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 대제자의 사리탑 공양 ②
  • 대제자의 사리탑 공양 5
메뉴닫기 메뉴열기

대제자의 사리탑 공양 5


[대제자의 사리탑 공양 5]
버거

월인석보 25:112ㄴ

塔 뵈오 주001)
뵈오:
뵙고. 뵈-[謁]+고/오. 연결어미 ‘-오’는 ‘ㅣ’ 모음 아래서 ‘ㄱ’이 약화된 표기임.
닐오 이 阿難 주002)
아난(阿難):
Ānanda. 아난타(阿難陀) 음역. 무염(無染), 환희(歡喜)라 번역. 부처님 10대 제자 중의 한 사람으로 부처님의 사촌 동생으로 8세에 출가하여 수행하는데, 미남인 탓으로 여자의 유혹이 여러 번 있었으나, 지조가 굳어 몸을 잘 보호하여 수행을 완성하고, 다문(多聞) 제1로 석존 입멸후 제1차 결집에 중요한 몫을 함.
塔이니 供養쇼셔 王이 닐오 주003)
뎨:
저 사람이. 저 이가. 뎌(거성, 대명사)+ㅣ(주격조사).
엇던 주004)
엇던:
어떤. 엇던[何](상-평, 관형사).
功德이 겨시더니고 주005)
겨시더니고:
계셨습니까? 있으셨습니까? 겨시-[有]+더+니++고. ‘엇던’에 호응하여 설명의문문의 ‘-고’가 나타남.
對答호 이 부텻 侍者 주006)
시자(侍者):
스승이나 장로의 시중을 드는 사람.
ㅣ러니 주007)
ㅣ러니:
-이더니. -이었는데. 이/ㅣ(서술격조사)+더/러+니(연결어미). 선어말어미 ‘-더-’는 계사 ‘이-’와 미래의 ‘-리-’ 뒤에서는 ‘-로-’로 교체됨.
多聞 주008)
다문(多聞):
널리 듣고 많은 것을 앎. 특히 널리 불법을 들어 아는 것.
이 第一이니 佛經 撰集 주009)
찬집(撰集):
시가나 문장 등을 모아 편집함.
니다 주010)
니다:
합니다. -++니++다.
撰集모도 주011)
모도:
모아. 모돕-[集](평-거, ㅂ불규칙)+아(보조적 연결어미). 이 동사는 중세국어 자료로서 유일한 용례이다. 이의 동의어로 ‘모도-[集]’가 있는데, 이의 활용형 ‘모도-+아’는 ‘모도아, 모도와’ 두 가지가 쓰였으니, 15세기 말까지의 자료 ‘법화경언해(1463)’에서 ‘금강경삼가해(1482)’까지, 전자는 용례가 134회, 후자는 적지만 13회로 약 10대 1의 비율로 나타났다. 이 후자의 ‘모도와’를 설명함에 있어서, 대체로 어간 ‘ㅗ’ 모음의 순행동화라거나, 혹은 어간과 어미 사이에 반모음 ‘w’의 삽입으로 풀이해 왔다. 그런데 ‘이 문헌’의 ‘모도’의 출현으로 ‘모도와’는 ‘모돕-(ㅂ불규칙)/모-+아(모도)’로 설명할 가능성이 생겼다. 여기에 자음어미 ‘-게, -디’ 등의 활용형도 새로 나타난다면 분명해질 것이지만. 그러나 이럴 경우 ‘모도-+ㅂ다’의 조어방식에 문제가 남게 된다. 한편, 이 ‘모도와’의 표기와 비슷하게, 동사 ‘보-[見]’의 활용형에서도, ‘보아’와 ‘보와’ 두 가지가 나타나는데, 이를 목우자수심결((1467)에서 금강경삼가해(1482)까지 찾아보면, 전자는 479회, 후자는 22회(unicoc에서)가 보인다. 이렇게 되면, ‘모도와’만이 아니라 당시의 이런 표기를 좀 더 구명해 보아야 할 문제가 아닌가 한다. 또한 이 ‘모도’가 상권의 ‘해제 3. 희귀어에 대하여’ 항목에서 빠졌음을 덧붙여 둔다.
씨라 주012)
씨라:
만다는 것이다. -[造]+ㄹ(관형사형 연결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다/라. 이 ‘’의 활용형은 ‘시(주격/서술격, 것이, 것이니), (것은) (것을)’와 같이 씌었으나, 선행하는 관형사형 ‘-ㅭ’의 ‘ㆆ’의 영향으로 ‘-ㄹ 씨’처럼 두음이 각자병서 ‘ㅆ’으로 표기되었음. 또한 ‘’는 항상 ‘-ㅭ’ 관형사 다음에만 나타나고 ‘-ㄴ’ 관형사형 다음에 나타나는 일이 없음.
王이 즉재 주013)
즉재:
즉시. 즉재[卽](거-평, 부사). 이는 같은 뜻의 ‘즉자히(거-평-거, 부사)’가 있는데, 같이 쓰였음.
百億兩 珎

