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 〈협주〉 태자 법익 이야기
  • 태자 법익 이야기 1
메뉴닫기 메뉴열기

태자 법익 이야기 1


[태자 법익 이야기 1]
法益太子 주001)
법익태자(法益太子):
아육왕의 왕자.
 八萬四千 塔 셸 나래 주002)
셸 나래:
세우는 날에. 세운 날에. 셔-[立]+이(사동접미사)+ㄹ(관형사형 연결어미)#날[日]+애.
나니 눈 고미 주003)
고미:
고움이. 곱기가. 곱-[麗](ㅂ불규칙)+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 〈64ㄱ〉‘’.
鳩那羅 주004)
구나라(鳩那羅):
kunala. 새의 이름. 아육왕의 태자가 눈이 맑기가 구나라조와 흡사하므로 태자의 별명이 됨.
새 누니  주005)
:
같으므로. -[同]+ㄹ(원인·이유의 연결어미). 이는 본래 부사 ‘’에 접미사 ‘-’가 결합되어 ‘-’가 파생되고, ‘며(++며)’와 같은 활용에 대하여 오분석(誤分析)한 결과 새로운 어간 ‘-’이 나타나게 되고 이 ‘-’이 음절말에서 8종성표기로 ‘-’이 되기도 함.
일훔 지니 주006)
지니:
이름 붙이니. 짛-[作名]+(/으)니.
法益太子나거늘 주007)
나거늘:
(태어)나거늘. 나니. 나-[出]+거늘.
王이 깃거 주008)
깃거:
기뻐하여. -[喜](동사)+아/어(연결어미).
닐오 先王種 주009)
선왕종(先王種):
선왕의 종족(宗族).
이 큰 名稱이 잇거늘 내 이제  能히 法에 增長야 주010)
증장(增長)야:
(불법에) 더욱 깊이 나아가. 增長-+아/어. 연결어미 ‘-아’는 모음조화에 따라 ‘-아/어’로 변하지만 ‘-’ 뒤에서 만은 ‘야’로 변동됨.
이 아 나콰라 주011)
나콰라:
낳았다. 낳-[出]+거(과거시상 선어말어미)+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라. 선어말어미 ‘-거-+오/우-’는 ‘-과-’로 변동되고 어간 ‘낳-’의 종성 ‘ㅎ’과 축약되어 ‘-콰-’가 됨.
□□□□□라 일훔 지니라 졋□□□□□□ 오나 주012)
오나:
오거늘. 오니. 오-[來]+나. 이미 일어난 사실을 주관적으로 확신하여 강조하는 선어말어미 ‘-거-’는 어말 말음이 ‘ㅣ’나 ‘ㄹ’, 계사 뒤에서 ‘-어-’(반드시 분철)로 나타나는 음운론적인 교체 외에도 형태론적 교체를 보이기도 하는데, ‘-거/어-’는 자동사와 결합하고 ‘-아/어-’는 타동사와 결합하며 자동사 ‘오-[來]’ 뒤에서는 ‘-나-’로 교체됨.
王이 보〈*고〉□□□□□〈*下〉려 무로 □□□□□□□□다 對答

월인석보 25:140ㄴ

호〈*〉 □□□□□□□ 鳩那羅 □□□□□□□□다 王이 즉〈*재〉 □□□□□□ 자바 오라 야 刹〔那〕〔ㅅ〕 주013)
찰나(刹那)ㅅ:
매우 짧은 시간의. 刹那+ㅅ(관형격조사).
□□〔〕〈*〉예 주014)
예:
사이에. [間]+예(처소의 부사격조사). ‘-애’는 체언의 끝모음이 양성일 때, ‘-에’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음성일 때, ‘-예’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이〔i〕’나, 부모음 ‘ㅣ〔y〕’일 때 쓰임.
자바 오니 마치 주015)
마치:
맞추어. 마치. 마치(거-거, 부사).
거늘 주016)
거늘:
같거늘. 같으니. -[如]+거늘.
〈*鳩那〉羅ㅣ라 일훔 지(* 주017)
지(*)니라:
(이름) 지으니라. (이름) 지었다. (이름) 붙이었다. 짛-[作名]+(/으)니+라.
)니라≫
擧動 주018)
거동(擧動):
행동하는 것이나 태도.
쳔쳔고 주019)
쳔쳔고:
천천하고. 의젓하고. 쳔쳔-[徐]+고.
글도 잘며 활도 잘 쏘며 一弦琴 주020)
일현금(一弦琴):
한 줄로 된 현악기.
을 잘 노더니 주021)
노더니:
놀더니. 놀-[遊]+더+니.
王ㅅ 夫人 나히 보고 야 더러 주022)
더러:
더러운. 더럽-[汚](ㅂ불규칙)+은(관형사형 연결어미). → 〈64ㄱ〉 ‘’.
들 거늘 太子ㅣ 구틔여 주023)
구틔여:
구태여. 억지로. 구틔여[敢](평-거-거, 부사).
從티 아니대 夫人이 怒고 제 이리 가 주024)
가:
(탄로)날까? 나-[出]+ㅭ가(의문법 종결어미).
저허 주025)
저허:
두려워하여. 젛-[畏](평성, 동사)+아/어.
王  太子ㅣ 德과 조왜 주026)
조왜:
(덕과) 재주가. 조[才]+와(접속조사)+이(주격조사). 체언을 둘 이상 ‘-과/와’로 연결할 때, 끝의 체언에도 ‘-과/와’를 쓰고 여기에 아우르는 격조사를 쓰는 이른바 집단곡용임.
시니 주027)
시니:
구비되어 있으시니. 갖추어지셨으니. -[具](평성, 형용사)+(/으)시+니.
 주028)
:
가에. 끝에. 변두리에. [邊](상성, 명사)+애(처소의 부사격조사). 『용비어천가』, 『석 보상절』 등에서 ‘’으로 씌었으나, 동시대의 『석보상절』〈그지업스며 업스시니, 19:4ㄱ〉, 『월인석보』〈 업시 저지 시니라 19:38ㄴ〉 등에 ‘’으로도 씌었음.
보내샤 百姓의  주029)
:
마음을. [心]+(목적격조사).

