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 아육왕의 즉위 과정
  • 아육왕의 즉위 과정 7
메뉴닫기 메뉴열기

아육왕의 즉위 과정 7


[아육왕의 즉위 과정 7]
그제 父王이 큰 病을 얫거늘 주001)
얫거늘:
하였거늘. 하였으니. -+아#잇-[有]+거늘. 이미 일어난 사실을 주관적으로 확신하여 강조하는 선어말어미 ‘-거-’는 어말 말음이 ‘ㅣ’나 ‘ㄹ’, 계사 뒤에서 ‘-어-’(반드시 분철)로 나타남. 이런 음운론적인 교체 외에도 형태론적 교체를 보이기도 하는데 ‘-거/어-’는 자동사와 결합하고 ‘-아/어-’는 타동사와 결합하며 자동사 ‘오-[來]’ 뒤에서는 ‘-나-’로 교체됨.
臣下히 阿育이 莊嚴 주002)
장엄(莊嚴):
아름답게 장식함. 엄숙하게 장식된 모양.
야 王 가  안 주003)
안:
잠시. 한동안. 안[且](평-거, 부사). 동일한 형태와 성조를 가지면서 ‘가장’, ‘아직, 또한’의 동음이의어도 존재함.
이 아 王 셰옛다가 주004)
셰옛다가:
세워 있다가. 세웠다가. 셔-[立]+ㅣ(사동접미사)+어#잇-[有]+다가. ⟶ 〈69ㄴ〉 ‘안잿더니’.
우리 後에 날호야 주005)
날호야:
천천히. 더디게. 날호야[徐](평-거-거, 부사).
修師摩

월인석보 25:73ㄱ

요리다
주006)
셰요리다:
세우겠습니다. 셔-[立]+ㅣ(사동접미사)+오/우+리++다.
그제 王이 츠기 주007)
츠기:
섭섭히. 탐탁찮게. 츠기[恨](평-평, 부사).
너겨 對答 아니터니 주008)
아니터니:
않더니. 아니-+더+니.
阿育이 닐오 나옷 주009)
나옷:
나는. 나야말로. 나[我]+옷(강세의 보조조사).
王位 得 사민댄 주010)
사민댄:
사람이면. 사람이니. 사[人]+인댄(원인·이유의 연결어미).
諸天이 自然히 주011)
자연(自然)히:
몸소. 혼자서. 저절로. 자연히. 自然히(거-평-거, 부사).
와 믈로 내 바기예 주012)
바기예:
정수리에. 바기[頂]+예(처소의 부사격조사). ‘-애’는 체언의 끝모음이 양성일 때, ‘-에’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음성일 때, ‘-예’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이〔i〕’나, 부모음 ‘ㅣ〔y〕’일 때 쓰임.
븟고 주013)
:
흰. -[白]+ㄴ(관형사형 연결어미).
기블 주014)
기블:
깁을. 비단을. 깁[繒]+을(목적격조사).
머리예 리라 주015)
리라:
매리라. 맬 것이다. -[繫]+리+라. 서술격조사 ‘이-’와 선어말어미 ‘-오/우-, -니-, -리-, -더-, -지-’등 뒤에서는 종결어미 ‘-다’가 ‘-라’로 교체됨.
즉재 諸天이 믈로 阿育바기예 븟고 기블 머리예 니라 王이

월인석보 25:73ㄴ

주016)
명종(命終):
목숨이 다함.
커늘 阿育이 王 외니 주017)
외니:
되니. 외-[爲]+니. ‘외-’는 ‘-(평-평)’〈용가 98〉의 ‘ㅸ’ 소실로 ‘외-’가 됨.
人神 주018)
인신(人神):
사람들과 불타의 가르침을 수호하는 8부중의 신들임. 곧, 천(天), 용(龍), 야차(夜叉), 건달바(乾達婆), 아수라(阿修羅), 가루라(迦樓羅), 긴나라(緊那羅), 마후라가(摩睺羅迦).
깃거더라 주019)
깃거더라:
기뻐하였다. -[喜]+아/어+-+더+라. 결국 ‘깃거-(동사)’와 ‘-[喜](동사)’가 같이 쓰였음. 서술격조사 ‘이-’와 선어말어미 ‘-오/우-, -니-, -리-, -더-, -지-’ 등 뒤에서는 종결어미 ‘-다’가 ‘-라’로 교체됨.
【王 욀 나래 주020)
나래:
날에. 날[日]+애(처소의 부사격조사).
鐵輪 주021)
철륜(鐵輪):
인도의 신화에서 세계를 통일 지배하는 제왕의 이상상(理想像)을 전륜왕(轉輪王:통치의 고리를 굴리는 왕)이라 하는데, 이 전륜에 금륜(金輪), 은륜(銀輪), 동륜(銅輪), 철륜(鐵輪)의 네 가지가 있다 함.
라와 주022)
라와:
날아와. -[飛]+아/어#오-[來]+아/어.
閻浮提예 王 외니 虛空 地下 各 四十 里예 鬼神이 다 됴쎠 주023)
됴쎠:
좋구나. 됴-[好]+ㄹ쎠(감탄법 종결어미).
讚歎더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時父王得重疾 諸臣即便莊嚴阿育將至王所 今且立此子爲王 我等後徐徐當立修師摩爲王 時王聞此語憂愁不樂默然不對 即便命終 時阿育心念口言 我應正得王位者 諸天自然來以水灌我頂 素繒繫首 尋聲諸天即以水灌阿育頂 素繒繫首受王極位人神欣慶
又引傳云 阿育拜王日鐵輪飛降王閻浮提 虛空地下各四十里 鬼神咸皆讚善(阿育王如禮法殯葬父王已 即立阿㝹樓陀爲大臣) (일부 미상)

