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 법익의 아들 삼바제가 왕이 됨
  • 법익의 아들 삼바제가 왕이 됨
메뉴닫기 메뉴열기

법익의 아들 삼바제가 왕이 됨


[법익의 아들 삼바제가 왕이 됨]
◯ 臣下히 太子 王 셰유려 주001)
셰유려:
세우려. 셔-[立]+이(사동접미사)+오/우+려.
커늘 阿㝹羅陁 大臣이 닐오 太子 몯 셰리니 엇뎨어뇨 주002)
엇뎨어뇨:
어째서인가? 엇뎌/엇뎨+Ø(영형태 서술격조사)+어+뇨. 중세국어 의문법은 의문사가 있는 설명법 의문문과 의문사가 없는 판정의문문으로 나뉘는데, 전자의 경우는 ‘-오’가 후자의 경우는 ‘-아’가 사용된다. 따라서 주어의 인칭에 제약 없이 사용되는 의문법 종결어미 ‘-녀/니아, -뇨/니오’ 중에서 ‘뉘’라는 의문사와 호응되어 ‘뇨’가 나타난 것임.
란 주003)
란:
하면. -+란(조건, 가정의 연결어미).
大王 겨 저긔 本來〈*ㅅ〉 〈*誓願 주004)
서원(誓願):
틀림없이 목적을 이루려고 맹세함.
〉이 十萬億 金〈*을〉 □□ 〈*功德〉을 지려 주005)
지려:
지으려. 짓-[作](ㅅ불규칙)+오/우+려. → 〈65ㄴ〉 ‘지시관’.

월인석보 25:139ㄴ

시다〈*가〉 주006)
시다가:
하시다가. -+시+다가.
□□□□□□〈*실〉 閻浮提 三□□〈*애〉 施샤 오려 주007)
오려:
채우려. 오-[滿](평-거, 사동사)+려. 이 ‘오-’는 사동접미사 ‘-ㅣ오-’가 이중으로 쓰인 것임.
시니 이제 大地 三寶 주008)
삼보(三寶):
세 가지 보배, 즉 불교도라면 마땅히 존경하고 공양해야 하는 불(佛), 법(法), 승(僧), 세 가지는 마치 보배와 같이 고귀한 것이라는 뜻임.
애 屬거니 엇뎨 太子 셰료 주009)
셰료:
세우리오? 세우겠는가? 셔-[立]+이(사동접미사)++(/으)리+오.
臣下히 議論야 四億金을 내야 주010)
내야:
내어. 내-[出]+아/어.
뎌레 주011)
뎌레:
절에. 뎔[寺]+에.
보내오 法益太子 주012)
법익태자(法益太子):
아육왕의 왕자.
ㅅ 아 三波提太

월인석보 25:140ㄱ

주013)
삼바제태자(三波提太子):
법익태자의 아들. 원본에 ‘波’의 음을 ‘바’로 해 놓았으므로 ‘삼파제’ 아닌 ‘삼바제’로 옮겼음.
ㅣ 王 외니라 주014)
외니라:
되었다. 외-[爲]+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爾時諸臣欲立太子以紹王位 中有一大臣 名曰阿㝹羅陀 語諸臣曰 不得即立太子 所以者何 大王阿育在時 本誓願滿十萬億金 作諸功德 猶減四億 不滿十萬億 以是故今捨閻浮提 施與三寶欲令滿足 今是大地屬於三寶 云何而立太子爲王 諸臣聞已 議出四億金送與寺中 即便立法益之子爲王 名三波提>(이상 석가보 권5, 아육왕조8만4천탑기 제31, 〈대정신수대장경〉 제50, 82쪽 상) (일부 미상)

[법익의 아들 삼바제가 왕이 됨]
◯ 신하들이 태자를 왕으로 세우려 하거늘 아누라타 대신이 이르기를, “태자를 못 세울 것이니, 어째서인가 하면, 대왕께서 〈살아〉 계실 때 본래의 서원이 10만 억 금을 □□ 공덕을 지으려 하시다가 □□□□□□시므로 염부제를 삼□□에 보시하시어 채우려 하셨으니, 이제 대지〈가〉 삼보에 속하였는데 어찌 태자를 세우겠는가?” 신하들이 의론하여 4억금을 내어 절에 보내고 법익태자의 아들 삼바제태자가 왕이 되었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셰유려:세우려. 셔-[立]+이(사동접미사)+오/우+려.
주002)
엇뎨어뇨:어째서인가? 엇뎌/엇뎨+Ø(영형태 서술격조사)+어+뇨. 중세국어 의문법은 의문사가 있는 설명법 의문문과 의문사가 없는 판정의문문으로 나뉘는데, 전자의 경우는 ‘-오’가 후자의 경우는 ‘-아’가 사용된다. 따라서 주어의 인칭에 제약 없이 사용되는 의문법 종결어미 ‘-녀/니아, -뇨/니오’ 중에서 ‘뉘’라는 의문사와 호응되어 ‘뇨’가 나타난 것임.
주003)
란:하면. -+란(조건, 가정의 연결어미).
주004)
서원(誓願):틀림없이 목적을 이루려고 맹세함.
주005)
지려:지으려. 짓-[作](ㅅ불규칙)+오/우+려. → 〈65ㄴ〉 ‘지시관’.
주006)
시다가:하시다가. -+시+다가.
주007)
오려:채우려. 오-[滿](평-거, 사동사)+려. 이 ‘오-’는 사동접미사 ‘-ㅣ오-’가 이중으로 쓰인 것임.
주008)
삼보(三寶):세 가지 보배, 즉 불교도라면 마땅히 존경하고 공양해야 하는 불(佛), 법(法), 승(僧), 세 가지는 마치 보배와 같이 고귀한 것이라는 뜻임.
주009)
셰료:세우리오? 세우겠는가? 셔-[立]+이(사동접미사)++(/으)리+오.
주010)
내야:내어. 내-[出]+아/어.
주011)
뎌레:절에. 뎔[寺]+에.
주012)
법익태자(法益太子):아육왕의 왕자.
주013)
삼바제태자(三波提太子):법익태자의 아들. 원본에 ‘波’의 음을 ‘바’로 해 놓았으므로 ‘삼파제’ 아닌 ‘삼바제’로 옮겼음.
주014)
외니라:되었다. 외-[爲]+니+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