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 월인천강지곡 기578~기579(2곡)
  • 월인천강지곡 기578
메뉴닫기 메뉴열기

월인천강지곡 기578


其 五百七十八
優波麴多 주001)
우바국다(優波麴多):
Upagupta. 제3조 상나화수존자에게서 불법을 전해 받은 제4조로 아육왕의 스승임.
尊者

월인석보 25:91ㄴ

주002)
벌에:
벌레. 벌에[蟲](평-거, 명사).
주가 주003)
주가:
죽을까. 죽-[死]+(/으)ㅭ가(의문형 어미). 중세국어의 의문법은 설명의문, 판정의문, 주어의 인칭 등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는데 주어의 인칭에 제약 없이 사용되는 의문법 종결어미 ‘-녀/니아(판정의문), 뇨/니오(설명의문)’와 주어가 2인칭일 때만 사용되는 ‘-ㄴ다(판정의문과 설명의문 비구분)’, 내적 사유 구문에 사용되는 ‘-(/으)ㄴ가/-ㅭ가/-ㄴ고/-ㅭ고’가 있음.
야 萬 八千 羅漢 주004)
나한(羅漢):
아라한(阿羅漢, arahan). 소승불교에서 최상의 성자. 존경받을 만한 수행자.
더브러 주005)
더브러:
더불어. 더블-[與]+아/어.
오니
賓頭盧 주006)
빈두로(賓頭盧):
Piṇḍolabharadvāja. 빈두로파라타(賓頭盧頗羅墮). 세존의 제자. 16나한의 한 사람으로 흰 머리와 기다란 눈썹을 가진 것으로 유명함. ‘16나한’은 정법(正法)을 지켜 유지하려고 맹세한 이들로 각자가 많은 권속을 가지고 있으며, 공양할 때는 다 모인다고 함.
尊者
그려기 주007)
그려기:
기러기. 그려기[雁](평-평-평, 명사).
티 라 無量數 羅漢더브러 오니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기 오백칠십팔
우바국다 존자가 벌레 죽을까 하여 만 팔천 나한과 함께 오니.
빈두로 존자가 기러기같이 날아 무량수의 나한과 함께 오니.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우바국다(優波麴多):Upagupta. 제3조 상나화수존자에게서 불법을 전해 받은 제4조로 아육왕의 스승임.
주002)
벌에:벌레. 벌에[蟲](평-거, 명사).
주003)
주가:죽을까. 죽-[死]+(/으)ㅭ가(의문형 어미). 중세국어의 의문법은 설명의문, 판정의문, 주어의 인칭 등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는데 주어의 인칭에 제약 없이 사용되는 의문법 종결어미 ‘-녀/니아(판정의문), 뇨/니오(설명의문)’와 주어가 2인칭일 때만 사용되는 ‘-ㄴ다(판정의문과 설명의문 비구분)’, 내적 사유 구문에 사용되는 ‘-(/으)ㄴ가/-ㅭ가/-ㄴ고/-ㅭ고’가 있음.
주004)
나한(羅漢):아라한(阿羅漢, arahan). 소승불교에서 최상의 성자. 존경받을 만한 수행자.
주005)
더브러:더불어. 더블-[與]+아/어.
주006)
빈두로(賓頭盧):Piṇḍolabharadvāja. 빈두로파라타(賓頭盧頗羅墮). 세존의 제자. 16나한의 한 사람으로 흰 머리와 기다란 눈썹을 가진 것으로 유명함. ‘16나한’은 정법(正法)을 지켜 유지하려고 맹세한 이들로 각자가 많은 권속을 가지고 있으며, 공양할 때는 다 모인다고 함.
주007)
그려기:기러기. 그려기[雁](평-평-평, 명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