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 아육왕의 아우 선용의 출가
  • 아육왕의 아우 선용의 출가 3
메뉴닫기 메뉴열기

아육왕의 아우 선용의 출가 3


[아육왕의 아우 선용의 출가 3]
王이 야 주001)
야:
잠잠하여. -[黙]+아/어. 연결어미 ‘-아’는 모음조화에 따라 ‘-아/어’로 교체되지만 ‘-’ 뒤에서는 형태론적 이형태인 ‘-야’로 변동됨.
듣고  누겨 주002)
누겨:
눅여. 늦춰. 누기-[弛](평-거, 동사)+아/어.
善容일 내 리 주003)
리:
맨드리. 옷을 입고 매만진 맵시. -[造](평-거, 명사)+이(명사 파생 접미사). 이는 『교학 고어사전』에만 표제어로 실려있음. 종래는 〈삼강 열8〉에 있는 것이 유일한 예문이었으나, 이 문헌에 있는 이 예문을 예문의 표제어 다음에 놓아야 할 것임. ⟶ 상권 〈해제〉 3.17. ‘리’.
야 내 宮 안해 드러

월인석보 25:133ㄱ

류고 주004)
류고:
풍류하고. 음악을 연주하고. 류-(평-평-평, 동사). 이는 다음과 같이 성조가 같은 것도 있고 다른 것도 있음. ‘류(평-평-평)씨라’〈능엄 6:47ㄴ〉, ‘류(평-평-거)’〈월석 1:14ㄴ〉.
즐기게 라 닐웨 주005)
닐웨:
7일. 닐웨[七日]+Ø(영형태 주격조사).
다거늘 주006)
다거늘:
다다르니. 다-[到](ㄷ불규칙)+거늘.
王이 使者 주007)
사자(使者):
명령을 받고 심부름하는 사람.
브려 주008)
브려:
부려. 시켜. 브리-[使]+아/어.
무로 네 닐웻 예 주009)
예:
사이에. 동안. [間]+예(처소의 부사격조사). ‘-애’는 체언의 끝 모음이 양성일 때, ‘-에’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음성일 때, ‘-예’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이〔i〕’나, 부모음 ‘ㅣ〔y〕’일 때 쓰임.
快樂더녀 주010)
쾌락(快樂)더녀:
즐겁더냐? 쾌락-+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녀(라체 의문법 종결어미).
善容이 對答호 大王하 엇던 주011)
엇던:
어떤. 엇던[何](상-거, 관형사).
快樂이 이시리고 주012)
이시리고:
있겠습니까? 이시-[有]+리+(상대높임 선어말어미)+고(설명의문의 종결어미).
王이 무로 내 옷 닙고 내 宮殿에 드러 한 女妓로 즐기고 됴 차반 먹거니 엇뎨 快

월인석보 25:133ㄴ

樂디 아니타 〈*다〉 주013)
다:
하느냐? -+(*+ㄴ다)다’는 원본이 훼손되어 알아볼 수 없는 곳을 (*)로 나타내고, 저경과 『석보상절』을 참고로 재구한 것임. 여기서는 ‘다’ 두 글자의 왼쪽 획만 보임. 이 대목은 〈석상 24:28〉에 있는 부분과 내용은 같은데, 좀더 자세하게 저경을 옮겼음.
※ 참고 - 해제(2.1.)에도 언급한 바와 같이, 원본의 부식이 ‘136ㄱ’부터는 더 심해지는데, 가급적이면 원본대로 두되, 전후 문맥과 저경을 참고로 재구한 것은 (*)로 나타내고, 판독할 수 없는 곳은 ‘□’로, 그 수는 판식(板式)의 배자(配字) 수를 따른 것이나, 여기에는 동국정음 한자음도 계산된 것이어서 현대역으로 보면 잘 맞지 않을 수도 있다. 또 현대역에서 재구 표시(*)는 나타내지 않고 원문의 ‘□’는 그대로 옮겨 놓았음.
善容 주014)
:
사뢰되. 여쭈되ㅡ. 여쭈기를. -[白](ㅂ불규칙) + 오/우. → 〈64ㄱ〉 ‘’.
주 주015)
주:
죽을. 죽-[死]+ㅭ(관형사형 연결어미).
사미 비록 命이 긋디 주016)
긋디:
끊지. 끊어지지. 긋-[絶]+디(부정의 보조적 연결어미). ‘-디’는 부정의 대상임을 나타내는 현대국어의 ‘-지’에 소급되는 형태임.
아니야도 주017)
아니야도:
않아도. 아니-+아/아+도(역시의 보조조사).
주그니와 주018)
주그니와:
죽은 이와. 죽-[死]+은(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와.
다디 주019)
다디:
다르지. 다-[異]+디(부정의 보조적 연결어미).
아니 커니 엇던 드로 五欲 주020)
오욕(五欲):
눈·귀·코·혀·몸의 5관에 의한 색·소리·향기·맛·촉각의 다섯 가지 정욕(情欲)으로, 세속적인 인간의 욕망.
著리고 주021)
착(著)리고:
집착하겠습니까? 著-+리+(상대높임 선어말어미)+고(설명의 의문법 종결어미). 한자 ‘著(저/착)’은 ‘着(착)’과 같음.
王이 닐오 어린 주022)
어린:
어리석은. 어리-[愚]+ㄴ(관형사형 연결어미).
마리로다 주023)
마리로다:
말이구나. 말[言]+이(서술격조사)+오/우+다. 선어말어미 ‘-오/우-’는 서술격조사 ‘-이’ 다음에서 ‘-로-’로 변동됨.
네  모 分別야도 주024)
분별(分別)야도:
근심하여도. 분별하여도. 分別-+(평-거-평, 동사)+아/어+도.
欲애 이셔 즐겁디 아니거니 며 沙門