월인석보 25:113ㄱ

寶 내야 그 塔 供養니라 臣下ㅣ 王  주014)
:
사뢰되. 여쭈되. 여쭈기를. -[白](ㅂ불규칙) + 오/우. → 〈64ㄱ〉 ‘’.
엇던 젼로 주015)
젼로:
까닭으로. 젼[故]+로(원인의 보조조사).
이긔 주016)
이긔:
여기. 이긔[此](평-평-거, 대명사).
布施 供養이 다 알셔 주017)
알셔:
앞에서. 앒[前]+/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셔(출발점의 부사격조사) → 〈65ㄱ〉 ‘우희’.
더으니고 주018)
더으니고:
더한 것입니까? 더으-[益]+니+(상대높임 선어말어미)+고(설명의 의문법 종결어미).
王이 닐오 내 말 드르라 如來體身 주019)
체신(體身):
몸.
法身性 주020)
법신성(法身性):
법신의 성품. 법신은 3신(법신(法身), 보신(報身), 응신(應身))의 1. 법신은 영원토록 변치 않는 만유(萬有)의 본체.
이 淸淨커시늘 주021)
뎨:
1) 저기. 2) 저 사람이. 뎨[彼](평성, 대명사).
다 能히 바다 주022)
바다:
1) 받아. 2) 받들어. 받-[受/奉]+아/어. 여기선 ‘奉’의 뜻으로 쓰임.
디니 주023)
디니:
지녔기 때문에. 디니-[持]++(/으)ㄹ. ⟶ 〈63ㄱ〉 ‘받리라’.
供養

월인석보 25:113ㄴ

더으며 주024)
더으며:
더하며. 늘며. 증가하며. 더으-[加]+며.
法燈 주025)
법등(法燈):
불법을 세상의 어두움을 비치는 밝은 등불에 비유함.
녜 주026)
녜:
늘. 항상. 녜(常例)(평-거, 부사). 이는 동음어로 명사로도 쓰였음.
世間애 이셔 愚癡 주027)
우치(愚癡):
3독의 하나. 어리석음. 진리를 분변치 못하고 망설임.
주028)
명(冥):
암흑. 어둠. 무지(無知)에 비유하여 그 동의어로 쓰임.
을 滅호미 다 뎌 젼 주029)
젼:
까닭이므로. 까닭이기 때문에. 젼[故]+ㅣ(서술격조사)+ㄹ(이유의 연결어미).
供養이 더으며 大海ㅅ 므를  자고개 주030)
 자고개:
소의 (발)자국에. 쇼[牛]+ㅣ(관형격조사)#자곡[跡]+애(처소의 부사격조사).
몯 담야 부텻 智海 주031)
지해(智海):
지혜가 많고 깊음을 바다에 비유해 말함.
녀느 주032)
녀느:
다른. 여느. 녀느(평-평, 관형사).
사미 디니리 주033)
디니리:
지닐 수가. 디니-[持]+ㄹ(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Ø(영형태, 주격조사).
업거늘 오직 阿難 尊者ㅣ  번 듣고 주034)
듣고:
듣고. 듣-[聞](ㄷ불규칙)++고.
다 受持야 乃終내 주035)
내종(乃終)내:
끝끝내. 끝까지. 내종내(상-상-상, 부사).

