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 보리수와 승중 공양
  • 보리수와 승중 공양 6
메뉴닫기 메뉴열기

보리수와 승중 공양 6


[보리수와 승중 공양 6]
尊者ㅣ 닐오 王

월인석보 25:124ㄱ

므슴 주001)
므슴:
어찌. 므슴(평-거, 의문부사). 이는 동음어로 대명사, 관형사, 부사로 두루 쓰였음.
주002)
해:
많이. 하-[多]+ㅣ(부사파생 접미사).
무르시고 주003)
무르시고:
무르십니까? 묻-[問](ㄷ불규칙)+(/으)시++ㄴ고(의문법 종결어미).
이제 의 주004)
의:
스님의. ‘즁’은 낮춤말이 아니었음. 바로 다음 쪽〈124ㄴ〉의 ‘님냇긔’ 경우도 있기는 함.
게 供養쇼셔 밥 다 머그면 王이 歡喜시게 호리다阿育王傳 주005)
아육왕전(阿育王傳):
안식국(안식(安息國)의 사문인 안법흠(安法欽)의 번역. 7권. 아육왕의 전기와 마하가섭 우바국다 상나화수 등의 전기를 기록한 책.
에 닐오 므슴 무르시고 니 주006)
니:
끼니. 때. 니(평-거, 명사).
마 주007)
마:
이미. 벌써. 장차. 마(평-거, 부사).
다니 주008)
다니:
다다르니. 다-[到](ㄷ불규칙)+(/으)니. 현대어는 ‘다다르-’로 재구조화 됨.
의 바 주쇼셔 밥 다 먹고 다시 王 爲야 다 리다 주009)
리다:
사뢰겠습니다. 말씀드리겠습니다. -[白](ㅂ불규칙)+오/우+리++다. → 〈64ㄱ〉 ‘.’
王이 닐오 올시다 주010)
올시다:
옳으십니다. 옳-[正]+(/으)시++다.
尊者하 몬져 주011)
몬져:
먼저. 몬져[先](평-평, 명사/부사).
내 念佛 주012)
염불(念佛):
부처님을 억념함. 부처님의 공덕이나 상(相)을 마음에 떠올림.
 주013)
:
마음을. [心]+(목적격조사).
니와다 주014)
니와다:
일으켜. 니-[起]+왇(강세접미사)+아/어.
菩提樹

월인석보 25:124ㄴ

저진 주015)
저진:
적신. 저지-[潤]+ㄴ(관형사형 연결어미).
後에 주016)
후(後)에:
후에야. 後+에(처소의 부사격조사)+(강세의 보조조사).
香美 飮食로 님내 주017)
님내:
스님들께. 즁[僧]+님(존칭접미사)+내(복수접미사)+(존칭의 부사격조사). ‘’는 ‘ㅅ’과 ‘긔’로 분석될 수 있는데 ‘ㅅ’는 유정 존칭 체언에 사용되는 존칭 관형격 ‘ㅅ’이고 ‘긔’는 낙차점 처소의 부사격조사 ‘’는 존칭으로 쓰임.
받리다 주018)
받리다:
바치겠습니다. 받-[奉]++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리++다.
고 羣臣 주019)
칙(勑):
칙(勅). ‘칙명’의 준말. 임금의 명령.
야 나라해 주020)
나라해:
나라에. 나라ㅎ[國](ㅎ종성체언)+애(처소의 부사격조사).
出令 주021)
출령(出令):
명령을 내림.
호 王이 이제 十萬兩 金을 내야 衆僧 주022)
중승(衆僧):
3, 4인 이상의 비구가 화합하고 있음을 승가(僧伽, saṃgha)라 하는데, 한역(漢譯)으로는 ‘중(衆)’이라 함. 그러므로 ‘중승’은 의역의 한자어와 산스크리트어의 음역(音譯) ‘승(僧)’이 겹친 말임.
의게 布施고 즈믄 주023)
즈믄:
천. 즈믄[千](거-평). 리 즈믄 매〈월석 1:1ㄱ〉.
독 香湯로 菩提樹를 저지시다 주024)
저지시다:
적시신다. 젖-[潤]+이(사동 파생접미사)+시++다.
야 五衆 주025)
오중(五衆):
출가한 5중으로 비구·비구니·식차마나·사미·시미니를 이름.
모도더

월인석보 25:125ㄱ

주026)
모도더니:
모으더니. 모도-[會]+더+니.
【五衆은 沙彌 주027)
사미(沙彌):
śrāmaṇera. 출가하여 10계를 받아 지닌 나이 어린 남자.
沙彌尼 주028)
사미니(沙彌尼):
śrāmaṇerikā. 출가하여 10계를 받아 지닌 나이 어린 여자.
式叉摩那 주029)
식차마나(式叉摩那):
śikșamāṇa. 사미니로서 비구니에 이르는 2년 동안을 이름.
比丘 주030)
비구(比丘):
bhikșu. 남자로 출가하여 걸식으로 생활하는 승려로 250계를 받아 지닌 이.
比丘尼 주031)
비구니(比丘尼):
bhikșuni. 여자로 출가하여 걸식으로 생활하는 승려로 348계를 받아 지닌 이.
式叉摩那 法 호 주032)
호:
배우는. 호-[學]+(현재시상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 연결어미).
女ㅣ라 혼 마리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尊者曰王 何須多問 今當施設供養於僧 食竟使王歡喜 (일부 미상) 王言 如是尊者 然我今先當供養佛念所覺菩提之樹 然後香美飲食施設於僧 勅諸群臣唱令國界 王今捨十萬兩金布施衆僧 千瓮香湯溉灌菩提樹 集諸五衆

