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 보리수와 승중 공양
  • 보리수와 승중 공양 2
메뉴닫기 메뉴열기

보리수와 승중 공양 2


[보리수와 승중 공양 2]
그제 王이 各各 네 보옛 주001)
보옛:
보배의. 보배로 된. 보[珍]+에/예+ㅅ.
도 주002)
도:
독을. 항아리를. 독[瓮]+(목적격조사).
니 주003)
니:
만드니. -[造]+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金 銀 琉璃 주004)
유리(琉璃):
유리(琉璃), 검푸른 보옥(寶玉).
頗梨 주005)
파리(頗梨):
수정(水晶) 또는 유리.
러니 香乳 주006)
향유(香乳):
향내 나는 우유.
香湯 주007)
향탕(香湯):
향을 넣어서 끓인 욕탕.
과 담고 種種 飮

월인석보 25:116ㄱ

食과 주008)
번(幡):
깃발. 당(幢), 개(蓋)와 합쳐 부처님과 보살의 위덕(威德)을 나타내는 장엄구(莊嚴具).
주009)
당(幢):
깃발의 한 가지. 원래는 왕이나 장군의 의위(儀衛)나 군기(軍旗)에서 마군(魔軍)에 대한 법왕(法王)의 상징으로 불·보살의 장식이 됨.
寶盖 주010)
보개(寶盖):
보석으로 꾸민 우산. 불·보살의 불상 위에 덮는 비단 우산.
各各 즈믄 주011)
즈믄:
천. 즈믄[千].
가지와 種種 花香 주012)
화향(花香):
꽃과 향을 바침.
伎樂 가지고阿育王傳에 닐오 王이 金銀 琉璃로 千 寶甁 라 香湯 주013)
향탕(香湯):
향을 넣어서 끓인 욕탕.
기 주014)
기:
가득히. 기(평-평-평, 부사). 형용사 ‘-[滿]’에서 파생된 부사.
다마 주015)
다마:
담아. 담-[盛]+아/어.
菩提樹예 븟고 주016)
한:
많은. 하-[多]+ㄴ(관형사형 연결어미).
華鬘 주017)
화만(華鬘):
꽃 장식. 인도 풍속으로 하와이의 레이와 같이 목에 걸거나 몸을 장식하는 생화로 된 화환을 이른 것이나, 변하여 그것을 불전에 공양하는 데 씀.
末香 주018)
말향(末香):
가루로 된 향을 모두 일컬음.
塗香 주019)
도향(塗香):
손이나 몸에 칠하는 분말의 향.
로  莊嚴타 주020)
장엄(莊嚴)타:
아름답게 장식하다. 莊嚴-+다.
니라】
八支齋 주021)
팔지재(八支齋):
8관재계(八關齋戒). 집에 있는 이가 하루 밤, 하루 낮 동안 받아 지키는 계율.
 受持야 布薩 주022)
포살(布薩):
불교 교단의 정기 집회. 한 달에 두 번(15·30일) 같은 지역의 스님들이 모여 자기반성을 하고 죄를 고백 참회하는 모임.
고布薩淨住 주023)
정주(淨住):
사원(寺院). 절 또는 암자(庵子). 여기서는 ‘보살’에게 죄를 고백하고 참회해서 깨끗하게 됨을 뜻함.
ㅣ라 혼 마리니 身口意 주024)
신구의(身口意):
몸가짐과 말과 정신, 일상생활의 모든 행위.
조케 주025)
조케:
깨끗하게. 좋-[淨]+게(보조적 연결어미).