월인석보 25:114ㄱ

주036)
니저:
잊어. 닞-[忘]+아/어.
일티 주037)
일티:
잃지. 잃-[失]+디(부정의 보조적 연결어미). 부정의 대상임을 나타내는 현대국어의 어미 ‘-지’에 속하는 중세국어의 부동사어미로는 ‘-디’, ‘-’, ‘-ㄴ동’, ‘-드란’ 등이 있다. 이 중에서는 현대국어의 ‘-지’로 변한 ‘-디’가 가장 일반적이었다. ‘-ㄴ동, -드란’은 항상 동사 ‘모-’나 ‘몯-’ 앞에서 사용됨.
아니 주038)
아니:
아니하므로. 아니-+ㄹ(원인·이유의 연결어미).
供養이 더으니라 주039)
더으니라:
더하니라. 더한 것이다. 더으-[加]+니+다/라. 서술격조사 ‘이-’와 선어말어미 ‘-오/우-, -니-, -리-, -더-, -지-’ 등 뒤에서는 종결어미 ‘-다’가 ‘-라’로 교체됨.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復示阿難塔 語王言 此是阿難塔 應當供養 王曰 彼有何功德 答曰此人是佛侍者 多聞第一撰集佛經 王即捨百億兩珍寶而供養其塔 時臣白王言 何故於此布施供養 皆悉勝前 王白諸臣聽吾所說 如來之體身 法身性清淨 彼悉能奉持 是故供養勝 法燈常存世 滅此愚癡冥 皆由從彼來 是故供養勝 >(이상, 석가보 제5, 아육왕조8만4천탑기 제31, 〈대정신수대장경〉 제50, 79쪽 하 ~ 80쪽 상)
如大海之水 牛跡所不容 如是佛智海 餘人不能持 唯有阿難尊 一聞悉受持 終無忘失時 是故供養勝 >(이상, 잡아함경 권23, (아육왕경 제604) 〈대정신수대장경〉 제2, 168쪽 중)

