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 〈협주〉 목련의 난타용왕 교화
  • 목련의 난타용왕 교화 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목련의 난타용왕 교화 1


[목련의 난타용왕 교화 1]
釋提 桓因 주001)
석제환인(釋提桓因):
제석천(帝釋天). 도리천(忉利天) 곧 33천(天)의 주(主)임.
世尊  三十三天 주002)
삼십삼천(三十三天):
욕계(欲界) 6천의 제2로 도리천을 이름.
에 가샤 어마긔 說法쇼셔 世尊야 주003)
야:
잠잠하여. -[黙]+아/어. 연결어미 ‘-아’는 모음조화에 따라 ‘-아/어’로 변하지만 ‘-’ 뒤에서 만은 ‘야’로 변동됨.
바시니라 주004)
바시니라:
받으셨다. 받-[受]+(/으)시+니+라.
그 難陁 優槃難陁 주005)
우반난타(優槃難陁):
용왕의 이름.
龍王이 너교 머리 주006)
믠:
(머리를) 민. 믜-[禿](평성, 동사)+(/으)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이는 애초에는 동사의 활용으로 쓰였을 것이나, 그 쓰이는 범위가 좁아서 접두사로 바뀌어 쓰이게 되었다고 봄. 그러나, 이 대목에서는 접두사이기보다는 동사의 활용으로 보임. 드문 용례이나, 다음은 활용형으로 볼 수 있는 분명한 것임. ‘禿 독 俗呼禿廝 머리 놈’〈훈몽 초 상:15ㄱ〉.
沙門 주007)
사문(沙門):
śramaṇa. 처자와 권속을 버리고, 수도생활을 하는 이를 모두 일컬음.
히 내 우희 라니니 주008)
라니니:
날아다니니. -[飛]+아/어#니-[行]++니. ‘니-’는 ‘-[走]#니-[行]’로 재분석됨.
方便 주009)
방편(方便):
방법. 수단. 뛰어난 교화 방법.
을 야 업시우디 주010)
업시우디:
업신여기지. 업시우-[輕]+디.
몯게 주011)
몯게:
못하게. 몯-(상-평, 조동사)+게(보조적 연결어미).
호리라 야 龍王瞋恚 주012)
진에(瞋恚):
성을 내는 마음의 작용. 증오.
니르와

월인석보 25:105ㄴ

주013)
니르와다:
일으켜. 닐-[起]+(/으)왇(강세접미사)+아/어.
블와 과 주014)
블와 과:
불과 바람을. 블[火]+와(접속조사)+[風]+과(접속조사)+(목적격조사). 순자음 ‘ㅁ, ㅂ, ㅍ, ㅽ’ 아래 ‘ㅡ’의 원순모음 ‘ㅜ’로의 동화는 17세기 말엽에 이루어진 것으로 봄. 여기서와 같이, 체언이 둘 이상 연결되면서 접속조사 ‘-과/와’가 결합될 때, 끝엣 체언에도 ‘-과/와’를 결합하고 해당 체언의 문 구성에 알맞은 격조사를 결합했음. 이른바, ‘집단곡용’이라 함.
주015)
펴:
펴. 펴-[放/展]+(아/어).
閻浮里 주016)
염부리(閻浮里):
마을 이름.
內 브리  주017)
:
째듯이. 찢듯. -[裂]+[如].
거늘 주018)
거늘:
밝거늘. 밝았는데. -[明]+거늘.
그 阿難부텻긔  閻浮里
內 엇던 젼로 주019)
젼로:
까닭으로. 젼[因]+로(원인의 보조조사).
이 烟火ㅣ 잇니고 주020)
잇니고:
있는 것입니까? 잇-[有]+(현재시상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상대높임 선어말어미)+고(설명의 의문법 종결어미), 상위자를 상대한 화자의 공손한 진술을 표시하는 ‘--, --’은 설명법 종결어미 ‘-다’ 앞에서는 ‘--’로, 의문법 종결어미 ‘-가, -고’ 앞에서는 ‘--’으로, 명령법일 때는 ‘-쇼셔’로 쓰임.
