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월인석보 25 부록
  • 역주 및 연구 목록
메뉴닫기 메뉴열기

역주 및 연구 목록


2. 역주 및 연구 목록
강규선(1998), 〈주해 월인석보〉 권1, 2, 보고사.
강순애(1992), “새로 발견된 초참본 월인석보 권23에 관한 연구” -그 구성과 저경을 중심으로, 계간 〈서지학보〉 8, 한국서지학회.
강순애(1998), “새로 발견된 초참본 월인석보 권25에 관한 연구” -그 구성과 저경을 중심으로, 〈서지학연구〉 16, 서지학회.
강순애(1999), “무량사 번각본 월인석보 권23에 관한 연구” -그 구성과 저경을 중심으로, 〈서지학연구〉 17, 서지학회.
강순애(2001), “새로 발견된 초참본 월인석보 권20에 관한 연구” -그 구성과 저경을 중심으로, 〈서지학연구〉 21, 서지학회.
강순애(2001), “월인석보의 저본에 관한 연구”, 〈서지학연구〉 22, 서지학회.
강순애(2002), “영광 불갑사 소재의 무량사 번각본 월인석보 권23 권수 부분에 관한 연구”, 〈가산학보〉 10, 가산학회.
강순애(2003), “초참본 월인석보 권15에 관한 연구”-그 구성과 저경을 중심으로, 〈서지학연구〉 25, 서지학회.
강순애(2007), “연세대 소장의 초참본 『월인석보』 권13·권14에 관한 연구” -그 저본 경전과 구성을 중심으로, 〈동방학지〉 138,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江田俊雄(1936), “석보상절과 월인천강지곡과 월인석보”. (천병식: 〈석보상절 제3 주해〉, 아세아문화사, 1985, 재수록.)
고영근(1961), “월인석보와 석보상절의 한 비교”, 〈한글〉 128.
고영근(1993), “석보상절·월인천강지곡·월인석보”, 서울대 대학원 국어연구회 편, 〈국어사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문학과 지성사.
고영근 외(2003),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분석〉, 집문당.
김기종(1999), “석보상절 권11과 월인석보” 권21의 구성 방식 비교 연구,- 〈불교어문론집〉 4, 한국불교어문학회.
김기종(2003), “석보상절과 월인석보의 구성방식 비교 연구” -석보상절 권24와 월인석보 권25를 중심으로, 〈한국어문학연구〉 41, 한국어문학연구학회.
김기종(2006),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 문제”, 〈국제어문〉 35, 국제어문학회.
김기종(2006), 〈월인천강지곡의 저경과 문학적 성격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기종(2007), “월인천강지곡의 구조와 시적 지향”, 〈문학·사학·철학〉 9. 한국불교사연구소.
김동소(1997), 〈월인석보 권4 연구〉, 경북대학교 고전총서 1, 경북대학교 출판부.
김동소(2000), “월인석보 권19의 국어학적 연구”, 〈국어사자료연구〉 1, 국어사자료학회.
김동소(2000), “월인석보 권4의 국어학적 연구”, 〈21세기 국어학의 과제〉(솔미 정광교수 회갑기념논총), 월인.
김사엽(1962), “월인천강지곡고”, 〈이조시대의 가요연구〉, 학원사.
김승우(2005), 〈월인청강지곡의 주제와 형상화 방식〉,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김영근(1994), “월인석보의 수량사 구조에 관한 연구”, 〈어문학〉 55, 한국어문학회.
김영배(1974), “석보상절 제9와 월인석보 제9” 〈수련어문논집〉 2, 부산여자대학 국어교육과(현 신라대학교 전신).
김영배(1975), “신발견 ‘월인석보 훼손본’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68·69 합병호, 국어국문학회.
김영배(1985), “월인석보 제22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93, 국어국문학회.
김영배(1985), “월인석보 제22에 대하여” -그 권차와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 8,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김영배(1985), “‘월인석보 제22’의 석보상절 제22 주해”, 〈현대문학〉 6월호, 현대문학사.
김영배(1985), “‘월인석보 제22’의 어학적 고찰”, 멱남 김일근박사회갑기념 〈어문학논총〉.