[대제자의 사리탑 공양 5]
다음으로 아난의 탑을 뵙고 이르기를, “이는(이곳은) 아난의 탑이니, 공양하십시오.” 왕이 이르기를, “저 분이 어떤 공덕이 있으셨습니까?” 대답하기를, “이 분은 부처님의 시자였는데 다문 제1이었고 불경을 찬집하였습니다.【‘찬집’은 모아서 만드는 것이다.】 ” 왕이 즉시 100억 량의 진보를 내어 그 탑을 공양하였다. 신하가 왕께 사뢰기를, “어떤 까닭으로 여기에 보시한 공양이 앞에서 〈공양했던 것보다〉 더하신 것입니까?” 왕이 이르기를, “내 말을 들어 보아라. 여래의 체신이 법신성이 청정하시거늘, 저 분이(아난이) 〈부처님의 말씀을〉 모두 능히 받들어 지녔기 때문에 공양이 더하며, 법등이 항상 세간에 있어 어리석음을 없앰이 다 저 분의(아난의) 까닭이기(덕분이기) 때문에 공양이 더하며, 넓은 바다의 물을 소의 발자국에 못 담을(담지 못할) 듯하여 부처님의 지해를 보통 사람이 지닐 수가 없거늘, 오직 아난존자가 한 번 듣고 다 수지하여 끝까지 잊거나 잃지 아니하므로 공양이 더한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뵈오:뵙고. 뵈-[謁]+고/오. 연결어미 ‘-오’는 ‘ㅣ’ 모음 아래서 ‘ㄱ’이 약화된 표기임.
주002)
아난(阿難):Ānanda. 아난타(阿難陀) 음역. 무염(無染), 환희(歡喜)라 번역. 부처님 10대 제자 중의 한 사람으로 부처님의 사촌 동생으로 8세에 출가하여 수행하는데, 미남인 탓으로 여자의 유혹이 여러 번 있었으나, 지조가 굳어 몸을 잘 보호하여 수행을 완성하고, 다문(多聞) 제1로 석존 입멸후 제1차 결집에 중요한 몫을 함.
주003)
뎨:저 사람이. 저 이가. 뎌(거성, 대명사)+ㅣ(주격조사).
주004)
엇던:어떤. 엇던[何](상-평, 관형사).
주005)
겨시더니고:계셨습니까? 있으셨습니까? 겨시-[有]+더+니++고. ‘엇던’에 호응하여 설명의문문의 ‘-고’가 나타남.
주006)
시자(侍者):스승이나 장로의 시중을 드는 사람.
주007)
ㅣ러니:-이더니. -이었는데. 이/ㅣ(서술격조사)+더/러+니(연결어미). 선어말어미 ‘-더-’는 계사 ‘이-’와 미래의 ‘-리-’ 뒤에서는 ‘-로-’로 교체됨.
주008)
다문(多聞):널리 듣고 많은 것을 앎. 특히 널리 불법을 들어 아는 것.
주009)
찬집(撰集):시가나 문장 등을 모아 편집함.
주010)
니다:합니다. -++니++다.
주011)
모도:모아. 모돕-[集](평-거, ㅂ불규칙)+아(보조적 연결어미). 이 동사는 중세국어 자료로서 유일한 용례이다. 이의 동의어로 ‘모도-[集]’가 있는데, 이의 활용형 ‘모도-+아’는 ‘모도아, 모도와’ 두 가지가 쓰였으니, 15세기 말까지의 자료 ‘법화경언해(1463)’에서 ‘금강경삼가해(1482)’까지, 전자는 용례가 134회, 후자는 적지만 13회로 약 10대 1의 비율로 나타났다. 이 후자의 ‘모도와’를 설명함에 있어서, 대체로 어간 ‘ㅗ’ 모음의 순행동화라거나, 혹은 어간과 어미 사이에 반모음 ‘w’의 삽입으로 풀이해 왔다. 그런데 ‘이 문헌’의 ‘모도’의 출현으로 ‘모도와’는 ‘모돕-(ㅂ불규칙)/모-+아(모도)’로 설명할 가능성이 생겼다. 여기에 자음어미 ‘-게, -디’ 등의 활용형도 새로 나타난다면 분명해질 것이지만. 그러나 이럴 경우 ‘모도-+ㅂ다’의 조어방식에 문제가 남게 된다. 한편, 이 ‘모도와’의 표기와 비슷하게, 동사 ‘보-[見]’의 활용형에서도, ‘보아’와 ‘보와’ 두 가지가 나타나는데, 이를 목우자수심결((1467)에서 금강경삼가해(1482)까지 찾아보면, 전자는 479회, 후자는 22회(unicoc에서)가 보인다. 이렇게 되면, ‘모도와’만이 아니라 당시의 이런 표기를 좀 더 구명해 보아야 할 문제가 아닌가 한다. 또한 이 ‘모도’가 상권의 ‘해제 3. 희귀어에 대하여’ 항목에서 빠졌음을 덧붙여 둔다.