월인석보 25:134ㄱ

주025)
석자(釋子):
부처님의 제자.
三世 주026)
삼세(三世):
과거·현재·여래. 삼제(三際)라고도 함.
分別 주027)
분별(分別):
세상 물정에 대한 바른 생각이나 판단.
야  모미 주그면   모 守야 億百千世예 몸마다 受苦야 주028)
수고(受苦)야:
괴로움을 받아. 수고-[受苦]+아/어. 연결어미 ‘-아’는 모음조화에 따라 ‘-아/어’로 변동되지만 ‘-’ 뒤에서 만은 ‘야’로 교체됨.
그지업슨 주029)
그지업은:
그지없는. 한없는. 그지없-[無限]+은(관형사형 연결어미).
시르미라 비록 사미 외야도 주030)
외야도:
되어도. 외-[爲]+아/어+도(역시의 보조조사). ‘외-’는 ‘-(평-평)’〈용가 98〉의 ‘ㅸ’ 소실로 ‘외-’가 됨.
 주031)
:
남의. [他]+(관형격조사).
브료미 외며 주032)
브료미 외며:
부림이 되며. 부림 받는 이가 되며. 부리-[使]+옴#이(의존명사)+Ø(영형태 주격조사)#외-(爲)+며.
시혹 주033)
시혹:
혹시. 때로. 시혹(時或)(평-거, 부사).
艱難 주034)
간난(艱難):
몹시 힘들고 고생됨. 가난함. ‘가난[貧]’의 원말임.
야 옷 바비 업니 이 念 出家〈*야 道〉理 주035)
도리(道理):
사람이 지켜야 할 바른 길.
야

월인석보 25:134ㄴ

주036)
무위(無爲):
생사의 변화를 초월한 상주(常住) 불변의 진실.
世間〈*애〉 주037)
세간(世間)애:
세상에서. 이는 ‘이 아니 世間 버서난 사미라’〈석상23:15ㄱ〉를 참고하여 ‘’보다는 ‘애’로 재구함.
버서날 주038)
버서날:
벗어날. 벗-[脫]+아/어#나-[出]+ㄹ(관형사형 연결어미). ‘밧다’는 구체동사로 ‘탈(脫)’의 뜻으로. ‘벗다’는 추상 동사로 ‘면(免)’의 뜻으로 구별되었음.
이 求니 다가 주039)
다가:
만약. 다가[若](부사).
精勤 주040)
정근(精勤):
노력함. 힘써 수행함.
티 아니면  다시 劫數ㅅ 受苦 디내니라 주041)
디내니라:
지내니라. 지내는 것이다. 디내-[過]++니+다/라. 서술격조사 ‘이-’와 선어말어미 ‘-오/우-, -니-, -리-, -더-, -지-’ 등 뒤에서는 종결어미 ‘-다’가 ‘-라’로 교체됨.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時王默然聽臣所諫 王復寬恩勅語諸臣 命聽王子著吾服飾 天冠威容如吾不異 內吾宮裏 作倡妓樂共娛樂之 復勅一臣自今日始 著鎧持仗拔利劍 往語善容王子曰 知不期七日終正爾 當到努力開割五欲自娛 今不自適死後有恨 用悔無益一日過已 臣復往語餘有六日 如是次第乃至七日 臣往白言 王子當知 六日已過唯明日在 當就於死努力恣情五欲自娛) 至七日到王遣使問云何 王子七日之中意志自由快樂不乎 弟報王曰 大王當知不見不聞有何快樂 王問弟曰 著吾服飾入吾宮殿 衆妓自娛食以甘美 何以面欺 不見不聞不快樂耶 弟白王言 應死之人 雖未命絕與死何異 當有何情著於五欲耶 王告弟曰 咄愚所啓 汝今一身憂慮百端 一身斷滅在欲不樂 豈況沙門釋子 憂念三世一身死壞 復受一身億百千世 身身受苦無量患惱 雖出爲人與他走使 或生貧家衣食窮乏 念此辛酸故出家爲道 求於無爲度世之要 設不精勤 當復更歷劫數之苦.