월인석보 25:116ㄴ

야 戒다 주026)
다:
대로. 다(보조조사). ‘다(평-거)’는 ‘ㅸ’ 소실 이후 ‘다이’로 변함.
住 씨라 주027)
주(住) 씨라:
머무는 것이다. 住-+ㄹ#(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 이 ‘’의 활용형은 ‘시 (주격/서술격, 것이, 것이니), (것은) (것을)’와 같이 씌었으나, 선행하는 관형사형 ‘- ㅭ’의 ‘ㆆ’의 영향으로 ‘-ㄹ 씨’처럼 두음이 각자병서 ‘ㅆ’으로 표기되었음. 또한 ‘’는 항상 ‘-ㅭ’ 관형사 다음에만 나타나고 ‘-ㄴ’ 관형사형 다음에 나타나는 일이 없음.
오 주028)
오:
희고. -[白]+고. ‘-오’는 연결어미 ‘-고’가 ‘ㅣ’ 모음 아래서 ‘ㄱ’이 약화된 표기임.
조 주029)
조:
깨끗한. 좋-[淨]+(관형사형 연결어미).
옷 닙고 香鑪 잡고 殿上애 이셔 주030)
전상(殿上)애 이셔:
(궁)전 위에 있어. (궁)전 위에서. 이 ‘-애 이셔’는 ‘-애/에(처소의 부사격조사)#이시-[有]+아/어(보조적 연결어미)’의 구성으로 후에 ‘-에셔’로 문법화 되는 것으로 봄.
四方 向야 절고 매 念야 닐오 如來 賢聖 弟子 주031)
현성 제자(賢聖弟子):
현명한 제자. 뛰어난 제자.
諸方 주032)
제방(諸方):
모든 지방.
겨시니히 주033)
겨시니히:
계신 이들이. 겨시-[在]+ㄴ#이(의존명사)+(복수접미사)+이(주격조사).
나 어엿비 주034)
어엿비:
불쌍히. 어엿브-[憐]+이(부사 파생접미사).
너기샤 내 供養 바쇼셔 주035)
바쇼셔:
받으십시오. 받-[受]+(/으)쇼셔(쇼셔체 명령법 종결어미). 중세국어의 종결어미체계는 ‘라’체, ‘야쎠’체, ‘쇼셔’체로 구분되는데 이에 따른 명령형어미는 ‘-라, -어쎠, -쇼셔’로 나타남.
이 말 니 제 주036)
니 제:
이를 때. 말할 때. 니-[云]+ㅭ(관형사형 연결어미)#제[時].
三十萬 比丘ㅣ 다

월인석보 25:117ㄱ

모니 주037)
모니:
모이니. 몯-[聚]+(/으)니.
大衆 주038)
대중(大衆):
1) 많은 사람들의 집회, 회중(會衆). 2) 출가 수행자인 비구. 3) 삶과 죽음의 세계에 살고 있는 사람들. 세상 사람.
中에 十萬 阿羅漢이오 二十萬 學人 주039)
학인(學人):
수행하는 이.
凡夫 주040)
범부(凡夫):
지혜가 얕고 우둔한 중생. 어리석은 사람.
比丘ㅣ러니 上座 주041)
상좌(上座):
교단에서 수행을 쌓은 지도적 지위에 있는 이. 덕이 뛰어난 수행승.
ㅅ 座애 안리 주042)
안리:
앉을 이가. 앉을 사람이. 앉-[座]+ㄹ(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Ø(영형태 주격조사).
업거늘 王이 諸比丘 무로 주043)
무로:
묻되. 묻기를. 묻-[問](ㄷ불규칙)+오.
上座엇뎨 주044)
엇뎨:
어찌. 엇뎨[何](상-거, 부사). 엇디(상-평)도 씌었음.
안리 업스니고 주045)
업스니고:
없습니까? 없-[無]+(/으)니+(상대높임 선어말어미)+고(설명 의문법 종결어미). 상위자를 상대한 화자의 공손한 진술을 표시하는 ‘--, --’은 설명법 종결어미 ‘-다’ 앞에서는 ‘--’로, 의문법 종결어미 ‘-가, -고’ 앞에서는 ‘--’으로 변동됨.
大衆 中에 주046)
:
한. [一](평성, 관형사).
比丘ㅣ 일후

