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 아육왕의 아우 선용의 출가
  • 아육왕의 아우 선용의 출가 4
메뉴닫기 메뉴열기

아육왕의 아우 선용의 출가 4


[아육왕의 아우 선용의 출가 4]
그제 善容이 미 여러 주001)
여러:
열어. 열려. 열-[開]+아/어. 이는 타동사와 자동사(피동사)로 두루 쓰임.
王 나가 주002)
나가:
나아가. 낫-[進](상성, ㅅ불규칙)+아/어(연결어미)+가[去]+아/어.
 王 마 듣니 주003)
듣니:
들으니. 듣-[聞]+(객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니.
와다 주004)
와다:
깨달았습니다. -[覺]+거/아/어(과거시상 선어말어미)+오/우++다. 선어말어미 ‘-거/어’는 ‘-오/우-’와 결합하면 ‘-과-’로 변동되는데, 여기서는 어간부모음 ‘ㅣ’ 아래서 ‘ㄱ’ 약화된 것임, 중세국어에서 ‘-와다’ 용례는 어간종성 ‘ㄹ’ 아래 ‘알-[知], 덜-[除]’ 등 더러 있으나, ‘ㅣ’ 다음의 경우는 여기가 유일한 것임. 선어말어미 ‘-오/우-’는 모음어간이 ‘아·어·오·우’일 경우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어간의 성조의 변동만 나타나고, 어간이 ‘/으’이면 그 어간모음이 탈락한다. 어간모음이 단모음 ‘ㅣ’이면 ‘-오/우-’와 합음되어 ‘-요/유-’로 실현되고, 또 선어말어미 ‘-더-, -거/어-’와 연결되면 ‘-다-, -가/아-, -과/와-’가 됨.
生老病死ㅣ 實로 아쳗버 주005)
아쳗버:
싫어하여. 아쳗-[厭]+/브(형용사 파생접미사)+아/어.
시름 受苦로 흘

월인석보 25:135ㄱ

러올 모미 긋디 아니니 願 大王이 道理게 쇼셔 王이 닐오 이 時節을 아라 라 주006)
아라 라:
알아서 하여라. 알[知]+아/어#-+(/으)라.
善容즉재 주007)
즉재:
즉시. 곧. 즉재[卽](거-평, 부사).
하딕고 주008)
하딕고:
하직하고. 하딕(下直)-(상-거-평)+고. 이는 한자의 당시 현실음으로 봄. ‘하딕시고’〈석상23:30ㄱ-ㄴ〉도 있음.
나가 沙門이 외야 禁戒 주009)
금계(禁戒):
부처님이 정한 계율.
바다 주010)
바다:
받아. 받-[受]+아/어.
밤나재 주011)
밤나재:
밤낮으로. 밤낮+애(시간의 부사격조사).
精勤 주012)
정근(精勤):
노력함. 힘써 수행함.
야 阿羅漢果 주013)
아라한과(阿羅漢果):
아라한의 경지. 소승불교에서 제자들이 도달하는 가장 윗자리.
 得야 六〈*通 주014)
육통(六通):
육신통(六神通). 여섯 가지 불가사의 한 작용. 1) 신족통(神足通 : 자유로이 원하는 곳에 나타나는 능력), 2) 천안통(天眼通 : 자신과 남의 미래를 아는 능력), 3) 천이통(天耳通 : 보통 사람이 들을 수 없는 소리를 듣는 능력), 4) 타심통(他心通 : 남의 생각을 아는 능력), 5) 숙명통(宿命通 : 자신과 남의 과거의 모습을 아는 능력), 6) 누진통(漏盡通 : 번뇌를 제거하는 능력).
이〉 가 주015)
가:
맑아. -[淸]+아/어.
차 주016)
차:
꿰뚫어. 통하여. 사무치어. -[通]+아/어.