≪烟은 주021)
:
내. 연기. [煙](거성, 명사).
라≫世尊니샤 주022)
니샤:
이르시기를. 니-[說]+시+오. 선어말어미 ‘-시-’는 선어말어미 ‘-오/우-’ 앞에서 ‘샤’로 변동됨.
이 두 龍王이 너교 머리 믠 沙門이 녜 내 우희 주023)
우희:
위에. 우ㅎ(ㅎ종성체언)+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 → 〈65ㄱ〉 ‘우희’.
니 주024)
니:
나니. -[飛]+(현재시상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우리히 모다 주025)
모다:
모여. 몯-[會](평성, 동사)+아/어(거성, 보조적 연결어미). 九龍이 모다 싯기니〈월석 2:34ㄴ〉. 이 활용형과는 동음어인 ‘모다[共](평-거, 부사)’‘ 모다 사야도〈석상 13:41ㄴ〉’도 쓰였음.
이긔여 주026)
이긔여:
이겨서. 이긔-[勝]+아/어.
업시우디 주027)
업시우디:
업신여기지. 업시우-[輕]+디.
몯게 호리라 야 瞋恚 니르와다 이 烟火 니 그럴 이런 變이 잇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爾時) 釋提桓因世尊言 (如來亦說 夫如來出世必當為五事 云何為五 當轉法輪 當度父母 無信之人立於信地 未發菩薩心令發菩薩意 於其中間當受佛決 此五因緣如來出現必當爲之 今如來母在三十三天 欲得聞法 今如來閻浮里內 四部圍遶 國王人民皆來運集 善哉 世尊) 可至三十三天與母說法 是時 世尊默然受之 爾時 難陀 優槃難陀龍王便作是念 此諸禿沙門在我上飛 當作方便 使不陵易 是時 龍王便興瞋恚 放大火風 使閻浮里內 洞然火燃 是時 阿難言 此閻浮里內 何故有此烟火 世尊告曰 此二龍王便生此念 禿頭沙門恒在我上飛 我等當共制之 令不陵虛 便興瞋恚 放此烟火 由此因緣 故致此變 (是時 大迦葉即從坐起 白世尊言 我今欲往 與彼共戰 世尊告曰 此二龍王極為兇惡 難可受化 卿還就坐 是時 尊者阿那律即從坐起 白世尊言 我今欲往降彼惡龍 世尊告曰 此二惡龍極為兇暴 難可受化 卿還就坐 是時 離越 尊者迦旃延 尊者須菩提 尊者優陀夷 尊者婆竭 各從坐起 白世尊言 我今欲往降伏惡龍 世尊告曰 此二龍王極為兇惡 難可受化 卿還就坐)

[목련의 난타용왕 교화 1]
석제환인세존께 사뢰기를, “삼십삼천에 가시어 어머님께 설법하십시오.” 세존이 잠잠코 받으셨다. 그때 난타 우반난타 용왕이 생각하기를, ‘머리를 민 사문들이 내 위에 날아다니니, 방편을 내어 업신여기지 못하게 하리라.’ 하고, 용왕이 진에를 일으켜 큰 불과 바람을 펴(일으켜) 염부리 안에 불이 째듯이 밝았는데, 그때 아난부처님께 사뢰기를, “염부리 안에 어떤 까닭으로 이 연화가 있는 것입니까?≪‘연’은 연기이다.≫” 세존이 이르시기를, “이 두 용왕이 여기기를 ‘머리 민 사문이 항상 내 위로 날아다니니 우리들이 모여 이겨서 업신여기지 못하게 하리라.’ 하여 진에를 일으켜 이 연화를 펴니, 그러므로 이런 변이 있느니라.”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석제환인(釋提桓因):제석천(帝釋天). 도리천(忉利天) 곧 33천(天)의 주(主)임.
주002)
삼십삼천(三十三天):욕계(欲界) 6천의 제2로 도리천을 이름.