[아육왕의 즉위 과정 7]
그때 부왕이 큰 병을 앓았으니, 신하들이 아육을 치장하여 왕께 가 사뢰기를, “잠시 이 아들을 왕으로 세웠다가 우리가 후에 천천히 수사마〈왕자〉를 〈왕으로〉 세울 것입니다.” 그때 왕이 탐탁찮게 여기고 대답하지 않으니, 아육이 이르기를, “내가(나야말로) 왕위를 얻을 사람이면, 제천이 자연히 와서 물로 내 정수리에 붓고 흰 비단을 머리에 맬 것이다.” 즉시 제천이 물로 아육의 정수리에 붓고 흰 비단을 머리에 매었다. 왕이 숨지니, 아육이 왕이 되니, 인신이 기뻐하더라.【왕이 되는 날에 철륜이 날아와 염부제에 왕이 되니, 허공과 지하 각 40리에서 귀신이 모두 ‘좋구나’(하고) 찬탄하였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얫거늘:하였거늘. 하였으니. -+아#잇-[有]+거늘. 이미 일어난 사실을 주관적으로 확신하여 강조하는 선어말어미 ‘-거-’는 어말 말음이 ‘ㅣ’나 ‘ㄹ’, 계사 뒤에서 ‘-어-’(반드시 분철)로 나타남. 이런 음운론적인 교체 외에도 형태론적 교체를 보이기도 하는데 ‘-거/어-’는 자동사와 결합하고 ‘-아/어-’는 타동사와 결합하며 자동사 ‘오-[來]’ 뒤에서는 ‘-나-’로 교체됨.
주002)
장엄(莊嚴):아름답게 장식함. 엄숙하게 장식된 모양.
주003)
안:잠시. 한동안. 안[且](평-거, 부사). 동일한 형태와 성조를 가지면서 ‘가장’, ‘아직, 또한’의 동음이의어도 존재함.
주004)
셰옛다가:세워 있다가. 세웠다가. 셔-[立]+ㅣ(사동접미사)+어#잇-[有]+다가. ⟶ 〈69ㄴ〉 ‘안잿더니’.
주005)
날호야:천천히. 더디게. 날호야[徐](평-거-거, 부사).
주006)
셰요리다:세우겠습니다. 셔-[立]+ㅣ(사동접미사)+오/우+리++다.
주007)
츠기:섭섭히. 탐탁찮게. 츠기[恨](평-평, 부사).
주008)
아니터니:않더니. 아니-+더+니.
주009)
나옷:나는. 나야말로. 나[我]+옷(강세의 보조조사).
주010)
사민댄:사람이면. 사람이니. 사[人]+인댄(원인·이유의 연결어미).
주011)
자연(自然)히:몸소. 혼자서. 저절로. 자연히. 自然히(거-평-거, 부사).
주012)
바기예:정수리에. 바기[頂]+예(처소의 부사격조사). ‘-애’는 체언의 끝모음이 양성일 때, ‘-에’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음성일 때, ‘-예’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이〔i〕’나, 부모음 ‘ㅣ〔y〕’일 때 쓰임.
주013)
:흰. -[白]+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14)
기블:깁을. 비단을. 깁[繒]+을(목적격조사).
주015)
리라:매리라. 맬 것이다. -[繫]+리+라. 서술격조사 ‘이-’와 선어말어미 ‘-오/우-, -니-, -리-, -더-, -지-’등 뒤에서는 종결어미 ‘-다’가 ‘-라’로 교체됨.
주016)
명종(命終):목숨이 다함.
주017)
외니:되니. 외-[爲]+니. ‘외-’는 ‘-(평-평)’〈용가 98〉의 ‘ㅸ’ 소실로 ‘외-’가 됨.
주018)
인신(人神):사람들과 불타의 가르침을 수호하는 8부중의 신들임. 곧, 천(天), 용(龍), 야차(夜叉), 건달바(乾達婆), 아수라(阿修羅), 가루라(迦樓羅), 긴나라(緊那羅), 마후라가(摩睺羅迦).
주019)
깃거더라:기뻐하였다. -[喜]+아/어+-+더+라. 결국 ‘깃거-(동사)’와 ‘-[喜](동사)’가 같이 쓰였음. 서술격조사 ‘이-’와 선어말어미 ‘-오/우-, -니-, -리-, -더-, -지-’ 등 뒤에서는 종결어미 ‘-다’가 ‘-라’로 교체됨.
주020)
나래:날에. 날[日]+애(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21)
철륜(鐵輪):인도의 신화에서 세계를 통일 지배하는 제왕의 이상상(理想像)을 전륜왕(轉輪王:통치의 고리를 굴리는 왕)이라 하는데, 이 전륜에 금륜(金輪), 은륜(銀輪), 동륜(銅輪), 철륜(鐵輪)의 네 가지가 있다 함.
주022)
라와:날아와. -[飛]+아/어#오-[來]+아/어.
주023)
됴쎠:좋구나. 됴-[好]+ㄹ쎠(감탄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