김영배(1993), 〈역주 월인석보 제7·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김영배(1994), 〈역주 월인석보 제9·10〉, 세종대왕기념사업회.
김영배(1998), “월인석보의 편찬”, 〈불교학논총〉 월운스님 고희 기념, 동국역경원.
김영배(1999), 〈역주 월인석보 제11·12〉, 세종대왕기념사업회.
김영배(2001), “월인석보의 국어학적 위상”, 〈한국문학연구〉 제24,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김영배(2004), 〈역주 월인석보 제20〉, 세종대왕기념사업회.
김영배(2005), “월인석보 제20에 대하여”, 〈국어학〉 46, 국어학회.
김영배(2005), “월인석보 제25의 희귀어에 대하여”, 〈한국어문학연구〉 45, 한국어문학연구학회.
김영배(2006), “석보상절 제24와 월인석보 제25의 대비 연구”, 〈국어사연구 어디까지 왔는가〉, 태학사.
김영황(1958), “월인석보 -어음론적 자료를 중심으로-”, 〈조선어문〉 3.
김정남(1995), “중간 월인석보 권21의 이본에 대하여”, 〈국어학논집〉 2,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김종우(1965), “월인천강지곡과 세종의 심상”, 〈국어국문학〉 28, 국어국문학회.
김진영(1995), “월인석보의 서사문학적 전개”, 〈한국서사문학사의 연구〉, 중앙문화사.
김차균(1986), “월인천강지곡에 나타나는 표기체계와 음운”, 〈한글〉 194, 한글학회.
김태경(2007), “월인석보 진언표기를 통한 중국어음 연구”, 〈중국어문학논집〉 43, 중국어문학연구회.
김형규(1950), “‘용가’ ‘월인’에 있는 ‘니’에 대해서”, 〈어문〉 2-1.
남광우(1962), “월인천강지곡 해제”, 〈국어학〉 창간호, 국어학회.
남광우·성환갑(1978), 〈월인천강지곡〉, 형설출판사.
남광우(1982), 〈워인천강지곡〉, 형설출판사.
남권희(1997), “월인석보 권4 복각본의 형태 서지”, 〈고전총서〉 1, 경북대학교 출판부.
남권희·남경란(2000), “월인석보 권19의 서지 및 묘법연화경언해 권7과의 본문 대조”, 〈국어사자료연구〉 창간호, 국어사자료학회.
남성우(1993), “월인석보의 국어학적 의의”, 〈진단학보〉 75.
남성우(1996), “월인석보 권13과 법화경언해의 동의어 연구”, 〈구결연구〉 1.
남성우(1996), “월인석보 권13과 법화경언해의 번역”, 〈한국어문학연구〉 7, 한국외국어대학교.
남성우(1997), “월인석보 권11과 법화경언해의 동의어 연구”, 〈한국어문학연구〉 8, 한국외국어대학교.
남성우(1998), “월인석보 권12와 법화경언해의 동의어 연구”, 〈국어어휘의 기반과 역사〉, 태학사.
남성우(1998), “월인석보 권17과 법화경언해의 동의어 연구”, 〈교육논총〉 14,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남성우(2008), 〈역주 월인석보 제19〉, 세종대왕기념사업회.
동악어문학회(1972), “월인석보 권17과 ‘노박집람’ 보결기실”, 〈동악어문논집〉 8. 동악어문학회.
민영규(1956), “해제”, 〈월인석보 제9·제10〉, 연세대학교 동방학연구소.
민영규(1957), “해제”, 〈월인석보 제7·제8〉, 연세대학교 동방학연구소.
민영규(1957), “해제”, 〈월인석보 제17·제18〉, 연세대학교 동방학연구소.
민영규(1962), “월인석보 권23 잔권”, 〈동방학지〉 6. 연세대학교 동방학연구소.
민영규(1969), “월인석보”, 〈한국의 명저〉, 현암사.
박금자(1995), “석보상절·월인석보의 텍스트 범위와 텍스트 통합성”, 텍스트 연구회편, 〈텍스트언어학〉 3, 박이정출판사.
박금자(2000), “월인천강지곡의 간텍스트성-석보상절과 석가보·제경과의 비교”, 〈텍스트언어학〉 8, 한국텍스트언어학회.
