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 〈협주〉 태자 법익 이야기
  • 태자 법익 이야기 2
메뉴닫기 메뉴열기

태자 법익 이야기 2


[태자 법익 이야기 2]
王이 病을 니 온 모미 더러 주001)
더러:
더러운. 더럽-[汚](ㅂ불규칙)+은(관형사형 연결어미) ⟶ 〈64ㄱ〉 ‘’.
내 나거늘 天下ㅅ 醫員 주002)
의원(醫員):
의사와 한의사의 총칭.
고티디 주003)
고티디:
고치지. 치료하지. 고티-[療]+디(부정의 보조적 연결어미). 부정의 대상임을 나타내는 현대국어의 어미 ‘-지’에 속하는 중세국어의 부동사어미로는 ‘-디’, ‘-’, ‘-ㄴ동’, ‘-드란’ 등이 있다. 이 중에서는 현대국어의 ‘-지’로 변한 ‘-디’가 가장 일반적이었다. ‘-ㄴ동, -드란’은 항상 동사 ‘모-’나 ‘몯-’ 앞에 쓰임.
몯더니 주004)
몯더니:
못하더니. 몯-+더+니. 어근의 종성과 어미 초성의 두 무성폐쇄음 사이에서 어간의 ‘-’가 탈락됨.
夫人이 니 주005)
니:
1) 가만히. 2) 은밀히. 남몰래. 니[密](평-평-평, 부사).
王ㅅ 病  주006)
:
같은. -[如]+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사 주007)
사:
사람을. 사[人]+(목적격조사).
어더 주008)
어더:
얻어. 얻-[得]+아/어.
  보니 주009)
보니:
갈라 보니. 째어 보니. -[剖]+아/어#보-+니. ‘-[彈](거성)’와는 동음이의어임.  고  혀내야〈월석 23:73ㄴ〉.
거믄 주010)
거믄:
검은. 검-[黑]+은(관형사형 연결어미).
벌에 주011)
벌에:
벌레. 벌레가. 벌에[蟲]+Ø(영형태 주격조사).
잇거늘 마 주012)
마:
마늘을. 마[蒜]+(목적격조사).
니 주013)
니:
쬐니. -[曝]+니. 더 氣韻이 初禪天에 야〈월석 1:48ㄴ〉.
벌에 죽고 내 歇커늘 주014)
헐(歇)커늘:
헐하거늘. 그치거늘. 덜해지거늘. 헐(歇)-(거-거, 동사)+거늘.
王  내 어로 주015)
어로:
가히. 어로[可](평-거, 부사).
고툐리니 주016)
고툐리니:
고칠 것이니. 고티-[治]+오/우+리+니.
나 닐웨 주017)
닐웨:
이레. 닐웨(평-상, 명사). 이 後 닐웨예 城 밧 훤 해 가〈석상 6:27ㄴ〉.
(*를) 王 외에 쇼셔 王이 깃〈*거〉 □□□ 내 病이 됴션 주018)
됴션:
좋아질지언정. 둏-[好](상성, 동사)+ㄹ션(양보의 연결어미).
닐웨 □□□□〈*夫〉人이 마 王□□□□□□□ 〈*됴〉커늘 宮中□□□□□□□□□賀터니 □□□□□□□□□□□□夫人

