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 아육왕의 즉위 과정
  • 아육왕의 즉위 과정 4
메뉴닫기 메뉴열기

아육왕의 즉위 과정 4


[아육왕의 즉위 과정 4]
그제 阿育이 늘근 象 타 園館 中에

월인석보 25:69ㄴ

해 주001)
해:
땅에. [地](ㅎ종성체언)+애/에(처소의 부사격조사).
안잿더니 주002)
안잿더니:
앉아있었는데. 앉-[座]+아/어#잇-[有]+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니. ‘-아/어~-야/여#잇-’은 문법화되어 ‘-앳/엣- → -앗/엇- → -았/었-’으로 변천됨.
그제 王子히 各各 飮食 제 阿育의 어미 딜어세 주003)
딜어세:
질그릇에. 딜엇[瓦器]+애/에(처소의 부사격조사).
酪飯 주004)
낙반(酪飯):
소, 양의 젖을 정련한 음료를 밥으로 대신한 것.
다마 보 주005)
내:
내가. 나[我]+ㅣ(주격조사). ‘내’는 성조에 따라 형태분석과 의미가 달라진다. 평성 ‘내’는 ‘나’에 관형격조사가 통합되어 ‘나의’로, 거성 ‘내’는 ‘나’에 주격조사가 통합되어 ‘내가’로 구별됨. → 〈65ㄱ〉 ‘네’.
니라 王이 相師려 주006)
상사(相師)려:
관상가에게. 相師+려(부사격조사). ‘려(평거)’는 현대국어 ‘더러’로 연결되는 조사로 기원적으로는 ‘리-[率](평거)’의 연결형이 문법화된 형태. ‘려’는 항상 ‘니-[謂]’, ‘묻-[問]’의 지배를 받음.
무로 뉘 王ㄱ 相 잇뇨 相師ㅣ 닐오 주007)
닐오:
이르되. 니-[云]+오/우(양보의 연결어미).
이 中에 好乘 주008)
호승(好乘):
말이나 코끼리나 수레 등 타기에 좋은 것. 여기서는 좋은 코끼리에 타는 것을 이름.
니 주009)
니:
탄 사람이어야. 타-[乘]+ㄴ(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Ø(주격조사)+(강세의 보조사).
외리로소다 주010)
외리로소다:
될 것입니다. 외-[爲]+리+돗(감탄법 선어말어미)+(/으)(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 선어말어미 ‘-돗-’은 ‘-리-’ 뒤에서도 ‘-롯-’으로 교체됨. ‘-돗/롯-’이 ‘-(/으)다’와 연결되면 ‘-로다’가 되는데 ‘-로-’의 ‘오’에 원순동화되어 ‘로소다’로 나타남. ‘외-’는 ‘-(평-평)’〈용가 98〉의 ‘ㅸ’ 소실로 ‘외-’가 됨.
王子히 各各 너교 주011)
너교:
여기되. 너기-[念]+오.
好乘

월인석보 25:70ㄱ

토라 주012)
토라:
탔다. -[乘]+오(의도법 선어말어미)+라(설명법 종결어미).
더니 그제 阿育이 닐오 내 老宿象 주013)
노숙상(老宿象):
늙은, 훌륭한 코끼리.
 토니 내 王 외리로다 王이  相師려 닐오 다시 보고라 주014)
보고라:
보라. 보-[見]+고라(청원의 명령법 종결어미).
相師ㅣ 對答호 이 中에 第一座애 안니 주015)
안니:
앉은 사람이어야. 앉-[座]+ㄴ(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Ø(주격조사)+(강세의 보조조사).
외리로소다 주016)
외리로소다:
될 것입니다. 외-[爲]+리+돗(감탄법 선어말어미)+(/으)(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 ‘외-’는 ‘-(평-평)’〈용가 98〉의 ‘ㅸ’ 소실로 ‘외-’가 됨. 감동법 선어말어미 ‘돗’이 선어말어미 ‘-리-’ 뒤에서 ‘-롯-’으로 교체되고, ‘-(/으)-’와 연결되면 ‘-로-’가 되어야 하나 ‘로’에 원순동화를 일으켜 ‘-로-’가 ‘-로소-’로 나타남.
王子히 各各 너교 내 第一座애

월인석보 25:70ㄴ

안조라 주017)
안조라:
앉았다. 앉-+오(의도법 선어말어미)+라(설명법 종결어미).
거늘 阿育 주018)
아육(阿育):
Aśoka. 무우(無憂)로 번역. B.C. 2세기에 인도를 통일하고, 불교를 보호한 왕.
닐오 주019)
닐오:
이르되. 니-[云]+오/우(양보의 연결어미).
해 주020)
해:
땅에. [地](ㅎ종성체언)+애(처소의 부사격 조사).
안조니 주021)
안조니:
앉으니. 앉-[座]+오/우+니. 선어말어미 ‘-오/우-’는 1인칭 주어 ‘내’와 호응하여 나타난 것임.
이 굳고 爲頭 주022)
위두(爲頭):
으뜸인. 뛰어난. 爲頭-+ㄴ(관형사형 연결어미).
座ㅣ니 내 王 외리로다 주023)
외리로다.:
될 것이다. 외-[爲]+리+오/우+다. 선어말어미 ‘-오-’가 ‘-리-’ 뒤에서 ‘-로-’로 교체됨.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阿育即乘老象 至園館中地坐 時諸王子各下飲食 阿育母以瓦器成酪飯 送與阿育. 王問師言 此中誰有王相 當紹我位 時彼相師視諸王子 見阿育具有王相 當得紹位 又作是念此阿育 大王所不相愛 我若語言當作王者 王必不樂 即語言我今總記 此中若有好乘者 是人當作王 時諸王子聞彼所說 各自念言我乘好乘 時阿育言 我乘老宿象我得作王 時王又復語師言 願更為觀之 師復答言 此中有第一坐者 彼當作王 諸王子等各相謂言 我坐第一 阿育言我今坐地