박기선(1998), “월인석보 권15와 법화경언해 권4의 문체비교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도화(2002), “초간본 월인석보 팔상 판화의 연구”, 〈서지학연구〉 24, 서지학회.
박병채(1962), “월인천강지곡의 편찬 경위에 대하여”, 〈문리론집〉 6, 고려대학교.
박병채(1986), “월인천강지곡의 찬자에 대한 재론”, 〈서정범박사 화갑기념논문집〉.
박병채(1991), 〈논주 월인천강지곡〉, 세영사.
박병천(2002), “월인석보 한글 문자의 조형성 고찰” - 월인석보 권1,2의 한글 큰 문자를 대상으로,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박순서(1998), “월인석보 권12와 법화경언해의 대비 연구”, 한국외국어대학 교육석사학위논문.
박용진(1975), “공주 갑사 소장 월인석보 제21의 판목발견조사”, 〈고문화〉 13, 한국대학박물관협회.
박종철(1986), “월인석보의 문체적 특징”, 〈숭실어문〉 3.
사재동(1970), “월인석보의 형태적 연구”, 〈어문연구〉 6, 어문연구회.
사재동(1971), “월인천강지곡의 찬성자에 대하여”, 〈보운〉 1, 충남대학교.
사재동(1982), “월인천강지곡의 몇 가지 문제”, 〈어문연구〉 11, 어문연구회.
사재동(1999), “월인석보 권제21에 대하여” 〈월인석보 권제21〉 영인, 백제불교사상연구회.
小西敏夫(1992), 〈월인석보 제23, 목련전의 텍스트언어학적 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송민(1968), “관무량수경과 월인석보 권8의 비교”, 〈성심어문논집〉 2. 성신여자대학교.
송석하(1942), “월인석보고”, 〈서물동호회회보〉 17.
신명숙(2008), “여말선초 서사시 체재 계승: 월인석보”, 〈동양고전연구〉 30, 동양고전학회.
심재완(1962), “월인석보 권21 이본고”, 〈청구대논문집〉 5, 청구대학교.
심재완, 이현규(1991), “월인석보(무량굴판) 권21 연구”, 〈동일문화론〉 1, 동일문화장학재단.
신지연(2000), “서사텍스트로서의 월인석보 권8 안락국전의 응집성”, 〈목원국어국문학〉, 목원대하교 국어국문학과.
신지연(2002), “월인석보 안락국전의 텍스트 구조”, 〈문법과텍스트〉, 서울대하교 출판부.
안병희(1971), “월인석보 해제”, 〈국어학자료선집〉 2, 일조각.
안병희(1987), “월인석보 권11·12에 대하여”, 〈국어생활〉 9, 국어연구소.
안병희(1992), “월인천강지곡의 교정”, 〈국어사자료연구〉, 문학과지성사.
안병희(1992), 〈월인천강지곡 해제〉, 문화재관리국.
안병희(1993), “월인석보의 편간과 이본”, 〈진단학보〉 75, 진단학회.
양영희(1999), “월인석보와 석보상절에 나타난 인물의 위계”, 〈국어국문학〉 123, 국어국문학회.
여증동(1990), “어제월인석보서, 날조에 대한 진상 해명”, 〈벽사 이우성선생 정년 기념 〈국어국문학논총〉, 여강출판사.
원순옥(2005), “석보상절 권24와 월인석보 권25의 대조 연구- 고유어와 한자어의 대응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말글학〉 22, 한국말글학회.
유정일(1997), “월인석보의 문학적 연구”, 연세대하교 석사학위논문.
이기대(2001), “월인석보의 구성방식과 문학적 성격”, 〈우리문학연구〉 14, 우리문학회.
이동림(1957), 〈월인석보고〉,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동림(1959), “월인석보와 관계불경의 고찰”, 〈백성욱박사 송수기념 불교학논문집〉.
이병주(1988), “석보상절 제23,24의 진가”, 〈한국불교문학연구〉(상), 동국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이봉규(1995), “석보상절 권20과 월인석보 권18의 대비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석록(1992), “월인석보 권11·12와 법화경언해의 대비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수봉(1984), “초쇄본 월인석보에 대하여”, 〈호서문화연구〉 4, 충북대학교.