[아육왕의 아우 선용의 출가 3]
왕이 잠잠하여 듣고 또 “늦춰 선용을 나의 맨드리(옷을 입은 맵시로) 하여 내 궁안에 들어가 풍류하고(풍악을 울리고) 즐기게 하라.” 7일이 되니 왕이 사신을 부려 묻기를, “네가 7일 동안 즐겁더냐?” 선용이 대답하기를, “대왕이시어, 어떤 쾌락이 있겠습니까?” 왕이 묻기를, “내 옷 입고 내 궁전에 들어가 많은 기녀들과 즐기고 좋은 음식을 먹었는데 어찌 즐겁지 않다 하느냐?” 선용이 사뢰기를, “죽을 사람은 비록 목숨이 끊어지지 않아도 죽은 사람과 다르지 않거늘 어떤(무슨) 뜻으로 오욕에 집착하겠습니까?” 왕이 이르기를, “어리석은 말이구나. 네가 한 몸을 근심하여도 오욕에서 즐겁지 않거늘, 하물며 사문 석자가 삼세를 분별하여 한 몸이 죽으면 또 한 몸을 지켜 백억 천세에 몸마다 괴로움을 받아 그지없는 시름이라, 비록 사람이 되어도 남의 부림을 받는 사람이 되며, 때로는 가난하여 옷과 밥이 없으니, 이를 생각하므로 출가하여 도리를 〈공부〉하여 무위한 세상에서 벗어날 일을 구하니, 만약 정근하지 않으면 또 다시 겁수의 고통을 지내는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야:잠잠하여. -[黙]+아/어. 연결어미 ‘-아’는 모음조화에 따라 ‘-아/어’로 교체되지만 ‘-’ 뒤에서는 형태론적 이형태인 ‘-야’로 변동됨.
주002)
누겨:눅여. 늦춰. 누기-[弛](평-거, 동사)+아/어.
주003)
리:맨드리. 옷을 입고 매만진 맵시. -[造](평-거, 명사)+이(명사 파생 접미사). 이는 『교학 고어사전』에만 표제어로 실려있음. 종래는 〈삼강 열8〉에 있는 것이 유일한 예문이었으나, 이 문헌에 있는 이 예문을 예문의 표제어 다음에 놓아야 할 것임. ⟶ 상권 〈해제〉 3.17. ‘리’.
주004)
류고:풍류하고. 음악을 연주하고. 류-(평-평-평, 동사). 이는 다음과 같이 성조가 같은 것도 있고 다른 것도 있음. ‘류(평-평-평)씨라’〈능엄 6:47ㄴ〉, ‘류(평-평-거)’〈월석 1:14ㄴ〉.
주005)
닐웨:7일. 닐웨[七日]+Ø(영형태 주격조사).
주006)
다거늘:다다르니. 다-[到](ㄷ불규칙)+거늘.
주007)
사자(使者):명령을 받고 심부름하는 사람.
주008)
브려:부려. 시켜. 브리-[使]+아/어.
주009)
예:사이에. 동안. [間]+예(처소의 부사격조사). ‘-애’는 체언의 끝 모음이 양성일 때, ‘-에’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음성일 때, ‘-예’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이〔i〕’나, 부모음 ‘ㅣ〔y〕’일 때 쓰임.
주010)
쾌락(快樂)더녀:즐겁더냐? 쾌락-+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녀(라체 의문법 종결어미).
주011)
엇던:어떤. 엇던[何](상-거, 관형사).
주012)
이시리고:있겠습니까? 이시-[有]+리+(상대높임 선어말어미)+고(설명의문의 종결어미).
주013)
다:하느냐? -+(*+ㄴ다)다’는 원본이 훼손되어 알아볼 수 없는 곳을 (*)로 나타내고, 저경과 『석보상절』을 참고로 재구한 것임. 여기서는 ‘다’ 두 글자의 왼쪽 획만 보임. 이 대목은 〈석상 24:28〉에 있는 부분과 내용은 같은데, 좀더 자세하게 저경을 옮겼음.
※ 참고 - 해제(2.1.)에도 언급한 바와 같이, 원본의 부식이 ‘136ㄱ’부터는 더 심해지는데, 가급적이면 원본대로 두되, 전후 문맥과 저경을 참고로 재구한 것은 (*)로 나타내고, 판독할 수 없는 곳은 ‘□’로, 그 수는 판식(板式)의 배자(配字) 수를 따른 것이나, 여기에는 동국정음 한자음도 계산된 것이어서 현대역으로 보면 잘 맞지 않을 수도 있다. 또 현대역에서 재구 표시(*)는 나타내지 않고 원문의 ‘□’는 그대로 옮겨 놓았음.
