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 석존 설법처의 탑묘 건립 ①
  • 석존 설법처의 탑묘 건립 2
메뉴닫기 메뉴열기

석존 설법처의 탑묘 건립 2


[석존 설법처의 탑묘 건립 2]
王이 듣고 깃거 주001)
깃거:
기뻐하여. -[喜](동사)+아/어.
소사 주002)
소사:
날아 솟아. 뛰어 올라. 솟-[踊躍]+아/어(연결어미).
즉재 群臣 出令 주003)
출령(出令):
명령을 내림.
야 가려터니 주004)
가려터니:
가려 하더니. 가-[行]+려#-+더+니.
尊者ㅣ 너교 주005)
너교:
여기되. 여기기를. 너기-[念]+오.
다가 주006)
다가:
만일. 만약(萬若). 다가[若](거-평-거, 부사).
王이 오시면 졷 주007)
졷:
좇는. 뒤따르는. 좇-[從]+(객체높임 선어말어미)+(관형사형 연결어미). ‘졷-’은 ‘좇-’의 8종성 표기.
사미 受苦며 혀근 주008)
혀근:
작은. 혁-[小]+은(관형사형 연결어미).
벌에 주009)
벌에:
벌레를. 벌에[蟲](평-거)+(목적격조사). 모 벌에며〈석상 9:9ㄴ〉.
주기리로다 야 使者 對答

월인석보 25:95ㄱ

야 닐오 내 王 주010)
왕(王):
왕께. 王+(부사격조사). ‘’는 ‘ㅅ’과 ‘긔’로 분석될 수 있는데 ‘ㅅ’는 유정 존칭 체언에 사용되는 존칭 관형격 ‘ㅅ’이고 ‘긔’는 여격조사이므로 ‘’는 존칭 부사격조사임.
가리다 주011)
가리다:
가겠습니다. 가-[去]+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여기서 어간 ‘가-’는 ‘-오/우-’의 결합으로 ‘-오/우-’는 들어나지 않고 성조만 상성〔:가〕으로 변동됨.
王이 듣고 歡喜 주012)
환희(歡喜):
불법을 듣고 신심(信心)을 얻어 마음이 기쁨.
踊躍 주013)
용약(踊躍):
기뻐서 뜀.
야 摩偸羅로셔 巴連弗邑에 니르리 주014)
니르리:
이르기까지. 니를-[至]+이(부사 파생접미사).
예 주015)
예:
사이에. [間]+애/에/예(처소의 부사격조사). ‘’는 ‘, 이, 이’로도 나타남. ‘-애’는 체언의 끝 모음이 양성일 때, ‘-에’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음성일 때, ‘-예’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이〔i〕’나, 부모음 ‘ㅣ〔y〕’일 때 쓰임.
버리고 주016)
버리고:
벌이고. 벌-[列](상성)+이-(사동접미사)+고(연결어미).
예 주017)
당(幢):
dhvaja. 장대 끝에 용의 머리모양을 만들고 깃발을 달아 드린 것으로 불·보살의 위신과 공덕을 나타내는 장엄구(莊嚴具)임.
주018)
개(盖):
본래는 인도에서 햇볕이나 비를 가리기 위하여 쓰인 일산(日傘)으로 산개(傘蓋)라 하는데, 후에 변하여 불좌(佛座)나 법사(法師)의 위를 덮는 도구가 됨.
라 뒷더니 주019)
라 뒷더니:
달아 두었더니. 달아 두었는데. -[懸]+아/어#두-[置]+#잇-[有]+더+니. ‘뒷-’은 비통사적 합성어임.
優波崛多ㅣ 一萬 八千 阿羅漢衆 리고 오더니  사미 王

월인석보 25:95ㄴ

 주020)
:
사뢰되. 여쭈되. 여쭈기를. -[白](ㅂ불규칙)+오/우. → 〈64ㄱ〉 ‘’.
優波崛多 尊者ㅣ 一萬 八千 比丘 리시고 주021)
리시고:
데리고. 거느리시고. 리-[率]+시+고.
오시니다 주022)
오시니다:
오십니다. 오-[來]+시++니(부정칭 선어말어미)+(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王이  주023)
:
매우. (평-거, 부사).
깃거 주024)
깃거:
기뻐하여. -[喜](평성, 동사)+아/어(연결어미).
즉재 瓔珞 주025)
영락(瓔珞):
구슬을 꿰어 몸에 달아 장엄하는 기구.
이 갑시 千萬이 니 주026)
니:
(1) 비싼 것을. (2) (그만한) 값이 있는 것을. -[(高)價]+ㄴ(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목적격조사).
바사 주027)
바사:
벗어. 밧-[脫]+아/어. ‘밧다’는 구체동사로 ‘탈(脫)’의 뜻으로. ‘벗다’는 추상동사로 ‘면(免)’의 뜻으로 구별되었음.
내야 賞고 王이 大臣 眷屬 리고 尊者 나가 즉재 飯 받고 五體投