이숭녕(1966), “15세기문헌의 문체론적 고찰” -‘월인석보’와 ‘법화경언해’의 비교에서-, 〈가람 이병기박사 회갑기념논총〉.
이영림(1991), “아미타경언해와 월인석보 권7의 비교”, 〈어문교육논집〉 11, 부산대하교.
이종석(2001), 〈월인천강지곡과 선행 불교서사시의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철재(2008), “월인석보』 권9와 『석보상절』 권9의 대비 연구”, 〈한국어문학연구〉 28,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회.
장세경(1995), 〈역주 월인석보 제17·1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장태진(1972), “보림사본 월인석보 권17에 대하여”, 〈한글〉 150, 한글학회.
장태진(1986), “보림사본 월인석보 제17에 대하여”, 영인본 〈월인석보 제17〉, 교학연구사.
전재강(1999), “월인천강지곡의 서사적 구조와 주제 형성의 다층성”, 〈안동어문학〉 4, 안동어문학회.
정광(2002), “소위 불일사판 ‘월인석보’ 옥책에 대하여”, 국어학회 공동연구회 발표(2001.12.21).
정광(2002), “‘월인석보’ 편찬 재고”, 국어사자료학회 제12차 정기학술대회 발표.
정연찬(1972), “월인석보 제1, 제2 해제”, 〈월인석보〉 권1,2, 서강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정우영(2002), “월인석보 권20의 어휘 연구”, 〈국어국문학〉 31, 국어국문학회.
정하영(1993), “월인석보의 서사문학적 성격”, 〈진단학보〉 75, 진단학회.
조규익(2004), “월인천강지곡의 사건 전개 양상과 장르적 성격”, 〈어문연구〉 46, 어문연구학회.
조문제(1959), “계룡산 갑사 소장 월인석보 21 쌍계사 판본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20.
조의성(2002), 〈월인석보 권1 어휘 색인〉, 박이정출판사.
조재관(2000), “월인석보에 나타난 15세기 국어의 사동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흥욱(1994), 〈월인천강지곡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조흥욱(2004), “월인천강지곡의 내용 특징 연구”-용비어천가와 비교되는 서사시적 특징을 중심으로, 〈어문학논총〉 23,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진단학회(1993), “월인석보의 종합적 검토”, 〈진단학보〉 75. 진단학회.
차현실(2000), “월인천강지곡의 장르와 통사구조의 상관성”, 〈월인천강지곡의 종합적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천혜봉(1977), “새로 발견된 초참본 월인석보 권 제7·8”, 〈현대사학의 제문제〉 남계 조규호박사 화갑기념논총, 일조각.
최병헌(1993), “월인석보 편찬의 불교사적 의의”, 〈진단학보〉 75, 진단학회.
최은규(1999), “월인석보 권15 해제”, 〈서지학보〉 21, 한국서지학회.
최정여(1968), “세종조 망비 추선의 주변과 석보 및 찬불가 제작”, 〈계명논총〉 5, 계명대학교.
한상각(1980), “공주 계룡산 갑사 소장 월인석보 권21 판본에 관한 서지학적 연구”, 〈공주교육대학논총〉, 공주교육대학.
한재영(2008), 〈역주 월인석보 제22〉,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한재영(2009), 〈역주 월인석보 제23〉,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허웅·이강로(1962/1999), 〈주해 월인천강지곡 상〉, 신구문화사.
허웅·장세경(1992), 〈역주 월인석보 제1·2〉,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승완(1972), “월인석보”, 〈배바우〉 3, 우석대학교.
홍윤표(1976), “-에셔와 -게에 대한 고찰” -월인석보와 법화경언해의 비교를 중심으로, 〈교양과정부논문집〉 3, 전북대학교.
황경수(1999), “월인석보에 나타난 의존명사 연구”, 〈언어학〉 3, 중원언어학회.
今西 龍(1930), “月印千江之曲と 釋譜詳節とに 就きて”, 〈朝鮮〉 185. 朝鮮總督府.
江田俊雄(1936/1977), “釋譜詳節と月印千江之曲と月印釋譜”, 〈朝鮮〉 255. 朝鮮總督府.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