주013)
긔시니다:그(분)이십니다. 그+ㅣ(서술격조사)+니++다.
주014)
잇다다:있었습니다. 잇-[有]+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오/우++다. 선어말어미 ‘-오/우-’는 모음어간이 ‘아·어·오·우’일 경우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어간의 성조변동만 나타나고, 어간이 ‘, 으’이면 그 어간모음이 탈락한다. 어간모음이 단모음 ‘ㅣ’이면 ‘-오/우-’와 합음되어 ‘-요/유-’로 실현되고, 또 선어말어미 ‘-더-, -거/어-’와 연결되면 ‘-다-, -가/아-, -과/와-’가 됨.
주015)
어듸:어디. 어듸[何處](평-거, 대명사).
주016)
잇노니:있으니. 잇-[有]++오/오+니.
주017)
일후미:이름이. 일훔[名]+이(주격조사).
주018)
가지로:함께. ‘+가지+로’의 구성이나, 부사로(평-평-거-거) 재구조화된 것으로 봄. 부톄 니샤 가지로 그지업스며 업스리라〈석상 23:4ㄴ〉.
주019)
범행(梵行):맑고 깨끗한 행실. 더럽고 추한 음욕을 끊는 것.
주020)
승(僧)콰:승들과. 僧+(복수접미사)+과(접속조사).
주021)
잇노다:있습니다. 잇-[有]++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다.
주022)
권속(眷屬):자기 집안에 딸린 식구. 여기서는 불·보살을 따르는 이.
주023)
아라한(阿羅漢):arahan. 나한(羅漢). 소승불교에서 최상의 성자. 존경받을 만한 수행자.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