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 보리수와 승중 공양
  • 보리수와 승중 공양 8
메뉴닫기 메뉴열기

보리수와 승중 공양 8


[보리수와 승중 공양 8]
그제 王이 菩提樹 싯기고 버거 주001)
버거:
다음으로. 둘째로. 버거(평-거, 부사), ‘버거(평-평)’는 명사로 구별됨.
衆僧 供養더니 上座 耶舍ㅣ 王 닐오 大王하 이제  比丘僧이 모다 주002)
모다:
모여. 몯-[集](평성, 동사)+아/어.
잇니 주003)
잇니:
있으니. 잇-[有]++니.
淳信 주004)
순신(淳信):
순수한 믿음.
  發야 供養

월인석보 25:127ㄴ

야
주005)
공양(供養)야:
공양하여야. 供養-+아/어/야(연결어미)+(강세의 보조사).
리다 주006)
리다:
할 것입니다. -+ㄹ(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Ø(영형태 서술격조사)+(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王이 우브터 아래 至히 주007)
지(至)히:
이르기까지. *至+이(부사 파생접미사).
손 주008)
손:
손수. 손[自](거-평, 부사). 유성 치조 마찰음 ‘ㅿ’은 ‘ㅅ’와 유성·무성 대립을 보이는 음소이나 어두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고(‘’, ‘’과 같은 의성의태어, ‘’(褥)과 같은 차용어에만 조금 있음) 대개 어중(모음과 모음, y와 모음, ㄴ·ㅁ과 모음 사이 등)에만 나타남.
供養더니 두 沙彌 밥 바다 各各 주009)
초(麨):
보릿가루.
歡喜丸 주010)
환희환(歡喜丸):
환희단(歡喜團). 병과자(餠菓子)의 한 가지로 환희천(歡喜天)에 어울릴 것이라는 까닭으로 하늘의 공물(供物)에 반드시 준비함.
긔여 주011)
긔여:
뭉치어. 뭉긔-[團]+아/어.
서르 주012)
서르:
서로. 서르(평-평, 부사).
더디더니 주013)
더디더니:
던지더니. 던졌는데. 더디-[投]+더+니.
王이 보고 우 주014)
우:
웃어. 웃으면서. 웃-[笑](ㅅ불규칙)+아/어.
닐오 이 沙彌 아 주015)
아:
아이. 아[兒](평-거, 명사). ‘아희〈선조소 2:65〉, 아히〈번역소 6:26〉’로도 나타남.
노다 주016)
노다:
놀이한다. 장난한다. 노-[戱](평-평, 동사)++다.
供養 다 고 王이 上座ㅅ 알 도로 주017)
도로:
도로. 도로(평-평, 부사).
와 셔거늘 上

월인석보 25:128ㄱ

座ㅣ 닐오 주018)
닐오:
이르되. 니-[云]+오/우(양보의 연결어미).
王이 信敬티 주019)
신경(信敬)티:
신경하지. 信敬-+디. ‘신경’은 가르침을 믿고 존경함.
아니  주020)
:
마음을. [心]+.
내디 주021)
내디:
내지. 내-[生]+디(부정의 보조적 연결어미). ‘-디’는 부정의 대상임을 나타내는 현대국어의 ‘-지’에 소급되는 형태임.
마쇼셔 주022)
마쇼셔:
마소서. 말-[休]+(/으)쇼셔(쇼셔체 명령법 종결어미). 현대어에서처럼 어간말음 ‘ㄹ’이 어미의 두음 ‘ㅅ’ 위에서 탈락되는 것이 아니라, 중세국어에서는 매개모음 (/으)를 개입시켜 ‘ㄹ’을 연철 표기한 것임.
王이 對答호 信敬티 아니 미 업수다 그러나 두 沙彌 아 주023)
아:
아이. 아[兒](평-거, 명사).
노야 주024)
노야:
놀이하여. 장난하여. 노-[戱](평-평, 동사)+여. 연결어미 ‘-아’는 모음조화에 따라 ‘-아/어’로 변동되지만 ‘-’ 뒤에서 만은 ‘야’로 교체됨.
世間 아 주025)
:
흙. [土](평성, 명사).
무저그로 주026)
무저그로:
무더기로. 덩어리로. 무적[丸]+(/으)로.
서르 더디 주027)
더디:
던지듯. 더디-[投]+.
더다 주028)
더다:
하였습니다. -+더++다.
上座ㅣ 닐오 뎌 두 沙彌 다 解脫

