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 석존 설법처의 탑묘 건립 ②
  • 석존 설법처의 탑묘 건립과 대제자의 사리탑 공양 8
메뉴닫기 메뉴열기

석존 설법처의 탑묘 건립과 대제자의 사리탑 공양 8


[석존 설법처의 탑묘 건립과 대제자의 사리탑 공양 8]
龍王이 닐오 올다 주001)
올다:
옳습니다. 그렇습니다. 옳-[正]+(/으)+다.
고 사 주002)
사:
사람의. 사[人]+(관형격조사).
 외어늘 目連世尊 가 머리 조 주003)
조:
조아리다. 좃-[叩頭](ㅅ불규칙)+아/어. → 〈65ㄴ〉 ‘지시관’.
禮數고 주004)
예수(禮數)고:
상대방의 지위에 알맞은 격식으로 예를 드리고. 禮數-++고.
녁 주005)
녁:
한녘. 한편. 한쪽. [一]+녁[方]. 두 음절 사이에서 ‘ㄴ’이 연이어 나므로 한쪽을 줄인 동음탈락으로 봄.
面에 안자 龍王려 닐오 이제 正히 時節이니 나 주006)
나:
나아가. 낫-[進](상성, ㅅ불규칙)+아/어(연결어미).
드라 주007)
드라:
들라. 들-[入]++(/으)라. ‘ㅿ, ㅅ, ㅈ, ㅊ’음 앞에서 어간의 ‘ㄹ’이 탈락됨.
그 龍王이 즉재 坐로셔 니러 주008)
니러:
일어나. 닐-[起]+아/어.
러 주009)
러:
꿇어. -[跪]+아/어.
叉手야 주010)
차수(叉手)야:
차수하여. 叉手-+아/어. → 〈105ㄴ〉 ‘차수’.
世尊  우리히 주011)
:
한. [一](평성, 관형사).
일후믄 難陁ㅣ오 주012)
두:
두. 두[二](상성, 관형사).
일후믄 優槃難陁ㅣ로니 如來오 주013)
오:
와. 오-[來]++아/어. ⟶ 〈63ㄱ〉 ‘받리라’.
五戒 주014)
오계(五戒):
panca śīlāni. 불교에 귀의하는 재가의 남녀가 받을 다섯 가지 계율. 1) 중생을 죽이지 말라. 2) 훔치지 말라. 3) 음행(淫行)하지 말라. 4) 거짓말하지 말라. 5) 술 마시지 말라.
受持 주015)
수지(受持):
가르침을 받아 기억함.
리니 願世尊優婆塞 주016)
우바새(優婆塞):
upāsaka. 속가(俗家)에 있으면서 불교를 믿는 남자. 흔히 ‘우바새’로 발음함.
이 외라 쇼셔 목숨 록 주017)
록:
끝나도록. 다하도록. -[畢]+록(도급의 연결어미).

월인석보 25:110ㄱ

외야 주018)
외야:
다시. 외야[更](평-평-거, 부사).
殺生 아니호리다 주019)
아니호리다:
않겠습니다. 아니-+오/우+리++다.
그 世尊彈指 주020)
탄지(彈指):
손톱이나 손가락을 튀김.
샤 그리라 시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龍王報曰 如是 目連 是時 龍王還隱龍形 化作人形 (不長不短 容貌端正 如桃華色) 是時 目連世尊所 頭面禮足 在一面坐 是時 目連龍王曰 今正是時 宜可前進 是時 龍王目連語 即從坐起 長跪叉手 白世尊言 我等二族姓子 一名難陀 二名優槃難陀 自歸如來 受持五戒 唯願世尊聽爲優婆塞 盡形壽不復殺生 爾時 世尊彈指可之.】

[석존 설법처의 탑묘 건립과 대제자의 사리탑 공양 8]
용왕이 이르기를, “옳습니다.” 하고, 사람의 모습이 되니, 목련세존께 가 머리를 조아려 예수하고 한 쪽에 앉아 용왕에게 이르기를, “이제 적절한 때이니 〈세존 앞에〉 나아가 들라.” 그때 용왕이 즉시 자리에서 일어나 꿇고 차수하여 세존께 이르기를, “우리들이 한 〈용의〉 이름은 난타이고, 둘째의 이름은 우반난타이니, 여래께 와서 오계를 수지할 것이니, 원컨대 세존이 ‘우바새가 되라.’ 하십시오. 목숨이 다하도록 다시는 살생을 아니 할 것입니다.” 그때 세존이 탄지하시어 “그리하라.” 하셨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올다:옳습니다. 그렇습니다. 옳-[正]+(/으)+다.
주002)
사:사람의. 사[人]+(관형격조사).
주003)
조:조아리다. 좃-[叩頭](ㅅ불규칙)+아/어. → 〈65ㄴ〉 ‘지시관’.
주004)
예수(禮數)고:상대방의 지위에 알맞은 격식으로 예를 드리고. 禮數-++고.
주005)
녁:한녘. 한편. 한쪽. [一]+녁[方]. 두 음절 사이에서 ‘ㄴ’이 연이어 나므로 한쪽을 줄인 동음탈락으로 봄.
주006)
나:나아가. 낫-[進](상성, ㅅ불규칙)+아/어(연결어미).
주007)
드라:들라. 들-[入]++(/으)라. ‘ㅿ, ㅅ, ㅈ, ㅊ’음 앞에서 어간의 ‘ㄹ’이 탈락됨.
주008)
니러:일어나. 닐-[起]+아/어.
주009)
러:꿇어. -[跪]+아/어.
주010)
차수(叉手)야:차수하여. 叉手-+아/어. → 〈105ㄴ〉 ‘차수’.
주011)
:한. [一](평성, 관형사).
주012)
두:두. 두[二](상성, 관형사).
주013)
오:와. 오-[來]++아/어. ⟶ 〈63ㄱ〉 ‘받리라’.
주014)
오계(五戒):panca śīlāni. 불교에 귀의하는 재가의 남녀가 받을 다섯 가지 계율. 1) 중생을 죽이지 말라. 2) 훔치지 말라. 3) 음행(淫行)하지 말라. 4) 거짓말하지 말라. 5) 술 마시지 말라.
주015)
수지(受持):가르침을 받아 기억함.
주016)
우바새(優婆塞):upāsaka. 속가(俗家)에 있으면서 불교를 믿는 남자. 흔히 ‘우바새’로 발음함.
주017)
록:끝나도록. 다하도록. -[畢]+록(도급의 연결어미).
주018)
외야:다시. 외야[更](평-평-거, 부사).
주019)
아니호리다:않겠습니다. 아니-+오/우+리++다.
주020)
탄지(彈指):손톱이나 손가락을 튀김.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