월인석보 25:96ㄱ

주028)
오체투지(五體投地):
두 무릎·두 팔꿈치·이마의 5체를 땅에 붙여 예배함. 오륜투지(五輪投地), 오륜착지(五輪著地), 거신투지(擧身投地), 투지례(投地禮)라고도 함.
야 禮數 주029)
예수(禮數):
상대방의 지위에 알맞은 격식으로 예를 드림.
고 러 주030)
러:
꿇어. -[跪]+아/어.
合掌야  내 閻浮提 거느려 王 외야도 주031)
외야도:
되어도. 외-[爲]+아/어+도(역시의 보조조사). ‘외-’는 ‘-(평-평)’〈용가 98〉의 ‘ㅸ’ 소실로 ‘외-’가 됨.
깃브디 주032)
깃브디:
기쁘지. -[喜]+브(형용사 파생접미사)+디(부정의 보조적 연결어미). 부정의 대상임을 나타내는 현대국어의 어미 ‘-지’에 속하는 중세국어의 부동사어미로는 ‘-디’, ‘-’, ‘-ㄴ동’, ‘-드란’ 등이 있다. 이 중에서는 현대국어의 ‘-지’로 변한 ‘-디’가 가장 일반적이었다. ‘-ㄴ동, -드란’은 항상 동사 ‘모-’나 ‘몯-’ 앞에 쓰임.
아니고 오 尊者 보니 주033)
보니:
보니. 뵈니. 보-[見]+(객체높임 선어말어미)+(/으)니. ⟶ 〈63ㄱ〉 ‘받리라’.
踊躍호미 그지업서다 주034)
그지업서다:
그지없습니다. 그지[限]+없-[無]+어(과거시상 선어말어미)++다.
如來ㅅ 弟子ㅣ 이러록 주035)
이러록:
이렇도록. 이러-+록(한도의 보조사).
시니 부텨 보 주036)
보:
본. 뵌. 보-[見]++(관형사형 연결어미).
야다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王聞已歡喜踊躍 即勅群臣速辦嚴駕 將無量眷屬往詣彼所 尊者思惟若王來者 無量將從受諸大苦 殺害微虫 答使者曰 我當自往詣王所
時王聞尊者自來 歡喜踊躍從摩偷羅至巴連弗邑 於其中間開安舟桁 於桁懸諸幡蓋 時尊者優波崛多 將一萬八千阿羅漢衆 逕至王國 王大歡喜踊躍 即脫瓔珞價直千萬 而授與之 王將諸大臣眷屬 即出往尊者所 即為下食 五體投地 向彼作禮 長跪合掌而作是言 我今領此閻浮提 受於王位不以爲喜 今覩尊者踊躍無量 如來弟子乃能如是 如覩於佛 >(이상, 석가보 제5, 아육왕조8만4천탑기 제31, 〈대정신수대장경〉 제50, 79쪽 상~중〉)