월인석보 25:128ㄴ

阿羅漢이라 서르 주029)
서르:
서로. 서르(평-평, 부사).
바 주030)
바:
밥을. 밥[食]+.
받더니다 주031)
받더니다:
바치는 것이었습니다. 받-[奉]++더+니++다.
王이 信心 더어 주032)
더어:
더하여. 더해. 더으-[加]+아/어.
念호 이 두 沙彌 能히 서르 施니 내 이제 一切 님 주033)
님:
스님들께. 즁[僧]+님(존칭접미사)+(존칭의 부사격조사). ‘’는 ‘ㅅ’과 ‘긔’로 분석될 수 있는데 ‘ㅅ’는 유정 존칭 체언에 사용되는 존칭 관형격 ‘ㅅ’이고 ‘긔’는 낙차점 처소의 부사격조사 ‘’는 존칭으로 쓰임.
깁과 주034)
깁과:
비단과. 깁[帛]+과.
劫貝 주035)
겁패(劫貝):
목면을. ‘겁패’는 면(綿) 나무의 일종. 겁패 나무의 솜으로 짠 목면(木棉)을 이르게 됨. 劫貝+(목적격조사). 이 표기는 이른바 집단곡용으로 바로 앞의 ‘깁과’ 더불어 ‘劫貝와’와 같이 쓰일 수도 있음.
施호리라【劫貝 木綿이니 正히 주036)
정(正)히:
바로. 올바르게. 正-+이(부사 파생접미사).
닐뎬 주037)
닐뎬:
이르면. 말한다면. 닐-[云]+오/우+ㅭ뎬(조건의 연결어미).
迦波羅ㅣ니 樹華ㅅ 일후미니 高昌國 주038)
고창국(高昌國):
고대 실크로드의 도시국가로 현재 중국 신강(新疆) 웨이우얼(維吾爾) 자치구(自治區)의 타크라마칸 사막 북쪽에 있었음.
주039)
첩(氎):
모직물.
이라 니 굴그니 주040)
굴그니:
굵은 것은. 큰 것은. 굵-[大]+은(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보조조사).
남기 외니 주041)
외니:
되니. 외-[爲]++니. ‘외-’는 ‘-(평-평)’〈용가 98〉의 ‘ㅸ’ 소실로 ‘외-’가 됨.
대가리 주042)
대가리:
껍데기. 껍질. 대가리[殼](평-평-거, 명사).
 주043)
:
깨뜨려. -[剖](평-거)+아/어.
柳絮 주044)
유서(柳絮):
봄날에 날리는 버들 솜. 버들개지.
 주045)
:
같은. -[如]+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월인석보 25:129ㄱ

고 주046)
고:
꽃을. 곶[花](평성, 명사)+(목적격조사). 목적격조사는 체언의 음운조건에 따라, 체언이 종성으로 끝나고, 체언의 모음이 양성이면 ‘-’, 음성이면 ‘- 을’이 쓰이고, 체언 말음이 모음이고 양성이면 ‘-’, 음성이면 ‘를’이 씌었는데, 경우에 따라 ‘-ㄹ’이 쓰이기도 했음. 이는 본시 기본형 ‘ㄹ’이, 위와 같은 음운환경에 따라서 매개모음을 취한다던지, ‘ㄹ+/을’의 ㄹ 중가형(重加形)으로 발전했다고 봄.
내야 글로 주047)
글로:
그것으로. 그(평성, 대명사)+ㄹ로(도구의 부사격조사). 대명사 ‘나·너·누·이·그’ 등 아래 결합되는 부사격조사 ‘-로’에 ‘ㄹ’첨가되어 ‘-ㄹ로’로 변동됨.
주048)
뵈:
베. 뵈[布](거성, 명사).
니라 주049)
니라:
짜느니라. 짜는 것이다. -[織]++니+다/라(설명법 종결어미). 서술격조사 ‘이-’와 선어말어미 ‘-오/우-, -니-, -리-, -더-, -지-’ 등 뒤에서는 종결어미 ‘-다’가 ‘-라’로 교체됨.
柳絮는 버듨 주050)
버듨:
버들의. 버들[柳]+ㅅ(관형격조사).
소오미라 주051)
소오미라:
솜이다. 소옴[棉]+이+다/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時王及諸群臣生大歡喜 時王洗浴菩提樹已 次復供養衆僧 時彼上座耶舍語王言 大王 今大有比丘僧集 當發淳信心供養
時王從上至下 自手供養 時彼有二沙彌得食已 各以麨團歡喜丸 更互相擲 王見即笑而言 此沙彌作小兒戲 供養訖已 王還上座前立 上座語王言 王莫生不信敬心 王答上座 無有不信敬心 然見二沙彌作小兒戲 如世間小兒 以土團更互相擲 如是二沙彌以麨團以歡喜丸 更互相擲 上座白王言 彼二沙彌是俱解脫 阿羅漢 更相奉食 王聞是已 增其信心 而作是念 此二沙彌能展轉相施 我今亦當於一切僧人施絹劫貝 (일부 미상)