[보리수와 승중 공양 6]
존자가 이르기를, “왕이 어찌 〈이렇게도〉 많이 물으십니까? 이제 중에게 공양하십시오. 밥 다 먹으면 왕이 환희하시게 하겠습니다.”『아육왕전』에 이르기를, “어찌 많이 물으시는가? 끼니 〈때가〉 이미 다가오니 중의 밥을(중에게 밥을) 주십시오. 밥 다 먹고 다시 왕을 위하여 모두 말씀드리겠습니다.”】 왕이 이르기를, “옳습니다. 존자이시여, 먼저 나에게 염불의 마음을 일으켜 보리수를 적신 후에야 향기롭고 맛있는 음식으로 스님들께 받치겠습니다.” 하고, 모든 신하들에게 명령하여 나라에 출령하기를, “왕이 이제 10만 량의 금을 내어 중승에게 보시하고, 천 개의 항아리에 향탕으로 보리수를 적시신다.” 하여, 오중을 모으더니【‘오중’은 사미·사미니·식차마나·비구·비구니이다. ‘식차마나’는 ‘법을 배우는 여자이다.’라고 하는 말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므슴:어찌. 므슴(평-거, 의문부사). 이는 동음어로 대명사, 관형사, 부사로 두루 쓰였음.
주002)
해:많이. 하-[多]+ㅣ(부사파생 접미사).
주003)
무르시고:무르십니까? 묻-[問](ㄷ불규칙)+(/으)시++ㄴ고(의문법 종결어미).
주004)
의:스님의. ‘즁’은 낮춤말이 아니었음. 바로 다음 쪽〈124ㄴ〉의 ‘님냇긔’ 경우도 있기는 함.
주005)
아육왕전(阿育王傳):안식국(안식(安息國)의 사문인 안법흠(安法欽)의 번역. 7권. 아육왕의 전기와 마하가섭 우바국다 상나화수 등의 전기를 기록한 책.
주006)
니:끼니. 때. 니(평-거, 명사).
주007)
마:이미. 벌써. 장차. 마(평-거, 부사).
주008)
다니:다다르니. 다-[到](ㄷ불규칙)+(/으)니. 현대어는 ‘다다르-’로 재구조화 됨.
주009)
리다:사뢰겠습니다. 말씀드리겠습니다. -[白](ㅂ불규칙)+오/우+리++다. → 〈64ㄱ〉 ‘.’
주010)
올시다:옳으십니다. 옳-[正]+(/으)시++다.
주011)
몬져:먼저. 몬져[先](평-평, 명사/부사).
주012)
염불(念佛):부처님을 억념함. 부처님의 공덕이나 상(相)을 마음에 떠올림.
주013)
:마음을. [心]+(목적격조사).
주014)
니와다:일으켜. 니-[起]+왇(강세접미사)+아/어.
주015)
저진:적신. 저지-[潤]+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16)
후(後)에:후에야. 後+에(처소의 부사격조사)+(강세의 보조조사).
주017)
님내:스님들께. 즁[僧]+님(존칭접미사)+내(복수접미사)+(존칭의 부사격조사). ‘’는 ‘ㅅ’과 ‘긔’로 분석될 수 있는데 ‘ㅅ’는 유정 존칭 체언에 사용되는 존칭 관형격 ‘ㅅ’이고 ‘긔’는 낙차점 처소의 부사격조사 ‘’는 존칭으로 쓰임.
주018)
받리다:바치겠습니다. 받-[奉]++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리++다.
주019)
칙(勑):칙(勅). ‘칙명’의 준말. 임금의 명령.
주020)
나라해:나라에. 나라ㅎ[國](ㅎ종성체언)+애(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21)
출령(出令):명령을 내림.
주022)
중승(衆僧):3, 4인 이상의 비구가 화합하고 있음을 승가(僧伽, saṃgha)라 하는데, 한역(漢譯)으로는 ‘중(衆)’이라 함. 그러므로 ‘중승’은 의역의 한자어와 산스크리트어의 음역(音譯) ‘승(僧)’이 겹친 말임.
주023)
즈믄:천. 즈믄[千](거-평). 리 즈믄 매〈월석 1:1ㄱ〉.
주024)
저지시다:적시신다. 젖-[潤]+이(사동 파생접미사)+시++다.
주025)
오중(五衆):출가한 5중으로 비구·비구니·식차마나·사미·시미니를 이름.
주026)
모도더니:모으더니. 모도-[會]+더+니.
주027)
사미(沙彌):śrāmaṇera. 출가하여 10계를 받아 지닌 나이 어린 남자.
주028)
사미니(沙彌尼):śrāmaṇerikā. 출가하여 10계를 받아 지닌 나이 어린 여자.
주029)
식차마나(式叉摩那):śikșamāṇa. 사미니로서 비구니에 이르는 2년 동안을 이름.
주030)
비구(比丘):bhikșu. 남자로 출가하여 걸식으로 생활하는 승려로 250계를 받아 지닌 이.
주031)
비구니(比丘尼):bhikșuni. 여자로 출가하여 걸식으로 생활하는 승려로 348계를 받아 지닌 이.
주032)
호:배우는. 호-[學]+(현재시상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