월인석보 25:141ㄱ

호시게 주030)
호시게:
하시게. -+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시+게(보조적 연결어미).
주031)
뫼호시게:
모으시게. 뫼호-[集]+시+게.
쇼셔 주032)
쇼셔:
하십시오. -+쇼셔(쇼셔체 명령법 종결어미). 중세국어의 종결어미체계는 ‘라’체, ‘야쎠’체, ‘쇼셔’체로 구분되는데 이에 따른 명령형어미는 ‘-라, -어쎠, -쇼셔’로 나타남.
王이 太子 보 주033)
내:
냄새. 냄새가. 내[臭](거성, 명사)+Ø(영형태 주격조사).
니 太子ㅣ 甚히 잘 다리더니 주034)
다리더니:
다스리더니. 다스렸는데. 다리-[治]+더+니.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法益經云 王有)太子 (名達摩跋檀那 齊言)法益 是起八萬四千塔日所生也 眼可愛如 似鳩那羅鳥眼 即以為名焉 (일부 미상) 風姿明雅有文武稱 善彈一弦琴 王有一別房夫人 見而愛之欲與私通 太子固辭不從 夫人懷恨既深 又恐事泄密欲棄之 因白王曰 當今華裔一化四海同風 太子年德俱美文武備通 宜可鎮撫邊要以取百姓之心 王從其志 即分部兵眾以送 太子在鎮甚有治能