월인석보 25:141ㄴ

□□□□□□□□□ 〈*法益〉의 두 눈 □□□□□□□□□□ㅣ 勑 바다 깃〈*거〉 □□□□□□〈*몬〉져 주019)
몬져:
먼저. 몬져[先](평-평, 명사/부사). ‘몬졔’〈석보 19:36〉로 쓰인 곳도 있음.
 〈*눈〉  주020)
:
빼내어. -[拔](거-거, 동사)(+아/어).
바〈*애〉 주021)
바애:
손바닥에. 손[手]+ㅅ(관형격조사)#바[掌]+애.
□□□□□ 〈*苦〉空無我 주022)
고공무아(苦空無我):
이 세상의 사물은 중생의 몸과 마음을 핍박하여 괴롭게 하므로 ‘고(苦)’, 만유는 모두 인연의 화합으로 생기는 것이어서 하나도 실체나 제 성품이 있는 것이 아니므로 ‘공(空)’, 만유는 모두 공하고 무상(無常)하여 ‘나’라든가 내 소유물이라고 고집할 것이 없으므로 ‘무아(無我)’라 함.
아라 주023)
아라:
알아. 알-[知]+아/어.
須〈*陀洹〉 주024)
수다원(須陀洹):
srotapanna. 성문(聲聞) 4과(果)의 하나로 처음으로 성도(聖道)에 들어감을 뜻함. ‘수다원’은 불교의 관용음임.
 得고 後에  눈〈* 주025)
:
마저. (평-평, 부사).
〉 〈*〉 주고 妃子와 서르 주026)
서르:
서로. 서르[相](평-평, 부사).
자바 주027)
자바:
잡아. 잡-[執]+아/어.
거러 城에 나니 길  주028)
길 :
길 가는. 지나가는. 길[道]#녀-[行]+ㅭ(관형사형 연결어미).
사미 믈 주029)
믈:
눈물. 눈[眼]+ㅅ(관형격 조사)+믈[水]. 순음 ‘ㅂ, ㅍ, ㅁ, ㅽ’ 아래 ‘ㅡ’ 모음이 ‘ㅜ’ 모음과 중화되어, 이른바 원순모음화가 이루어진 것은 17세기 말로 봄.
흘리며 다 울워러 주030)
울워러:
우러러. 울월-[仰]+아/어.
하 블로 주031)
블로:
부르되. 브르-[呼]+오.
太子ㅣ 엇던 罪로 이러커시뇨 주032)
이러커시뇨:
이러하시는가? 이러-+거+시+니오/뇨(의문법 종결어미). 중세국어 의문법은 의문사가 있는 설명법 의문문과 의문사가 없는 판정의문문으로 나뉘는데, 전자의 경우는 ‘-오’가 후자의 경우는 ‘-아’가 사용된다. 따라서 주어의 인칭에 제약 없이 사용되는 의문법 종결어미 ‘-녀/니아, -뇨/니오’ 중에서 ‘뉘’라는 의문사와 호응되어 ‘뇨’가 나타난 것임.
절며 목몌여 주033)
몌여:
메여. 몌-[咽]+아/어.
다 몯 니러 주그리도 주034)
주그리도:
죽은 사람도. 죽-[死]+ㄹ#이(의존명사)+도(보조사).
잇더라 주035)
잇더라:
있더라. 있었다. 잇-[有]+더+다/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歲餘王忽遍身患臭 天下師藥皆不能治 夫人密使人訊訪國內 與王病同者 破腹看之 得一黑虫長數寸 臭不可近 即取衆藥灌之 其臭彌甚 又以大蒜熏之 虫死而臭歇 於是白王曰 妾能治王必使得差 願聽我七日為王 王喜而許之曰但令我差七日何有哉 夫人即以大蒜與王 令服之便愈 於是宮中綵女上酒稱慶 令王醉臥無所覺知 夫人即嫌恨太子 即矯勅挑其兩眼 令餘人代之 國法以王齒爲印 乃以臘摸王齒而印之 太子奉勅歡喜無怨 先挑一眼置掌中 看之良久乃悟苦空無我 得須陀洹道 然後以一眼與之 於是與其妃相携步行出城 行人為之流涕 悉仰頭呼天 太子有何罪乃致此耶 辭拜嗚咽並不能復起 亦有感激致死者

