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 〈협주〉 태자 법익 이야기
  • 태자 법익 이야기 3
메뉴닫기 메뉴열기

태자 법익 이야기 3


[태자 법익 이야기 3]
乞食야 두루 주001)
두루:
두루. 두루[周](평-평, 부사). ‘두로, 두’형도 쓰임.
녀 주002)
녀:
다녀. -[走]+니-[行]+아/어(연결어미).
마초아 주003)
마초아:
맞추어. 마침. 마초-[對]+아/어. 본래는 동사의 활용형이나(평-거-평), 여기서 ‘마초아(평-거-거)’는 부사 ‘마침’으로 어휘화한 것으로 풀이함.
本國에 도라와 주004)
도라와:
돌아와. 돌-[回]+아/어#오-[來]+아/어.
 주005)
:
오히려. 아직도. 이내. [猶](평-거, 부사).
一弦琴 주006)
일현금(一絃琴):
한 가닥의 줄로 된 현악기.
가져 주007)
가져:
가지고. 가지-[持]+아/어. 중세국어에서의 연결어미 ‘-아/어’는 현대국어 ‘-아/어’보다 그 활용영역이 넓다. 현대국어에서는 선행동작을 완료하고 후행동작을 이어줄 경우 연결어미 ‘-고’가 나타나는데 중세국어에서는 이런 경우에도 연결어미 ‘-아/어’가 나타나는 일이 많다. 이 문맥의 ‘가져’ 역시 현대어로는 ‘가지고’로 풀이하는 것이 자연스러움.
마다 주008)
마다:
곳마다. [處]+마다(보조사).
놀어늘 주009)
놀어늘:
놀거늘. 노니. 놀-[遊]+거늘/어늘.
그제 주010)
그제:
그때. 그제(평-평, 명사). 이는 동음어로 ‘자리, 흠, 허물, 흔적’의 뜻으로도 쓰였음.
大臣이 太子  주011)
태자(太子) :
태자인 것을. 太子+이/ㅣ(서술격조사)+ㄴ(관형사형 연결어미)#(의존명사)+(목적격조사).
알며  夫人

월인석보 25:142ㄱ

주012)
혼:
한. -+오/우+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이린  주013)
이린 :
일인 줄을. 일[事]+이(서술격조사)+ㄴ(관형사형 연결어미)#(의존명사)+(목적격조사).
〈*아〉□□□□□□□ 다 사 브터 주014)
브터:
붙어. 의지해. 븥-[依, 附]+아/어.
王□□□□□□〈*〉 盲人이 琴을 □□□□□□매 드르쇼셔 주015)
드르쇼셔:
들으십시오. 듣-[聞](ㄷ불규칙)+(/으)쇼셔. 중세국어의 종결어미체계는 ‘라’체, ‘야쎠’체, ‘쇼셔’체로 구분되는데 이에 따른 명령형어미는 ‘-라, -어쎠, -쇼셔’로 나타남.
王이 블러 □□□□〈*子)와 妃子왜 것주〈*거〉 주016)
것주거:
기절해. 까무러쳐. 것죽-[昏絶]+아/어.
해 디여 주017)
디여:
거꾸러져. 떨어져. 디-[落](거성)+아/어. 이는 ‘디-[落](상성, 사동사, 떨러뜨리-)’와 구별되며, 또한 ‘디-[鑄](상성, 주조하-)’와는 동음이의어임.
오라거 주018)
오라거:
오랜 후에야. 비로소. 오라-[久]+거+(강세의 보조사).
어늘 주019)
어늘:
깨거늘. -[覺]+어늘.
즉재 주020)
즉재:
즉시. ‘즉자히’로도 나타남.
무러 주021)
무러:
물어. 묻-[問](ㄷ불규칙)+아/어.
夫人 〈*〉 이 아란마 주022)
아란마:
알았건만. 알-[知]+아/어(확인법 선어말어미)+ㄴ마(양보의 연결어미).
王이 아 주023)
아:
예전에. 일찍이. 옛날에. 아[昔](거-상, 부사).
五〈*戒〉 주024)
오계(五戒):
불교도가 지켜야 하는 계율 다섯 가지. 1) 중생을 죽이지 말라. 2) 훔치지 말라. 3) 음행하지 말라. 4) 거짓말 하지 말라. 5) 술 마시지 말라.
 受야 殺生 아니〈* 肉〉刑야≪肉刑 주025)
육형(肉刑):
신체에 상처를 입혀 고통을 주던 형벌.
은  刑罰이라≫ 기〈*픈 수)프레 주026)
수프레:
숲에. 수플[林]+에(처소의 부사격조사).
더디니라 주027)
더디니라:
던졌다. 더디-[投]+니+라.
王□□□□□□□□□ 眼根□□□□□□