월인석보 25:117ㄴ

耶舍ㅣ러니 주047)
야사(耶舍)ㅣ러니:
야사이었는데. 耶舍+ㅣ(서술격조사)+더/러+니. 과거회상의 선어말어미 ‘-더-’는 서술격조사 뒤에서 ‘-러-’로 교체됨. 양사(耶舍, Yaśas)는 중인도 바라내국 장자의 이름.
大阿羅漢이라 주048)
대아라한(大阿羅漢)이라:
대아라한이라서. 大阿羅漢+이(서술격조사)+라(연결어미). 아라한(阿羅漢)은 소승의 교법을 수행하는 성문(聲聞) 4과의 가장 윗자리임.
六通 주049)
육통(六通):
육신통(六神通). 여섯 가지 불가사의 한 작용. 1) 신족통(神足通 : 자유로이 원하는 곳에 나타나는 능력), 2) 천안통(天眼通 : 자신과 남의 미래를 아는 능력), 3) 천이통(天耳通 : 보통 사람이 들을 수 없는 소리를 듣는 능력), 4) 타심통(他心通 : 남의 생각을 아는 능력), 5) 숙명통(宿命通 : 자신과 남의 과거의 모습을 아는 능력), 6) 누진통(漏盡通 : 번뇌를 제거하는 능력).
더니 주050)
더니:
갖추어졌으니. -[備]+더+니.
王  이 座 上座ㅅ 座ㅣ라 녀나니 주051)
녀나니:
그 밖의 사람이. 다른 사람이. 녀나(거-평-거, 관형사)#이(의존명사)+ Ø(영형태 주격조사).
어딋던 주052)
어딋던:
어찌. 어딋던[何](평-거-거, 부사).
그 주053)
그:
거기에. 그(평-평. 대명사).
안리고 주054)
안리고:
앉겠습니까? 앉-[座]+(/으)리+(상대높임 선어말어미)+고(설명의 의문법 종결어미). → 〈64ㄱ〉 ‘우니고’.
王이  무로 尊者애셔 주055)
존자(尊者)애셔:
존자보다. 尊者+애셔(비교의 보조조사).
 上座ㅣ 잇니가 주056)
잇니가:
있습니까? 잇-[有]++니++가. 설명의문일 경우 의문법 종결어미가 ‘-고/오’로 선택되고 판정의문일 경우 의문법 종결어미가 ‘-가/아’로 선택되는데 여기에서는 후자의 경우이므로 ‘-가’가 쓰임.
尊者ㅣ 對答호  上座ㅣ 잇니 주057)
잇니:
있으니. 잇-[有]++니.

월인석보 25:118ㄱ

王하
주058)
대왕(大王)하:
대왕이시어. 大王+하(존칭 호격조사).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時王各辦四實瓮 金銀瑠璃頗梨盛諸香乳及諸香湯 持種種飲食幡幢寶蓋 各有千種 及種種華香伎樂 (일부 미상) 受持八支齋布薩 著白淨衣服 執持香鑪在於殿上 向四方作禮心念口言 如來賢聖弟子在諸方者 憐愍我故受我供養 時王如是語時 三十萬比丘悉來集 彼大衆中十萬是阿羅漢 二十萬是學人 及凡夫比丘 上座之座無人坐 時王問諸比丘 上座云何而無人坐 時彼大衆中有一比丘 名曰 耶舍 是大阿羅漢 具足六通 白王言此座上座之座 餘者豈敢於中而坐. 王復問曰 於尊者所更有上座耶 尊者答曰 更有上坐大王