주014)
:사뢰되. 여쭈되ㅡ. 여쭈기를. -[白](ㅂ불규칙) + 오/우. → 〈64ㄱ〉 ‘’.
주015)
주:죽을. 죽-[死]+ㅭ(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16)
긋디:끊지. 끊어지지. 긋-[絶]+디(부정의 보조적 연결어미). ‘-디’는 부정의 대상임을 나타내는 현대국어의 ‘-지’에 소급되는 형태임.
주017)
아니야도:않아도. 아니-+아/아+도(역시의 보조조사).
주018)
주그니와:죽은 이와. 죽-[死]+은(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와.
주019)
다디:다르지. 다-[異]+디(부정의 보조적 연결어미).
주020)
오욕(五欲):눈·귀·코·혀·몸의 5관에 의한 색·소리·향기·맛·촉각의 다섯 가지 정욕(情欲)으로, 세속적인 인간의 욕망.
주021)
착(著)리고:집착하겠습니까? 著-+리+(상대높임 선어말어미)+고(설명의 의문법 종결어미). 한자 ‘著(저/착)’은 ‘着(착)’과 같음.
주022)
어린:어리석은. 어리-[愚]+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23)
마리로다:말이구나. 말[言]+이(서술격조사)+오/우+다. 선어말어미 ‘-오/우-’는 서술격조사 ‘-이’ 다음에서 ‘-로-’로 변동됨.
주024)
분별(分別)야도:근심하여도. 분별하여도. 分別-+(평-거-평, 동사)+아/어+도.
주025)
석자(釋子):부처님의 제자.
주026)
삼세(三世):과거·현재·여래. 삼제(三際)라고도 함.
주027)
분별(分別):세상 물정에 대한 바른 생각이나 판단.
주028)
수고(受苦)야:괴로움을 받아. 수고-[受苦]+아/어. 연결어미 ‘-아’는 모음조화에 따라 ‘-아/어’로 변동되지만 ‘-’ 뒤에서 만은 ‘야’로 교체됨.
주029)
그지업은:그지없는. 한없는. 그지없-[無限]+은(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30)
외야도:되어도. 외-[爲]+아/어+도(역시의 보조조사). ‘외-’는 ‘-(평-평)’〈용가 98〉의 ‘ㅸ’ 소실로 ‘외-’가 됨.
주031)
:남의. [他]+(관형격조사).
주032)
브료미 외며:부림이 되며. 부림 받는 이가 되며. 부리-[使]+옴#이(의존명사)+Ø(영형태 주격조사)#외-(爲)+며.
주033)
시혹:혹시. 때로. 시혹(時或)(평-거, 부사).
주034)
간난(艱難):몹시 힘들고 고생됨. 가난함. ‘가난[貧]’의 원말임.
주035)
도리(道理):사람이 지켜야 할 바른 길.
주036)
무위(無爲):생사의 변화를 초월한 상주(常住) 불변의 진실.
주037)
세간(世間)애:세상에서. 이는 ‘이 아니 世間 버서난 사미라’〈석상23:15ㄱ〉를 참고하여 ‘’보다는 ‘애’로 재구함.
주038)
버서날:벗어날. 벗-[脫]+아/어#나-[出]+ㄹ(관형사형 연결어미). ‘밧다’는 구체동사로 ‘탈(脫)’의 뜻으로. ‘벗다’는 추상 동사로 ‘면(免)’의 뜻으로 구별되었음.
주039)
다가:만약. 다가[若](부사).
주040)
정근(精勤):노력함. 힘써 수행함.
주041)
디내니라:지내니라. 지내는 것이다. 디내-[過]++니+다/라. 서술격조사 ‘이-’와 선어말어미 ‘-오/우-, -니-, -리-, -더-, -지-’ 등 뒤에서는 종결어미 ‘-다’가 ‘-라’로 교체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