월인석보 25:142ㄴ

□□□□〈*應〉야 조□□□□□□야 王이 寶冠 〈*바사〉 주028)
바사:
벗어. 밧-[脫]+아/어. ‘밧다’는 구체동사로 ‘탈(脫)’의 뜻으로. ‘벗다’는 추상 동사로 ‘면(免)’의 뜻으로 구별되었음.
〈*니〉 주029)
니:
이어. 닛-[繼](ㅅ불규칙)+아/어. → 〈65ㄴ〉 ‘지시관’.
□□ 太子 주어 轉輪〈*王〉□□□ 여슷  다리더니 주030)
다리더니:
다스리더니. 다리-[治]+더+니.
法□□□〈*王〉  出家 주031)
출가(出家)야지다:
출가하고 싶습니다. 出家-+아/어(선어말어미)+지(청원의 선어말어미)+(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청원의 뜻을 가진 명령법에는 ‘-고려, -고라’와 ‘-지라(라체), 지다(하쇼셔체)’가 존재함. ‘-지라, -지다’는 화자 자신의 일이 이루어지게 해달라는 표현이며 항상 선어말어미 ‘-거/어-’나 ‘-아/어-’가 선행함.
야지〈*다〉 □□ 王이 出家케 고 阿□□이 도로 셔고 法益의 아 〈*三波〉提 太子 사마 뒷더니〈*라〉 주032)
사마 뒷더니라:
삼아 두었다. 삼-[爲]+아/어#두-[置]+아/어#잇-+더+니+다/라. 서술격조사 ‘이-’와 선어말어미 ‘-오/우-, -니-, -리-, -더-, -지-’ 등 뒤에서는 종결어미 ‘-다’가 ‘-라’로 교체됨.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乞食流迸遇還本國 猶持一弦琴在所而彈之 時有大臣 識是太子亦知夫人 所爲 不敢以問 乃因餘人啟王 外有一盲人能彈琴 備六十四伎變弄殊絕 不可不聞 王即召之乃見其子 子婦悶絕墜地 良久乃蘇即問其故 方悟是夫人所爲 王先受五戒不復殺生 唯宍刑之棄於深林 >(이상, 석가보 권5, 아육왕조팔만사천탑기 제31, 〈대정신수대장경〉 제50, 81쪽 중~하) (일부 미상) (太子聞夫人被刑 結氣發病而死 王年耆惛{示+毛} 疾臥床褥無復威力 半年之中諸臣行事 王卒後入位 法益之子名三波提 紹位也) (阿育王息法益壞目因緣經云) (夫人善容大臣耶奢 盜取王印詐爲王勅 挑王子兩目 王後發誓使得 眼根 神感之應更生淨眼 王見瑞應不可稱記 脫其寶冠授與法益 紹轉輪王治化六年 法益治化已經六年 白父王曰乞聽出家 王卽聽許令出家學道) >(이상, 석가보 권5, 아육왕조8만4천탑기 제31, 〈대정신수대장경〉 제50, 81쪽 중~ 82쪽 상)