[아육왕의 즉위 과정 4]
그때 아육이 늙은 코끼리를 타고 원관 중에 와서 땅에 앉아 있었는데, 그때 왕자들이 각각 식사할 때, 아육의 어머니가 질그릇에 낙반을 담아 보냈다. 왕이 관상가에게 묻기를, “누가 왕의 상이 있는가?” 관상가가 이르기를, “이 중에 호승을 탄 사람이어야만 왕이 될 것입니다.” 왕자들이 각각 여기기를 ‘내가 호승을 탔다.’ 하였는데, 그때 아육이 이르기를, “내가 늙은 코끼리를 탔으니 내가 왕이 될 것이다.” 왕이 또 관상가에게 이르기를, “다시 보라.” 하니, 관상가가 대답하되, “이 중에 제1 좌(첫 자리)에 앉은 사람이어야만 왕이 될 것입니다.” 왕자들이 각각 여기되 ‘내가 제1 좌에 앉았다.’ 하였는데, 아육이 이르기를, “내가 땅에 앉았으니, 이는 굳고 으뜸인 자리이니, 내가 왕이 될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해:땅에. [地](ㅎ종성체언)+애/에(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02)
안잿더니:앉아있었는데. 앉-[座]+아/어#잇-[有]+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니. ‘-아/어~-야/여#잇-’은 문법화되어 ‘-앳/엣- → -앗/엇- → -았/었-’으로 변천됨.
주003)
딜어세:질그릇에. 딜엇[瓦器]+애/에(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04)
낙반(酪飯):소, 양의 젖을 정련한 음료를 밥으로 대신한 것.
주005)
내:내가. 나[我]+ㅣ(주격조사). ‘내’는 성조에 따라 형태분석과 의미가 달라진다. 평성 ‘내’는 ‘나’에 관형격조사가 통합되어 ‘나의’로, 거성 ‘내’는 ‘나’에 주격조사가 통합되어 ‘내가’로 구별됨. → 〈65ㄱ〉 ‘네’.
주006)
상사(相師)려:관상가에게. 相師+려(부사격조사). ‘려(평거)’는 현대국어 ‘더러’로 연결되는 조사로 기원적으로는 ‘리-[率](평거)’의 연결형이 문법화된 형태. ‘려’는 항상 ‘니-[謂]’, ‘묻-[問]’의 지배를 받음.
주007)
닐오:이르되. 니-[云]+오/우(양보의 연결어미).
주008)
호승(好乘):말이나 코끼리나 수레 등 타기에 좋은 것. 여기서는 좋은 코끼리에 타는 것을 이름.
주009)
니:탄 사람이어야. 타-[乘]+ㄴ(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Ø(주격조사)+(강세의 보조사).
주010)
외리로소다:될 것입니다. 외-[爲]+리+돗(감탄법 선어말어미)+(/으)(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 선어말어미 ‘-돗-’은 ‘-리-’ 뒤에서도 ‘-롯-’으로 교체됨. ‘-돗/롯-’이 ‘-(/으)다’와 연결되면 ‘-로다’가 되는데 ‘-로-’의 ‘오’에 원순동화되어 ‘로소다’로 나타남. ‘외-’는 ‘-(평-평)’〈용가 98〉의 ‘ㅸ’ 소실로 ‘외-’가 됨.
주011)
너교:여기되. 너기-[念]+오.
주012)
토라:탔다. -[乘]+오(의도법 선어말어미)+라(설명법 종결어미).
주013)
노숙상(老宿象):늙은, 훌륭한 코끼리.
주014)
보고라:보라. 보-[見]+고라(청원의 명령법 종결어미).
주015)
안니:앉은 사람이어야. 앉-[座]+ㄴ(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Ø(주격조사)+(강세의 보조조사).
주016)
외리로소다:될 것입니다. 외-[爲]+리+돗(감탄법 선어말어미)+(/으)(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 ‘외-’는 ‘-(평-평)’〈용가 98〉의 ‘ㅸ’ 소실로 ‘외-’가 됨. 감동법 선어말어미 ‘돗’이 선어말어미 ‘-리-’ 뒤에서 ‘-롯-’으로 교체되고, ‘-(/으)-’와 연결되면 ‘-로-’가 되어야 하나 ‘로’에 원순동화를 일으켜 ‘-로-’가 ‘-로소-’로 나타남.
주017)
안조라:앉았다. 앉-+오(의도법 선어말어미)+라(설명법 종결어미).
주018)
아육(阿育):Aśoka. 무우(無憂)로 번역. B.C. 2세기에 인도를 통일하고, 불교를 보호한 왕.
주019)
닐오:이르되. 니-[云]+오/우(양보의 연결어미).
주020)
해:땅에. [地](ㅎ종성체언)+애(처소의 부사격 조사).
주021)
안조니:앉으니. 앉-[座]+오/우+니. 선어말어미 ‘-오/우-’는 1인칭 주어 ‘내’와 호응하여 나타난 것임.
주022)
위두(爲頭):으뜸인. 뛰어난. 爲頭-+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23)
외리로다.:될 것이다. 외-[爲]+리+오/우+다. 선어말어미 ‘-오-’가 ‘-리-’ 뒤에서 ‘-로-’로 교체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