[보리수와 승중 공양 2]
그때 왕이 각각 네 개의 보배로 된 항아리를 만드니, 금·은·유리·파리였는데, 향유와 향탕을 담고 갖가지 음식과 번당, 보개 각각 천 가지와 갖가지 화향, 음악을 가지고【‘아육왕전’에 이르기를, “왕이 금·은·유리로 천 개의 보배로 된 병을 만들어 향탕을 가득 담아 보리수에 붓고 많은 화만 말향 도향으로 또 장식하다.” 하였다.】 팔지재를 수지하여 포살하고【‘포살’은 ‘정주’라 하는 말이니, 신·구·의를 깨끗하게 하여 계율대로 머무는 것이다.】 희고 깨끗한 옷 입고 향로를 잡고 〈궁〉전 위에서 사방을 향하여 절하고 마음에 생각하여 이르기를, “여래의 현성 제자가 모든 곳에 계신 이들이 나를 불쌍히 여기시어 내 공양을 받으십시오.” 이 말 이를 때, 30만 비구가 모두 와 모이니 저 대중 중에 10만은 아라한이고, 20만은 학인과 범부와 비구였는데, 상좌의 자리에 앉을 사람이 없거늘, 왕이 모든 비구께 묻기를, “상좌에 어찌 앉을 사람이 없습니까?” 대중 중에서 한 비구가 이름이 야사였으니, 이는 대아라한이라서 육통이 갖추어졌으니 왕께 사뢰기를, “이 자리는 상좌의 자리라 다른 사람이 어찌 거기에 앉겠습니까?” 왕이 또 묻기를, “존자보다 또 〈더 높은〉 상좌가 있습니까?” 존자가 대답하기를, “또 상좌가 있으니, 대왕이시여 부처님이 이르신 이름이 ‘빈두로’라 하는 이가 상좌이시니, 여기에 앉으실 것입니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보옛:보배의. 보배로 된. 보[珍]+에/예+ㅅ.
주002)
도:독을. 항아리를. 독[瓮]+(목적격조사).
주003)
니:만드니. -[造]+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주004)
유리(琉璃):유리(琉璃), 검푸른 보옥(寶玉).
주005)
파리(頗梨):수정(水晶) 또는 유리.
주006)
향유(香乳):향내 나는 우유.
주007)
향탕(香湯):향을 넣어서 끓인 욕탕.
주008)
번(幡):깃발. 당(幢), 개(蓋)와 합쳐 부처님과 보살의 위덕(威德)을 나타내는 장엄구(莊嚴具).
주009)
당(幢):깃발의 한 가지. 원래는 왕이나 장군의 의위(儀衛)나 군기(軍旗)에서 마군(魔軍)에 대한 법왕(法王)의 상징으로 불·보살의 장식이 됨.
주010)
보개(寶盖):보석으로 꾸민 우산. 불·보살의 불상 위에 덮는 비단 우산.
주011)
즈믄:천. 즈믄[千].
주012)
화향(花香):꽃과 향을 바침.
주013)
향탕(香湯):향을 넣어서 끓인 욕탕.
주014)
기:가득히. 기(평-평-평, 부사). 형용사 ‘-[滿]’에서 파생된 부사.
주015)
다마:담아. 담-[盛]+아/어.
주016)
한:많은. 하-[多]+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17)
화만(華鬘):꽃 장식. 인도 풍속으로 하와이의 레이와 같이 목에 걸거나 몸을 장식하는 생화로 된 화환을 이른 것이나, 변하여 그것을 불전에 공양하는 데 씀.
주018)
말향(末香):가루로 된 향을 모두 일컬음.
주019)
도향(塗香):손이나 몸에 칠하는 분말의 향.
주020)
장엄(莊嚴)타:아름답게 장식하다. 莊嚴-+다.
주021)
팔지재(八支齋):8관재계(八關齋戒). 집에 있는 이가 하루 밤, 하루 낮 동안 받아 지키는 계율.
주022)
포살(布薩):불교 교단의 정기 집회. 한 달에 두 번(15·30일) 같은 지역의 스님들이 모여 자기반성을 하고 죄를 고백 참회하는 모임.
주023)
정주(淨住):사원(寺院). 절 또는 암자(庵子). 여기서는 ‘보살’에게 죄를 고백하고 참회해서 깨끗하게 됨을 뜻함.
주024)
신구의(身口意):몸가짐과 말과 정신, 일상생활의 모든 행위.
주025)
조케:깨끗하게. 좋-[淨]+게(보조적 연결어미).
주026)
다:대로. 다(보조조사). ‘다(평-거)’는 ‘ㅸ’ 소실 이후 ‘다이’로 변함.
주027)
주(住) 씨라:머무는 것이다. 住-+ㄹ#(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 이 ‘’의 활용형은 ‘시 (주격/서술격, 것이, 것이니), (것은) (것을)’와 같이 씌었으나, 선행하는 관형사형 ‘- ㅭ’의 ‘ㆆ’의 영향으로 ‘-ㄹ 씨’처럼 두음이 각자병서 ‘ㅆ’으로 표기되었음. 또한 ‘’는 항상 ‘-ㅭ’ 관형사 다음에만 나타나고 ‘-ㄴ’ 관형사형 다음에 나타나는 일이 없음.