[태자 법익 이야기 2]
왕이 병을 앓으니 온 몸이(몸에서) 더러운 냄새가 나는데도 천하의 의원이 고치지 못하였는데, 부인이 은밀히 왕의 병과 같은 사람을 얻어 배를 갈라 보니 검은 벌레가 있거늘 마늘을 쬐니 벌레가 죽고 냄새가 사라져서 왕께 사뢰기를, “내가(제가) 가히 고치리니, 나를 이레를(이레 동안을) 왕이 되게 하소서.” 〈하니〉, 왕이 기뻐하여, “내 병이 좋아질지언정 7일 □□□□ 부인이 마늘을 왕□□□□□□□ 좋아지거늘 궁중□□□□□□□□하하더니 □□□□□□□□□□□□ 부인 □□□□□□□□ 법익의 두 눈□□□□□□□□□□가 명령을 받고 기뻐하여 □□□□□□□저 한 눈을 빼어 손바닥에 □□□□□ 고공무아를 알아 수다원을 얻고 후에 〈또〉 한 눈을 □□ 빼어 주고 태자비와 서로 잡고 걸어 성에서 나가니, 길가는 사람이 눈물 흘리며 다 우러러 하늘을 부르기를, “태자가 어떤 죄로 이러하시는가?” 절하며 목 메여 다 못 일어나(일어나지 못하여) 죽는 이도 있었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더러:더러운. 더럽-[汚](ㅂ불규칙)+은(관형사형 연결어미) ⟶ 〈64ㄱ〉 ‘’.
주002)
의원(醫員):의사와 한의사의 총칭.
주003)
고티디:고치지. 치료하지. 고티-[療]+디(부정의 보조적 연결어미). 부정의 대상임을 나타내는 현대국어의 어미 ‘-지’에 속하는 중세국어의 부동사어미로는 ‘-디’, ‘-’, ‘-ㄴ동’, ‘-드란’ 등이 있다. 이 중에서는 현대국어의 ‘-지’로 변한 ‘-디’가 가장 일반적이었다. ‘-ㄴ동, -드란’은 항상 동사 ‘모-’나 ‘몯-’ 앞에 쓰임.
주004)
몯더니:못하더니. 몯-+더+니. 어근의 종성과 어미 초성의 두 무성폐쇄음 사이에서 어간의 ‘-’가 탈락됨.
주005)
니:1) 가만히. 2) 은밀히. 남몰래. 니[密](평-평-평, 부사).
주006)
:같은. -[如]+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07)
사:사람을. 사[人]+(목적격조사).
주008)
어더:얻어. 얻-[得]+아/어.
주009)
보니:갈라 보니. 째어 보니. -[剖]+아/어#보-+니. ‘-[彈](거성)’와는 동음이의어임.  고  혀내야〈월석 23:73ㄴ〉.
주010)
거믄:검은. 검-[黑]+은(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11)
벌에:벌레. 벌레가. 벌에[蟲]+Ø(영형태 주격조사).
주012)
마:마늘을. 마[蒜]+(목적격조사).
주013)
니:쬐니. -[曝]+니. 더 氣韻이 初禪天에 야〈월석 1:48ㄴ〉.
주014)
헐(歇)커늘:헐하거늘. 그치거늘. 덜해지거늘. 헐(歇)-(거-거, 동사)+거늘.
주015)
어로:가히. 어로[可](평-거, 부사).
주016)
고툐리니:고칠 것이니. 고티-[治]+오/우+리+니.
주017)
닐웨:이레. 닐웨(평-상, 명사). 이 後 닐웨예 城 밧 훤 해 가〈석상 6:27ㄴ〉.
주018)
됴션:좋아질지언정. 둏-[好](상성, 동사)+ㄹ션(양보의 연결어미).
주019)
몬져:먼저. 몬져[先](평-평, 명사/부사). ‘몬졔’〈석보 19:36〉로 쓰인 곳도 있음.
주020)
:빼내어. -[拔](거-거, 동사)(+아/어).
주021)
바애:손바닥에. 손[手]+ㅅ(관형격조사)#바[掌]+애.
주022)
고공무아(苦空無我):이 세상의 사물은 중생의 몸과 마음을 핍박하여 괴롭게 하므로 ‘고(苦)’, 만유는 모두 인연의 화합으로 생기는 것이어서 하나도 실체나 제 성품이 있는 것이 아니므로 ‘공(空)’, 만유는 모두 공하고 무상(無常)하여 ‘나’라든가 내 소유물이라고 고집할 것이 없으므로 ‘무아(無我)’라 함.
주023)
아라:알아. 알-[知]+아/어.
주024)
수다원(須陀洹):srotapanna. 성문(聲聞) 4과(果)의 하나로 처음으로 성도(聖道)에 들어감을 뜻함. ‘수다원’은 불교의 관용음임.
주025)
:마저. (평-평, 부사).
주026)
서르:서로. 서르[相](평-평, 부사).
주027)
자바:잡아. 잡-[執]+아/어.
주028)
길 :길 가는. 지나가는. 길[道]#녀-[行]+ㅭ(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29)
믈:눈물. 눈[眼]+ㅅ(관형격 조사)+믈[水]. 순음 ‘ㅂ, ㅍ, ㅁ, ㅽ’ 아래 ‘ㅡ’ 모음이 ‘ㅜ’ 모음과 중화되어, 이른바 원순모음화가 이루어진 것은 17세기 말로 봄.
주030)
울워러:우러러. 울월-[仰]+아/어.
주031)
블로:부르되. 브르-[呼]+오.
주032)
이러커시뇨:이러하시는가? 이러-+거+시+니오/뇨(의문법 종결어미). 중세국어 의문법은 의문사가 있는 설명법 의문문과 의문사가 없는 판정의문문으로 나뉘는데, 전자의 경우는 ‘-오’가 후자의 경우는 ‘-아’가 사용된다. 따라서 주어의 인칭에 제약 없이 사용되는 의문법 종결어미 ‘-녀/니아, -뇨/니오’ 중에서 ‘뉘’라는 의문사와 호응되어 ‘뇨’가 나타난 것임.
주033)
몌여:메여. 몌-[咽]+아/어.
주034)
주그리도:죽은 사람도. 죽-[死]+ㄹ#이(의존명사)+도(보조사).
주035)
잇더라:있더라. 있었다. 잇-[有]+더+다/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