[보리수와 승중 공양 8]
그때 왕이 보리수를 씻기고 다음으로 중승께 공양하였는데, 상좌 야사가 왕께 이르기를, “대왕이시여 이제 크게
(=많은)
비구승이 모여 있으니 순신한 마음을 내어 공양해야 하겠습니다.”
왕이 위부터 아래 이르기까지 손수 공양하였는데, 두 사미가 밥을 받아 각각 보릿가루로 환희환을 뭉치어 서로 던지더니, 왕이 보고 웃고 이르기를, “이 사미가 어린아이 장난한다.” 공양을 다 하고 왕이 상좌의 앞에 도로 와 섰는데, 상좌가 이르기를, “왕이 믿고 존경하지 않는 마음을 내지 마십시오.” 왕이 대답하기를, “신경하지 아니한 마음이 없습니다. 그러나 두 사미가 어린이 장난하여 세간의 아이들이 흙무더기로 서로 던지듯 하였습니다.” 상좌가 이르기를, “저 두 사미는 모두 해탈한 아라한이라 서로 밥을 바친 것이었습니다.” 왕이 신심을 더해 생각하기를, “이 두 사미가 능히 서로 보시하니, 내가 이제 일체 스님께 비단과 겁패를 보시하리라.”【‘겁패’는 목면이니 바로 이른다면 ‘가파라’이니 나무 꽃의 이름이니, 고창국에서는 ‘첩’이라 하니, 굵은
(=큰)
것은 나무가 되매 껍데기를 깨뜨려 버들개지 같은 꽃〈솜〉을 내어 그것으로 베를 짠 것이다. ‘유서’는 버들의 솜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버거:다음으로. 둘째로. 버거(평-거, 부사), ‘버거(평-평)’는 명사로 구별됨.
주002)
모다:모여. 몯-[集](평성, 동사)+아/어.
주003)
잇니:있으니. 잇-[有]++니.
주004)
순신(淳信):순수한 믿음.
주005)
공양(供養)야:공양하여야. 供養-+아/어/야(연결어미)+(강세의 보조사).
주006)
리다:할 것입니다. -+ㄹ(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Ø(영형태 서술격조사)+(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주007)
지(至)히:이르기까지. *至+이(부사 파생접미사).
주008)
손:손수. 손[自](거-평, 부사). 유성 치조 마찰음 ‘ㅿ’은 ‘ㅅ’와 유성·무성 대립을 보이는 음소이나 어두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고(‘’, ‘’과 같은 의성의태어, ‘’(褥)과 같은 차용어에만 조금 있음) 대개 어중(모음과 모음, y와 모음, ㄴ·ㅁ과 모음 사이 등)에만 나타남.
주009)
초(麨):보릿가루.
주010)
환희환(歡喜丸):환희단(歡喜團). 병과자(餠菓子)의 한 가지로 환희천(歡喜天)에 어울릴 것이라는 까닭으로 하늘의 공물(供物)에 반드시 준비함.
주011)
긔여:뭉치어. 뭉긔-[團]+아/어.
주012)
서르:서로. 서르(평-평, 부사).
주013)
더디더니:던지더니. 던졌는데. 더디-[投]+더+니.
주014)
우:웃어. 웃으면서. 웃-[笑](ㅅ불규칙)+아/어.
주015)
아:아이. 아[兒](평-거, 명사). ‘아희〈선조소 2:65〉, 아히〈번역소 6:26〉’로도 나타남.
주016)
노다:놀이한다. 장난한다. 노-[戱](평-평, 동사)++다.
주017)
도로:도로. 도로(평-평, 부사).
주018)
닐오:이르되. 니-[云]+오/우(양보의 연결어미).
주019)
신경(信敬)티:신경하지. 信敬-+디. ‘신경’은 가르침을 믿고 존경함.
주020)
:마음을. [心]+.
주021)
내디:내지. 내-[生]+디(부정의 보조적 연결어미). ‘-디’는 부정의 대상임을 나타내는 현대국어의 ‘-지’에 소급되는 형태임.
주022)