주003)
야:잠잠하여. -[黙]+아/어. 연결어미 ‘-아’는 모음조화에 따라 ‘-아/어’로 변하지만 ‘-’ 뒤에서 만은 ‘야’로 변동됨.
주004)
바시니라:받으셨다. 받-[受]+(/으)시+니+라.
주005)
우반난타(優槃難陁):용왕의 이름.
주006)
믠:(머리를) 민. 믜-[禿](평성, 동사)+(/으)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이는 애초에는 동사의 활용으로 쓰였을 것이나, 그 쓰이는 범위가 좁아서 접두사로 바뀌어 쓰이게 되었다고 봄. 그러나, 이 대목에서는 접두사이기보다는 동사의 활용으로 보임. 드문 용례이나, 다음은 활용형으로 볼 수 있는 분명한 것임. ‘禿 독 俗呼禿廝 머리 놈’〈훈몽 초 상:15ㄱ〉.
주007)
사문(沙門):śramaṇa. 처자와 권속을 버리고, 수도생활을 하는 이를 모두 일컬음.
주008)
라니니:날아다니니. -[飛]+아/어#니-[行]++니. ‘니-’는 ‘-[走]#니-[行]’로 재분석됨.
주009)
방편(方便):방법. 수단. 뛰어난 교화 방법.
주010)
업시우디:업신여기지. 업시우-[輕]+디.
주011)
몯게:못하게. 몯-(상-평, 조동사)+게(보조적 연결어미).
주012)
진에(瞋恚):성을 내는 마음의 작용. 증오.
주013)
니르와다:일으켜. 닐-[起]+(/으)왇(강세접미사)+아/어.
주014)
블와 과:불과 바람을. 블[火]+와(접속조사)+[風]+과(접속조사)+(목적격조사). 순자음 ‘ㅁ, ㅂ, ㅍ, ㅽ’ 아래 ‘ㅡ’의 원순모음 ‘ㅜ’로의 동화는 17세기 말엽에 이루어진 것으로 봄. 여기서와 같이, 체언이 둘 이상 연결되면서 접속조사 ‘-과/와’가 결합될 때, 끝엣 체언에도 ‘-과/와’를 결합하고 해당 체언의 문 구성에 알맞은 격조사를 결합했음. 이른바, ‘집단곡용’이라 함.
주015)
펴:펴. 펴-[放/展]+(아/어).
주016)
염부리(閻浮里):마을 이름.
주017)
:째듯이. 찢듯. -[裂]+[如].
주018)
거늘:밝거늘. 밝았는데. -[明]+거늘.
주019)
젼로:까닭으로. 젼[因]+로(원인의 보조조사).
주020)
잇니고:있는 것입니까? 잇-[有]+(현재시상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상대높임 선어말어미)+고(설명의 의문법 종결어미), 상위자를 상대한 화자의 공손한 진술을 표시하는 ‘--, --’은 설명법 종결어미 ‘-다’ 앞에서는 ‘--’로, 의문법 종결어미 ‘-가, -고’ 앞에서는 ‘--’으로, 명령법일 때는 ‘-쇼셔’로 쓰임.
주021)
:내. 연기. [煙](거성, 명사).
주022)
니샤:이르시기를. 니-[說]+시+오. 선어말어미 ‘-시-’는 선어말어미 ‘-오/우-’ 앞에서 ‘샤’로 변동됨.
주023)
우희:위에. 우ㅎ(ㅎ종성체언)+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 → 〈65ㄱ〉 ‘우희’.
주024)
니:나니. -[飛]+(현재시상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주025)
모다:모여. 몯-[會](평성, 동사)+아/어(거성, 보조적 연결어미). 九龍이 모다 싯기니〈월석 2:34ㄴ〉. 이 활용형과는 동음어인 ‘모다[共](평-거, 부사)’‘ 모다 사야도〈석상 13:41ㄴ〉’도 쓰였음.
주026)
이긔여:이겨서. 이긔-[勝]+아/어.
주027)
업시우디:업신여기지. 업시우-[輕]+디.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