주028)
오:희고. -[白]+고. ‘-오’는 연결어미 ‘-고’가 ‘ㅣ’ 모음 아래서 ‘ㄱ’이 약화된 표기임.
주029)
조:깨끗한. 좋-[淨]+(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30)
전상(殿上)애 이셔:(궁)전 위에 있어. (궁)전 위에서. 이 ‘-애 이셔’는 ‘-애/에(처소의 부사격조사)#이시-[有]+아/어(보조적 연결어미)’의 구성으로 후에 ‘-에셔’로 문법화 되는 것으로 봄.
주031)
현성 제자(賢聖弟子):현명한 제자. 뛰어난 제자.
주032)
제방(諸方):모든 지방.
주033)
겨시니히:계신 이들이. 겨시-[在]+ㄴ#이(의존명사)+(복수접미사)+이(주격조사).
주034)
어엿비:불쌍히. 어엿브-[憐]+이(부사 파생접미사).
주035)
바쇼셔:받으십시오. 받-[受]+(/으)쇼셔(쇼셔체 명령법 종결어미). 중세국어의 종결어미체계는 ‘라’체, ‘야쎠’체, ‘쇼셔’체로 구분되는데 이에 따른 명령형어미는 ‘-라, -어쎠, -쇼셔’로 나타남.
주036)
니 제:이를 때. 말할 때. 니-[云]+ㅭ(관형사형 연결어미)#제[時].
주037)
모니:모이니. 몯-[聚]+(/으)니.
주038)
대중(大衆):1) 많은 사람들의 집회, 회중(會衆). 2) 출가 수행자인 비구. 3) 삶과 죽음의 세계에 살고 있는 사람들. 세상 사람.
주039)
학인(學人):수행하는 이.
주040)
범부(凡夫):지혜가 얕고 우둔한 중생. 어리석은 사람.
주041)
상좌(上座):교단에서 수행을 쌓은 지도적 지위에 있는 이. 덕이 뛰어난 수행승.
주042)
안리:앉을 이가. 앉을 사람이. 앉-[座]+ㄹ(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Ø(영형태 주격조사).
주043)
무로:묻되. 묻기를. 묻-[問](ㄷ불규칙)+오.
주044)
엇뎨:어찌. 엇뎨[何](상-거, 부사). 엇디(상-평)도 씌었음.
주045)
업스니고:없습니까? 없-[無]+(/으)니+(상대높임 선어말어미)+고(설명 의문법 종결어미). 상위자를 상대한 화자의 공손한 진술을 표시하는 ‘--, --’은 설명법 종결어미 ‘-다’ 앞에서는 ‘--’로, 의문법 종결어미 ‘-가, -고’ 앞에서는 ‘--’으로 변동됨.
주046)
:한. [一](평성, 관형사).
주047)
야사(耶舍)ㅣ러니:야사이었는데. 耶舍+ㅣ(서술격조사)+더/러+니. 과거회상의 선어말어미 ‘-더-’는 서술격조사 뒤에서 ‘-러-’로 교체됨. 양사(耶舍, Yaśas)는 중인도 바라내국 장자의 이름.
주048)
대아라한(大阿羅漢)이라:대아라한이라서. 大阿羅漢+이(서술격조사)+라(연결어미). 아라한(阿羅漢)은 소승의 교법을 수행하는 성문(聲聞) 4과의 가장 윗자리임.
주049)
육통(六通):육신통(六神通). 여섯 가지 불가사의 한 작용. 1) 신족통(神足通 : 자유로이 원하는 곳에 나타나는 능력), 2) 천안통(天眼通 : 자신과 남의 미래를 아는 능력), 3) 천이통(天耳通 : 보통 사람이 들을 수 없는 소리를 듣는 능력), 4) 타심통(他心通 : 남의 생각을 아는 능력), 5) 숙명통(宿命通 : 자신과 남의 과거의 모습을 아는 능력), 6) 누진통(漏盡通 : 번뇌를 제거하는 능력).
주050)
더니:갖추어졌으니. -[備]+더+니.
주051)
녀나니:그 밖의 사람이. 다른 사람이. 녀나(거-평-거, 관형사)#이(의존명사)+ Ø(영형태 주격조사).
주052)
어딋던:어찌. 어딋던[何](평-거-거, 부사).
주053)
그:거기에. 그(평-평. 대명사).
주054)
안리고:앉겠습니까? 앉-[座]+(/으)리+(상대높임 선어말어미)+고(설명의 의문법 종결어미). → 〈64ㄱ〉 ‘우니고’.
주055)
존자(尊者)애셔:존자보다. 尊者+애셔(비교의 보조조사).
주056)
잇니가:있습니까? 잇-[有]++니++가. 설명의문일 경우 의문법 종결어미가 ‘-고/오’로 선택되고 판정의문일 경우 의문법 종결어미가 ‘-가/아’로 선택되는데 여기에서는 후자의 경우이므로 ‘-가’가 쓰임.
주057)
잇니:있으니. 잇-[有]++니.
주058)
대왕(大王)하:대왕이시어. 大王+하(존칭 호격조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