[태자 법익 이야기 1]
【‘법익태자’는 8만 4천 탑을 세운 날에 태어나니, 눈 곱기가 구나라 새의 눈과 같으므로 이름을 지으니≪법익태자가 나니 왕이 기뻐하여 이르기를, “선왕종이 큰 명칭이 있거늘 내가 이제 또 능히 법에 증장 주035)
증장(增長):
(불법에) 더욱 깊이 나아가.
하여 이 아들을 낳았다. □□□□□이라 이름 지었다.” 졋□□□□□□ 오니, 왕이 보고 □□□□□하에게 묻기를, “□□□□□□□□다.” 대답하되 □□□□□□□ 구나라□□□□□□□□입니다. 왕이 즉시 □□□□□□ 잡아 오라 하니, 찰□□□□이에 잡아 오니, 마치(거의) 같으니, ‘구나라’라고 이름을 지었다.≫
거동이 의젓하고 글도 잘하며 활도 잘쏘며 일현금을 잘 놀더니, 왕의 부인 하나가(한 부인이) 보고 사랑하여 더러운 뜻을 가지거늘, 태자가 억지로 따르지 아니하니 부인이 노하여 자신의 일이 〈탄로〉날까 두려워하여 왕께 사뢰기를, “태자가 덕과 재주가 갖추어지셨으니, 변방에 보내시어 백성의 마음을 모으시게 하십시오.” 왕이 태자를 보내니 태자가 매우 잘 다스렸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법익태자(法益太子):아육왕의 왕자.
주002)
셸 나래:세우는 날에. 세운 날에. 셔-[立]+이(사동접미사)+ㄹ(관형사형 연결어미)#날[日]+애.
주003)
고미:고움이. 곱기가. 곱-[麗](ㅂ불규칙)+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 〈64ㄱ〉‘’.
주004)
구나라(鳩那羅):kunala. 새의 이름. 아육왕의 태자가 눈이 맑기가 구나라조와 흡사하므로 태자의 별명이 됨.
주005)
:같으므로. -[同]+ㄹ(원인·이유의 연결어미). 이는 본래 부사 ‘’에 접미사 ‘-’가 결합되어 ‘-’가 파생되고, ‘며(++며)’와 같은 활용에 대하여 오분석(誤分析)한 결과 새로운 어간 ‘-’이 나타나게 되고 이 ‘-’이 음절말에서 8종성표기로 ‘-’이 되기도 함.
주006)
지니:이름 붙이니. 짛-[作名]+(/으)니.
주007)
나거늘:(태어)나거늘. 나니. 나-[出]+거늘.
주008)
깃거:기뻐하여. -[喜](동사)+아/어(연결어미).
주009)
선왕종(先王種):선왕의 종족(宗族).
주010)
증장(增長)야:(불법에) 더욱 깊이 나아가. 增長-+아/어. 연결어미 ‘-아’는 모음조화에 따라 ‘-아/어’로 변하지만 ‘-’ 뒤에서 만은 ‘야’로 변동됨.
주011)
나콰라:낳았다. 낳-[出]+거(과거시상 선어말어미)+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라. 선어말어미 ‘-거-+오/우-’는 ‘-과-’로 변동되고 어간 ‘낳-’의 종성 ‘ㅎ’과 축약되어 ‘-콰-’가 됨.
주012)
오나:오거늘. 오니. 오-[來]+나. 이미 일어난 사실을 주관적으로 확신하여 강조하는 선어말어미 ‘-거-’는 어말 말음이 ‘ㅣ’나 ‘ㄹ’, 계사 뒤에서 ‘-어-’(반드시 분철)로 나타나는 음운론적인 교체 외에도 형태론적 교체를 보이기도 하는데, ‘-거/어-’는 자동사와 결합하고 ‘-아/어-’는 타동사와 결합하며 자동사 ‘오-[來]’ 뒤에서는 ‘-나-’로 교체됨.
주013)
찰나(刹那)ㅅ:매우 짧은 시간의. 刹那+ㅅ(관형격조사).
주014)
예:사이에. [間]+예(처소의 부사격조사). ‘-애’는 체언의 끝모음이 양성일 때, ‘-에’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음성일 때, ‘-예’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이〔i〕’나, 부모음 ‘ㅣ〔y〕’일 때 쓰임.
주015)
마치:맞추어. 마치. 마치(거-거, 부사).
주016)
거늘:같거늘. 같으니. -[如]+거늘.
주017)
지(*)니라:(이름) 지으니라. (이름) 지었다. (이름) 붙이었다. 짛-[作名]+(/으)니+라.
주018)
거동(擧動):행동하는 것이나 태도.
주019)
쳔쳔고:천천하고. 의젓하고. 쳔쳔-[徐]+고.
주020)
일현금(一弦琴):한 줄로 된 현악기.
주021)
노더니:놀더니. 놀-[遊]+더+니.
주022)
더러:더러운. 더럽-[汚](ㅂ불규칙)+은(관형사형 연결어미). → 〈64ㄱ〉 ‘’.
주023)
구틔여:구태여. 억지로. 구틔여[敢](평-거-거, 부사).
주024)
가:(탄로)날까? 나-[出]+ㅭ가(의문법 종결어미).
주025)
저허:두려워하여. 젛-[畏](평성, 동사)+아/어.
주026)
조왜:(덕과) 재주가. 조[才]+와(접속조사)+이(주격조사). 체언을 둘 이상 ‘-과/와’로 연결할 때, 끝의 체언에도 ‘-과/와’를 쓰고 여기에 아우르는 격조사를 쓰는 이른바 집단곡용임.
주027)
시니:구비되어 있으시니. 갖추어지셨으니. -[具](평성, 형용사)+(/으)시+니.
주028)
:가에. 끝에. 변두리에. [邊](상성, 명사)+애(처소의 부사격조사). 『용비어천가』, 『석 보상절』 등에서 ‘’으로 씌었으나, 동시대의 『석보상절』〈그지업스며 업스시니, 19:4ㄱ〉, 『월인석보』〈 업시 저지 시니라 19:38ㄴ〉 등에 ‘’으로도 씌었음.
주029)
:마음을. [心]+(목적격조사).
주030)
호시게:하시게. -+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시+게(보조적 연결어미).
주031)
뫼호시게:모으시게. 뫼호-[集]+시+게.
주032)
쇼셔:하십시오. -+쇼셔(쇼셔체 명령법 종결어미). 중세국어의 종결어미체계는 ‘라’체, ‘야쎠’체, ‘쇼셔’체로 구분되는데 이에 따른 명령형어미는 ‘-라, -어쎠, -쇼셔’로 나타남.
주033)
내:냄새. 냄새가. 내[臭](거성, 명사)+Ø(영형태 주격조사).
주034)
다리더니:다스리더니. 다스렸는데. 다리-[治]+더+니.
주035)
증장(增長):(불법에) 더욱 깊이 나아가.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