[석존 설법처의 탑묘 건립 2]
왕이 듣고 기뻐하여 펄쩍 뛰고, 즉시 여러 신하에게 명령하여 가려 하였는데, 존자가 생각하기를, ‘만약 왕이 오시면 뒤따르는 사람이 고통스러우며, 작은 벌레를 죽일 것이다.’ 하여, 사자가 대답하여 이르기를, “내가 왕께 가겠습니다.” 왕이 듣고 환희 용약하여 마투라에서 파련불읍에 이르기까지 그 사이에 배를 벌이고(늘어놓고) 배에 당과 개를 달아두었다. 우바굴다가 1만 8천 아라한의 무리를 데리고 오더니, 한 사람이 왕께 사뢰기를, “우바굴다 존자가 1만 8천 비구를 데리고 오십니다.” 왕이 매우 기뻐하여 즉시 영락이 값이 천만이 나가는 것을(천만 값어치의 영락을) 벗어 내어 상을 내리고, 왕이 대신과 권속을 데리고 존자께 나가 즉시 공양 올리고 오체투지하여 예수하고 꿇어 합장하여 사뢰기를, “내가 염부제를 거느려 왕이 되어도 기쁘지 않고, 오늘 존자를 뵈오니 용약함이 그지없습니다. 여래의 제자가 이렇도록 하시니(이렇게 오셨으니), 부처님을 뵌 듯합니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깃거:기뻐하여. -[喜](동사)+아/어.
주002)
소사:날아 솟아. 뛰어 올라. 솟-[踊躍]+아/어(연결어미).
주003)
출령(出令):명령을 내림.
주004)
가려터니:가려 하더니. 가-[行]+려#-+더+니.
주005)
너교:여기되. 여기기를. 너기-[念]+오.
주006)
다가:만일. 만약(萬若). 다가[若](거-평-거, 부사).
주007)
졷:좇는. 뒤따르는. 좇-[從]+(객체높임 선어말어미)+(관형사형 연결어미). ‘졷-’은 ‘좇-’의 8종성 표기.
주008)
혀근:작은. 혁-[小]+은(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09)
벌에:벌레를. 벌에[蟲](평-거)+(목적격조사). 모 벌에며〈석상 9:9ㄴ〉.
주010)
왕(王):왕께. 王+(부사격조사). ‘’는 ‘ㅅ’과 ‘긔’로 분석될 수 있는데 ‘ㅅ’는 유정 존칭 체언에 사용되는 존칭 관형격 ‘ㅅ’이고 ‘긔’는 여격조사이므로 ‘’는 존칭 부사격조사임.
주011)
가리다:가겠습니다. 가-[去]+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여기서 어간 ‘가-’는 ‘-오/우-’의 결합으로 ‘-오/우-’는 들어나지 않고 성조만 상성〔:가〕으로 변동됨.
주012)
환희(歡喜):불법을 듣고 신심(信心)을 얻어 마음이 기쁨.
주013)
용약(踊躍):기뻐서 뜀.
주014)
니르리:이르기까지. 니를-[至]+이(부사 파생접미사).
주015)
예:사이에. [間]+애/에/예(처소의 부사격조사). ‘’는 ‘, 이, 이’로도 나타남. ‘-애’는 체언의 끝 모음이 양성일 때, ‘-에’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음성일 때, ‘-예’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이〔i〕’나, 부모음 ‘ㅣ〔y〕’일 때 쓰임.
주016)
버리고:벌이고. 벌-[列](상성)+이-(사동접미사)+고(연결어미).
주017)
당(幢):dhvaja. 장대 끝에 용의 머리모양을 만들고 깃발을 달아 드린 것으로 불·보살의 위신과 공덕을 나타내는 장엄구(莊嚴具)임.
주018)
개(盖):본래는 인도에서 햇볕이나 비를 가리기 위하여 쓰인 일산(日傘)으로 산개(傘蓋)라 하는데, 후에 변하여 불좌(佛座)나 법사(法師)의 위를 덮는 도구가 됨.
주019)
라 뒷더니:달아 두었더니. 달아 두었는데. -[懸]+아/어#두-[置]+#잇-[有]+더+니. ‘뒷-’은 비통사적 합성어임.
주020)
:사뢰되. 여쭈되. 여쭈기를. -[白](ㅂ불규칙)+오/우. → 〈64ㄱ〉 ‘’.
주021)
리시고:데리고. 거느리시고. 리-[率]+시+고.
주022)
오시니다:오십니다. 오-[來]+시++니(부정칭 선어말어미)+(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주023)
:매우. (평-거, 부사).
주024)
깃거:기뻐하여. -[喜](평성, 동사)+아/어(연결어미).
주025)
영락(瓔珞):구슬을 꿰어 몸에 달아 장엄하는 기구.
주026)
니:(1) 비싼 것을. (2) (그만한) 값이 있는 것을. -[(高)價]+ㄴ(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목적격조사).
주027)
바사:벗어. 밧-[脫]+아/어. ‘밧다’는 구체동사로 ‘탈(脫)’의 뜻으로. ‘벗다’는 추상동사로 ‘면(免)’의 뜻으로 구별되었음.
주028)
오체투지(五體投地):두 무릎·두 팔꿈치·이마의 5체를 땅에 붙여 예배함. 오륜투지(五輪投地), 오륜착지(五輪著地), 거신투지(擧身投地), 투지례(投地禮)라고도 함.
주029)
예수(禮數):상대방의 지위에 알맞은 격식으로 예를 드림.
주030)
러:꿇어. -[跪]+아/어.
주031)
외야도:되어도. 외-[爲]+아/어+도(역시의 보조조사). ‘외-’는 ‘-(평-평)’〈용가 98〉의 ‘ㅸ’ 소실로 ‘외-’가 됨.
주032)
깃브디:기쁘지. -[喜]+브(형용사 파생접미사)+디(부정의 보조적 연결어미). 부정의 대상임을 나타내는 현대국어의 어미 ‘-지’에 속하는 중세국어의 부동사어미로는 ‘-디’, ‘-’, ‘-ㄴ동’, ‘-드란’ 등이 있다. 이 중에서는 현대국어의 ‘-지’로 변한 ‘-디’가 가장 일반적이었다. ‘-ㄴ동, -드란’은 항상 동사 ‘모-’나 ‘몯-’ 앞에 쓰임.
주033)
보니:보니. 뵈니. 보-[見]+(객체높임 선어말어미)+(/으)니. ⟶ 〈63ㄱ〉 ‘받리라’.
주034)
그지업서다:그지없습니다. 그지[限]+없-[無]+어(과거시상 선어말어미)++다.
주035)
이러록:이렇도록. 이러-+록(한도의 보조사).
주036)
보:본. 뵌. 보-[見]++(관형사형 연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