주012)
씨라:만다는 것이다. -[造]+ㄹ(관형사형 연결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다/라. 이 ‘’의 활용형은 ‘시(주격/서술격, 것이, 것이니), (것은) (것을)’와 같이 씌었으나, 선행하는 관형사형 ‘-ㅭ’의 ‘ㆆ’의 영향으로 ‘-ㄹ 씨’처럼 두음이 각자병서 ‘ㅆ’으로 표기되었음. 또한 ‘’는 항상 ‘-ㅭ’ 관형사 다음에만 나타나고 ‘-ㄴ’ 관형사형 다음에 나타나는 일이 없음.
주013)
즉재:즉시. 즉재[卽](거-평, 부사). 이는 같은 뜻의 ‘즉자히(거-평-거, 부사)’가 있는데, 같이 쓰였음.
주014)
:사뢰되. 여쭈되. 여쭈기를. -[白](ㅂ불규칙) + 오/우. → 〈64ㄱ〉 ‘’.
주015)
젼로:까닭으로. 젼[故]+로(원인의 보조조사).
주016)
이긔:여기. 이긔[此](평-평-거, 대명사).
주017)
알셔:앞에서. 앒[前]+/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셔(출발점의 부사격조사) → 〈65ㄱ〉 ‘우희’.
주018)
더으니고:더한 것입니까? 더으-[益]+니+(상대높임 선어말어미)+고(설명의 의문법 종결어미).
주019)
체신(體身):몸.
주020)
법신성(法身性):법신의 성품. 법신은 3신(법신(法身), 보신(報身), 응신(應身))의 1. 법신은 영원토록 변치 않는 만유(萬有)의 본체.
주021)
뎨:1) 저기. 2) 저 사람이. 뎨[彼](평성, 대명사).
주022)
바다:1) 받아. 2) 받들어. 받-[受/奉]+아/어. 여기선 ‘奉’의 뜻으로 쓰임.
주023)
디니:지녔기 때문에. 디니-[持]++(/으)ㄹ. ⟶ 〈63ㄱ〉 ‘받리라’.
주024)
더으며:더하며. 늘며. 증가하며. 더으-[加]+며.
주025)
법등(法燈):불법을 세상의 어두움을 비치는 밝은 등불에 비유함.
주026)
녜:늘. 항상. 녜(常例)(평-거, 부사). 이는 동음어로 명사로도 쓰였음.
주027)
우치(愚癡):3독의 하나. 어리석음. 진리를 분변치 못하고 망설임.
주028)
명(冥):암흑. 어둠. 무지(無知)에 비유하여 그 동의어로 쓰임.
주029)
젼:까닭이므로. 까닭이기 때문에. 젼[故]+ㅣ(서술격조사)+ㄹ(이유의 연결어미).
주030)
 자고개:소의 (발)자국에. 쇼[牛]+ㅣ(관형격조사)#자곡[跡]+애(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31)
지해(智海):지혜가 많고 깊음을 바다에 비유해 말함.
주032)
녀느:다른. 여느. 녀느(평-평, 관형사).
주033)
디니리:지닐 수가. 디니-[持]+ㄹ(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Ø(영형태, 주격조사).
주034)
듣고:듣고. 듣-[聞](ㄷ불규칙)++고.
주035)
내종(乃終)내:끝끝내. 끝까지. 내종내(상-상-상, 부사).
주036)
니저:잊어. 닞-[忘]+아/어.
주037)
일티:잃지. 잃-[失]+디(부정의 보조적 연결어미). 부정의 대상임을 나타내는 현대국어의 어미 ‘-지’에 속하는 중세국어의 부동사어미로는 ‘-디’, ‘-’, ‘-ㄴ동’, ‘-드란’ 등이 있다. 이 중에서는 현대국어의 ‘-지’로 변한 ‘-디’가 가장 일반적이었다. ‘-ㄴ동, -드란’은 항상 동사 ‘모-’나 ‘몯-’ 앞에서 사용됨.
주038)
아니:아니하므로. 아니-+ㄹ(원인·이유의 연결어미).
주039)
더으니라:더하니라. 더한 것이다. 더으-[加]+니+다/라. 서술격조사 ‘이-’와 선어말어미 ‘-오/우-, -니-, -리-, -더-, -지-’ 등 뒤에서는 종결어미 ‘-다’가 ‘-라’로 교체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