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 아육왕의 즉위 과정
  • 아육왕의 즉위 과정 3
메뉴닫기 메뉴열기

아육왕의 즉위 과정 3


[아육왕의 즉위 과정 3]
그제 阿育王의 어미 阿育이려 주001)
아육(阿育)이려:
아육이에게. 阿育+이(조음접미사)+려(부사격조사). ‘려(평거)’는 현대국어 ‘더러’로 연결되는 조사로 기원적으로는 ‘리-[率](평-거)’의 부사형이 문법화된 형태. ‘려’는 항상 ‘니-[謂]’, ‘묻-[問]’의 지배를 받음. 조음접미사 ‘이’는 현대국어에서도 자음으로 끝나는 사람 이름 밑에 붙여 어조를 고르게 하는 것은 마찬가지임.
닐오 이제 王이 金殿 園館 中에 나샤 주002)
나샤:
나시어. 나-[出]+시+아/어.
王子히 나 업슨 後에 주003)
뉘:
누가. 누[誰]+이/ㅣ(주격조사). 현대어 ‘누/누구’ ‘누구’는 여기 ‘누’는 ‘뉘’ 주격형, ‘눌’ 목적격형, ‘누고’는 의문형으로 쓰였으나, 이 중의 ‘누고’는 중세어 말기에 ‘누구’ 〈석봉 천자〉는 대명사로 굳어지게 됨.
고 주004)
다고:
될까? 다외-[爲]+ㅭ고(의문법 종결어미). 의문법 종결어미 ‘-ㄴ가/ㄴ고’는 15세기에는 내적 사유구문에서만 사용되고 16세기 이후에는 직접의문으로 쓰이기 시작함.
보려 시니 네 엇뎨 아니 가다 주005)
가다:
가느냐? 가-[去]+(현재시상 선어말어미)+ㄴ다(라체 2인칭 의문법 종결어미).
阿育이 닐오

월인석보 25:69ㄱ

 王이 나 念티 아니시며  보디 슬희여 커시니와 주006)
슬희여커시니와:
싫어하시지만. 슬희여-[厭](거-평-거-평, 동사)+거+시+니와. 양보의 연결어미 ‘거니와’에 선어말어미 ‘-시-’가 결합할 때 ‘*시거니와’로 되지 않고 한 형태소 사이에 ‘-시-’가 삽입되는 불연속 형태소임. ‘-커시니와’의 ‘-커’는 ‘-+-거-’의 축약임.
어마니미 가라 시면 가리니 바 보내쇼셔 주007)
보내쇼셔:
보내십시오. 보내-[送]+쇼셔(쇼셔체 명령법 종결어미). 중세국어의 종결어미체계는 ‘라’체, ‘야쎠’체, ‘쇼셔’체로 구분되는데 이에 따른 명령형어미는 ‘-라, -어쎠, -쇼셔’로 나타남.
王이 미리 大臣의게 긔걸야 주008)
긔걸야:
명령하여. 긔걸-[命]+아/어. 연결어미 ‘-아’는 모음조화에 따라 ‘-아/어’로 변하지만 ‘-’ 뒤에서 만은 ‘야’로 변동됨.
다가 주009)
다가:
하다가. 만일. 만약(萬若). 다가[若](거-평-거, 부사).
阿育이옷 주010)
아육(阿育)이옷:
아육이가. 阿育+이(주격조사)+옷(강세의 보조조사).
오거든 늙고 鈍 象 오고 주011)
오고:
태우고. 오-[乘]+고.
늘근 사로 眷屬 사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阿育王母語阿育言 今王出金殿園館中觀諸王子 於我滅後誰當作王 汝何不去 阿育啓言 既不蒙念亦復不樂見我 母言但往即便往去 願母賜送食 母言如是 王先勅大臣 若阿育來者 當使其乘老鈍象來 又復老人以爲眷屬

[아육왕의 즉위 과정 3]
그때 아육왕의 어머니가 아육에게 이르기를, “이제 왕이 금전 원관 중에 나와 ‘왕자들이 나 없어진(죽은) 후에 누가 왕이 될까’ 보려 하시는데, 네가 어찌 아니 가느냐?” 아육이 말하기를, “왕께서 나를 생각하지 않으시며 또 보기 싫어하시지만 어머님이 가라 하시면 갈 것이니, 밥을 보내주십시오.” 왕이 미리 대신에게 명령하여 “만일 아육이 오면 늙고 둔한 코끼리에 태우고 늙은 사람으로 권속을 삼아라.”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아육(阿育)이려:아육이에게. 阿育+이(조음접미사)+려(부사격조사). ‘려(평거)’는 현대국어 ‘더러’로 연결되는 조사로 기원적으로는 ‘리-[率](평-거)’의 부사형이 문법화된 형태. ‘려’는 항상 ‘니-[謂]’, ‘묻-[問]’의 지배를 받음. 조음접미사 ‘이’는 현대국어에서도 자음으로 끝나는 사람 이름 밑에 붙여 어조를 고르게 하는 것은 마찬가지임.
주002)
나샤:나시어. 나-[出]+시+아/어.
주003)
뉘:누가. 누[誰]+이/ㅣ(주격조사). 현대어 ‘누/누구’ ‘누구’는 여기 ‘누’는 ‘뉘’ 주격형, ‘눌’ 목적격형, ‘누고’는 의문형으로 쓰였으나, 이 중의 ‘누고’는 중세어 말기에 ‘누구’ 〈석봉 천자〉는 대명사로 굳어지게 됨.
주004)
다고:될까? 다외-[爲]+ㅭ고(의문법 종결어미). 의문법 종결어미 ‘-ㄴ가/ㄴ고’는 15세기에는 내적 사유구문에서만 사용되고 16세기 이후에는 직접의문으로 쓰이기 시작함.
주005)
가다:가느냐? 가-[去]+(현재시상 선어말어미)+ㄴ다(라체 2인칭 의문법 종결어미).
주006)
슬희여커시니와:싫어하시지만. 슬희여-[厭](거-평-거-평, 동사)+거+시+니와. 양보의 연결어미 ‘거니와’에 선어말어미 ‘-시-’가 결합할 때 ‘*시거니와’로 되지 않고 한 형태소 사이에 ‘-시-’가 삽입되는 불연속 형태소임. ‘-커시니와’의 ‘-커’는 ‘-+-거-’의 축약임.
주007)
보내쇼셔:보내십시오. 보내-[送]+쇼셔(쇼셔체 명령법 종결어미). 중세국어의 종결어미체계는 ‘라’체, ‘야쎠’체, ‘쇼셔’체로 구분되는데 이에 따른 명령형어미는 ‘-라, -어쎠, -쇼셔’로 나타남.
주008)
긔걸야:명령하여. 긔걸-[命]+아/어. 연결어미 ‘-아’는 모음조화에 따라 ‘-아/어’로 변하지만 ‘-’ 뒤에서 만은 ‘야’로 변동됨.
주009)
다가:하다가. 만일. 만약(萬若). 다가[若](거-평-거, 부사).
주010)
아육(阿育)이옷:아육이가. 阿育+이(주격조사)+옷(강세의 보조조사).
주011)
오고:태우고. 오-[乘]+고.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