[태자 법익 이야기 3]
〈태자가〉 걸식하여 두루 다녀 마침 본국에 돌아와서도 오히려 일현금을 가지고 간 데마다 놀거늘 그때 〈한〉 대신이 태자인 것을 알며, 또 부인 한 일인 줄 아□□□□□□□ 다른 사람을 의지해 왕□□□□□□ 한 맹인이 〈일현〉금을 □□□□□□매 들으십시오.” 왕이 불러 □□□□자와 비자가 까무러쳐 땅에 거꾸러지고 오랜 후에야 깨어나니, 즉시 물어 부인이 〈한〉 일을 알았건만, 왕이 예전에 오계를 받고 살생을 아니하므로 육형하여≪‘육형’은 살
(육체에 가하던)
형벌이다.≫ 깊은 숲에 던졌다. 왕□□□□□□□□□ 안근 □□□□□□. □□□□응하여 조□□□□□□ 왕이 보관을 〈*벗어〉 □□□□□ 태자에게 주어 전륜왕□□□ 여섯 해를 다스리더니, 법□□□왕께 사뢰기를, “출가하고 싶습니다.” □□늘 왕이 출가하게 하고, 아□□이 도로 서고(다시 왕이 되고) 법익의 아들 삼바제를 태자를 삼아 두었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두루:두루. 두루[周](평-평, 부사). ‘두로, 두’형도 쓰임.
주002)
녀:다녀. -[走]+니-[行]+아/어(연결어미).
주003)
마초아:맞추어. 마침. 마초-[對]+아/어. 본래는 동사의 활용형이나(평-거-평), 여기서 ‘마초아(평-거-거)’는 부사 ‘마침’으로 어휘화한 것으로 풀이함.
주004)
도라와:돌아와. 돌-[回]+아/어#오-[來]+아/어.
주005)
:오히려. 아직도. 이내. [猶](평-거, 부사).
주006)
일현금(一絃琴):한 가닥의 줄로 된 현악기.
주007)
가져:가지고. 가지-[持]+아/어. 중세국어에서의 연결어미 ‘-아/어’는 현대국어 ‘-아/어’보다 그 활용영역이 넓다. 현대국어에서는 선행동작을 완료하고 후행동작을 이어줄 경우 연결어미 ‘-고’가 나타나는데 중세국어에서는 이런 경우에도 연결어미 ‘-아/어’가 나타나는 일이 많다. 이 문맥의 ‘가져’ 역시 현대어로는 ‘가지고’로 풀이하는 것이 자연스러움.
주008)
마다:곳마다. [處]+마다(보조사).
주009)
놀어늘:놀거늘. 노니. 놀-[遊]+거늘/어늘.
주010)
그제:그때. 그제(평-평, 명사). 이는 동음어로 ‘자리, 흠, 허물, 흔적’의 뜻으로도 쓰였음.
주011)
태자(太子) :태자인 것을. 太子+이/ㅣ(서술격조사)+ㄴ(관형사형 연결어미)#(의존명사)+(목적격조사).
주012)
혼:한. -+오/우+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13)
이린 :일인 줄을. 일[事]+이(서술격조사)+ㄴ(관형사형 연결어미)#(의존명사)+(목적격조사).
주014)
브터:붙어. 의지해. 븥-[依, 附]+아/어.
주015)
드르쇼셔:들으십시오. 듣-[聞](ㄷ불규칙)+(/으)쇼셔. 중세국어의 종결어미체계는 ‘라’체, ‘야쎠’체, ‘쇼셔’체로 구분되는데 이에 따른 명령형어미는 ‘-라, -어쎠, -쇼셔’로 나타남.
주016)
것주거:기절해. 까무러쳐. 것죽-[昏絶]+아/어.
주017)
디여:거꾸러져. 떨어져. 디-[落](거성)+아/어. 이는 ‘디-[落](상성, 사동사, 떨러뜨리-)’와 구별되며, 또한 ‘디-[鑄](상성, 주조하-)’와는 동음이의어임.
주018)
오라거:오랜 후에야. 비로소. 오라-[久]+거+(강세의 보조사).
주019)
어늘:깨거늘. -[覺]+어늘.
주020)
즉재:즉시. ‘즉자히’로도 나타남.
주021)
무러:물어. 묻-[問](ㄷ불규칙)+아/어.
주022)
아란마:알았건만. 알-[知]+아/어(확인법 선어말어미)+ㄴ마(양보의 연결어미).
주023)
아:예전에. 일찍이. 옛날에. 아[昔](거-상, 부사).
주024)
오계(五戒):불교도가 지켜야 하는 계율 다섯 가지. 1) 중생을 죽이지 말라. 2) 훔치지 말라. 3) 음행하지 말라. 4) 거짓말 하지 말라. 5) 술 마시지 말라.
주025)
육형(肉刑):신체에 상처를 입혀 고통을 주던 형벌.
주026)
수프레:숲에. 수플[林]+에(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27)
더디니라:던졌다. 더디-[投]+니+라.
주028)
바사:벗어. 밧-[脫]+아/어. ‘밧다’는 구체동사로 ‘탈(脫)’의 뜻으로. ‘벗다’는 추상 동사로 ‘면(免)’의 뜻으로 구별되었음.
주029)
니:이어. 닛-[繼](ㅅ불규칙)+아/어. → 〈65ㄴ〉 ‘지시관’.
주030)
다리더니:다스리더니. 다리-[治]+더+니.
주031)
출가(出家)야지다:출가하고 싶습니다. 出家-+아/어(선어말어미)+지(청원의 선어말어미)+(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청원의 뜻을 가진 명령법에는 ‘-고려, -고라’와 ‘-지라(라체), 지다(하쇼셔체)’가 존재함. ‘-지라, -지다’는 화자 자신의 일이 이루어지게 해달라는 표현이며 항상 선어말어미 ‘-거/어-’나 ‘-아/어-’가 선행함.
주032)
사마 뒷더니라:삼아 두었다. 삼-[爲]+아/어#두-[置]+아/어#잇-+더+니+다/라. 서술격조사 ‘이-’와 선어말어미 ‘-오/우-, -니-, -리-, -더-, -지-’ 등 뒤에서는 종결어미 ‘-다’가 ‘-라’로 교체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