월인석보 25:135ㄴ

마  주017)
마 :
막은 데가. 막힌 데가. 막-[障]+(관형사형 연결어미)#(의존명사)+Ø(영형태 주격조사).
업더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是時王子心開意解 前白王言 今聞王教乃得醒悟 生老病死實可厭患 愁憂苦惱流轉不息 唯願大王 見聽為道謹慎修行 王告弟曰 宜知是時 弟即辭王出爲沙門 奉持禁戒晝夜精勤 遂得阿羅漢果 六通清徹 無所罣礙 >(이상 석가보 권3. 아육왕제출가조석가석상기 제25, 〈대정신수대장경〉 제50, 67쪽 상~중)

[아육왕의 아우 선용의 출가 4]
그때 선용이 마음이 열려 왕께 나아가 사뢰기를, “왕의 말을 들으니 깨달았습니다. 생로병사가 실로 싫어 시름과 고통으로 흘러오는
(=생사의 인과(因果)가 서로 그지없이 이어오는)
몸이 끊어지지 않으니, 원컨대 대왕이 도리를 배워 〈수행하게〉 하십시오.” 왕이 이르기를, “이 시절을
(=때를)
알아서 하여라.” 선용이 즉시 하직하고 나가 사문이 되어 금계를 받아 밤낮으로 정근하여 아라한과를 얻어 육통이 맑고 통하여 막힌 데가 없었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여러:열어. 열려. 열-[開]+아/어. 이는 타동사와 자동사(피동사)로 두루 쓰임.
주002)
나가:나아가. 낫-[進](상성, ㅅ불규칙)+아/어(연결어미)+가[去]+아/어.
주003)
듣니:들으니. 듣-[聞]+(객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니.
주004)
와다:깨달았습니다. -[覺]+거/아/어(과거시상 선어말어미)+오/우++다. 선어말어미 ‘-거/어’는 ‘-오/우-’와 결합하면 ‘-과-’로 변동되는데, 여기서는 어간부모음 ‘ㅣ’ 아래서 ‘ㄱ’ 약화된 것임, 중세국어에서 ‘-와다’ 용례는 어간종성 ‘ㄹ’ 아래 ‘알-[知], 덜-[除]’ 등 더러 있으나, ‘ㅣ’ 다음의 경우는 여기가 유일한 것임. 선어말어미 ‘-오/우-’는 모음어간이 ‘아·어·오·우’일 경우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어간의 성조의 변동만 나타나고, 어간이 ‘/으’이면 그 어간모음이 탈락한다. 어간모음이 단모음 ‘ㅣ’이면 ‘-오/우-’와 합음되어 ‘-요/유-’로 실현되고, 또 선어말어미 ‘-더-, -거/어-’와 연결되면 ‘-다-, -가/아-, -과/와-’가 됨.
주005)
아쳗버:싫어하여. 아쳗-[厭]+/브(형용사 파생접미사)+아/어.
주006)
아라 라:알아서 하여라. 알[知]+아/어#-+(/으)라.
주007)
즉재:즉시. 곧. 즉재[卽](거-평, 부사).
주008)
하딕고:하직하고. 하딕(下直)-(상-거-평)+고. 이는 한자의 당시 현실음으로 봄. ‘하딕시고’〈석상23:30ㄱ-ㄴ〉도 있음.
주009)
금계(禁戒):부처님이 정한 계율.
주010)
바다:받아. 받-[受]+아/어.
주011)
밤나재:밤낮으로. 밤낮+애(시간의 부사격조사).
주012)
정근(精勤):노력함. 힘써 수행함.
주013)
아라한과(阿羅漢果):아라한의 경지. 소승불교에서 제자들이 도달하는 가장 윗자리.
주014)
육통(六通):육신통(六神通). 여섯 가지 불가사의 한 작용. 1) 신족통(神足通 : 자유로이 원하는 곳에 나타나는 능력), 2) 천안통(天眼通 : 자신과 남의 미래를 아는 능력), 3) 천이통(天耳通 : 보통 사람이 들을 수 없는 소리를 듣는 능력), 4) 타심통(他心通 : 남의 생각을 아는 능력), 5) 숙명통(宿命通 : 자신과 남의 과거의 모습을 아는 능력), 6) 누진통(漏盡通 : 번뇌를 제거하는 능력).
주015)
가:맑아. -[淸]+아/어.
주016)
차:꿰뚫어. 통하여. 사무치어. -[通]+아/어.
주017)
마 :막은 데가. 막힌 데가. 막-[障]+(관형사형 연결어미)#(의존명사)+Ø(영형태 주격조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