마쇼셔:마소서. 말-[休]+(/으)쇼셔(쇼셔체 명령법 종결어미). 현대어에서처럼 어간말음 ‘ㄹ’이 어미의 두음 ‘ㅅ’ 위에서 탈락되는 것이 아니라, 중세국어에서는 매개모음 (/으)를 개입시켜 ‘ㄹ’을 연철 표기한 것임.
주023)
아:아이. 아[兒](평-거, 명사).
주024)
노야:놀이하여. 장난하여. 노-[戱](평-평, 동사)+여. 연결어미 ‘-아’는 모음조화에 따라 ‘-아/어’로 변동되지만 ‘-’ 뒤에서 만은 ‘야’로 교체됨.
주025)
:흙. [土](평성, 명사).
주026)
무저그로:무더기로. 덩어리로. 무적[丸]+(/으)로.
주027)
더디:던지듯. 더디-[投]+.
주028)
더다:하였습니다. -+더++다.
주029)
서르:서로. 서르(평-평, 부사).
주030)
바:밥을. 밥[食]+.
주031)
받더니다:바치는 것이었습니다. 받-[奉]++더+니++다.
주032)
더어:더하여. 더해. 더으-[加]+아/어.
주033)
님:스님들께. 즁[僧]+님(존칭접미사)+(존칭의 부사격조사). ‘’는 ‘ㅅ’과 ‘긔’로 분석될 수 있는데 ‘ㅅ’는 유정 존칭 체언에 사용되는 존칭 관형격 ‘ㅅ’이고 ‘긔’는 낙차점 처소의 부사격조사 ‘’는 존칭으로 쓰임.
주034)
깁과:비단과. 깁[帛]+과.
주035)
겁패(劫貝):목면을. ‘겁패’는 면(綿) 나무의 일종. 겁패 나무의 솜으로 짠 목면(木棉)을 이르게 됨. 劫貝+(목적격조사). 이 표기는 이른바 집단곡용으로 바로 앞의 ‘깁과’ 더불어 ‘劫貝와’와 같이 쓰일 수도 있음.
주036)
정(正)히:바로. 올바르게. 正-+이(부사 파생접미사).
주037)
닐뎬:이르면. 말한다면. 닐-[云]+오/우+ㅭ뎬(조건의 연결어미).
주038)
고창국(高昌國):고대 실크로드의 도시국가로 현재 중국 신강(新疆) 웨이우얼(維吾爾) 자치구(自治區)의 타크라마칸 사막 북쪽에 있었음.
주039)
첩(氎):모직물.
주040)
굴그니:굵은 것은. 큰 것은. 굵-[大]+은(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보조조사).
주041)
외니:되니. 외-[爲]++니. ‘외-’는 ‘-(평-평)’〈용가 98〉의 ‘ㅸ’ 소실로 ‘외-’가 됨.
주042)
대가리:껍데기. 껍질. 대가리[殼](평-평-거, 명사).
주043)
:깨뜨려. -[剖](평-거)+아/어.
주044)
유서(柳絮):봄날에 날리는 버들 솜. 버들개지.
주045)
:같은. -[如]+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46)
고:꽃을. 곶[花](평성, 명사)+(목적격조사). 목적격조사는 체언의 음운조건에 따라, 체언이 종성으로 끝나고, 체언의 모음이 양성이면 ‘-’, 음성이면 ‘- 을’이 쓰이고, 체언 말음이 모음이고 양성이면 ‘-’, 음성이면 ‘를’이 씌었는데, 경우에 따라 ‘-ㄹ’이 쓰이기도 했음. 이는 본시 기본형 ‘ㄹ’이, 위와 같은 음운환경에 따라서 매개모음을 취한다던지, ‘ㄹ+/을’의 ㄹ 중가형(重加形)으로 발전했다고 봄.
주047)
글로:그것으로. 그(평성, 대명사)+ㄹ로(도구의 부사격조사). 대명사 ‘나·너·누·이·그’ 등 아래 결합되는 부사격조사 ‘-로’에 ‘ㄹ’첨가되어 ‘-ㄹ로’로 변동됨.
주048)
뵈:베. 뵈[布](거성, 명사).
주049)
니라:짜느니라. 짜는 것이다. -[織]++니+다/라(설명법 종결어미). 서술격조사 ‘이-’와 선어말어미 ‘-오/우-, -니-, -리-, -더-, -지-’ 등 뒤에서는 종결어미 ‘-다’가 ‘-라’로 교체됨.
주050)
버듨:버들의. 버들[柳]+ㅅ(관형격조사).
주051)
소오미라:솜이다. 소옴[棉]+이+다/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