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 아육왕의 염부제 보시 및 죽음
  • 아육왕의 염부제 보시 및 죽음 2
메뉴닫기 메뉴열기

아육왕의 염부제 보시 및 죽음 2


[아육왕의 염부제 보시 및 죽음 2]
그제 王이 八萬 四千 佛塔을 셰오 주001)
셰오:
세우고. 셰-[立]+고/오. ‘-오’는 연결어미 ‘-고’가 ‘ㅣ’ 모음 아래서 ‘ㄱ’ 약화된 표기임.
塔마다  百千金을 施(*)□□ 五歲大會 주002)
오세대회(五歲大會):
반차우슬회(般遮于瑟會), 5년 대회(五年大會), 5년 공덕회(五年功德會), 5년 일체대중집(五年一切大衆集), 5세회(五歲會), 혹은 5세연(五歲筵)으로 옮김. 이는 왕자 등이 5년에 한 번 승중(僧衆)에 보시하는 큰 집회를 이름.
 니 會□□□□〈*百〉千 比

월인석보 25:137ㄴ

丘ㅣ어늘 〈*三〉□□□ 金□□ 供養〈*니〉 □〈*衆〉 中에 第一 주003)
분(分):
몫이 되는 분량.
阿羅漢 주004)
아라한(阿羅漢):
arahan, 나한(羅漢). 소승불교에서 최상의 성자. 존경받을 만한 수행자.
이오 第二分學人 주005)
학인(學人):
수행하는 이. 우리나라 절에서는 강원에서 학습하는 스님을 이름.
이오 第三分貞實 주006)
정실(貞實):
성심. 신앙이 견고함.
凡夫 주007)
범부(凡夫):
어리석은 사람. 평범하고 용렬한 사람.
ㅣ러니 아 주008)
아:
사유의. 개인 재산의. 아[私有]+ㅅ(관형격조사).
庫藏란 주009)
고장(庫藏)란:
창고를. 庫藏+란(강조의 보조사). 고장(庫藏)은 창고, 창고에 간수해 둔 물건을 이름. 여기서는 저경을 참고하여 ‘사재(私財)’의 뜻으로 봄.
덜오 주010)
덜오:
덜고. 덜-[除]+고/오.
閻浮提 夫人 婇女 太子 大

월인석보 25:138ㄱ

臣을 聖僧 주011)
성승(聖僧):
신성한 교단. 번뇌가 다하여 깨달음을 얻은 성자(聖者).
 施고 四十億金으로 도로 주012)
도로:
도로. 도로(평-평, 부사).
사 내니 이티 주013)
티:
같이. -[如]+이(부사 파생접미사).
혜면 주014)
혜면:
헤아리면. 계산하면. 혜-[量/算]+면.
九十六億千金이러니 주015)
이러니:
-이더니. -이었는데. -이(서술격조사)+더/러+니(연결어미). 선어말어미 ‘-더-’는 서술격조사와 미래의 ‘-리-’ 뒤에서는 ‘-로-’로 교체됨.
王이 重 病 야 주016)
제:
자신이. 스스로가. 제[自](상성, 대명사). ‘제’는 성조로 주격과 관형격이 구별되는데 ‘:제(상성)’는 주격형, ‘제(평성)’은 관형격임.
命終  주017)
명종(命終) :
목숨이 다할 것을. 命終-+ㅭ(관형사형 연결어미)#(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아라 주018)
아라:
알아. 알-[知]+아/어.
닐오 내 녯 주019)
녯:
평상시의, 보통의. 녜[常]+ㅅ(관형격조사).
願 億百 千□□〈*을〉 와 주020)
와:
채워. 오-[滿]+아/어.
功德 주021)
공덕(功德):
훌륭한 덕성. 착한 일을 많이 한 공과 불도를 닦은 덕.
지려 주022)
지려:
지으려. 짓-[作](ㅅ불규칙)+오려(의도의 명령법 종결어미). → 〈65ㄴ〉 ‘지시관’.
타니 주023)
타니:
하더니. -+더+오/우+니. 이는 선어말어미 ‘-더-+-오/우-’가 ‘-다-’로 변동되고, 이것이 어간 ‘-’와 축약된 것임.
□□□□〈*이〉 滿足

월인석보 25:138ㄴ

디 몯야 죽□□□□□□ 前後에 施혼 金□□〈*〉 혜니 주024)
혜니:
헤아리니. 계산하니. 혜-[量/算]+니(연결어미).
四億이 몯 다 챗더니 주025)
챗더니:
찼는데. 차-[滿]+아/어+잇-+더+니. ⟶ 〈72ㄴ〉 ‘셰옛다가’.
王이 니러 주026)
니러:
일어나. 닐-[起]+아/어.
안자 주027)
안자:
앉아. 앉-[坐]+아/어.
四方 라고 주028)
라고:
바라보고. 향하고. 라-[望]+고.
合掌 주029)
합장(合掌):
두 손바닥을 합쳐 마음이 한결같음을 나타내는 인도 경례 법의 한 가지.
야 禮數 주030)
예수(禮數):
상대방의 지위에 알맞은 격식으로 예를 드림.
고 諸佛을 念며 주031)
염(念)며:
생각하며. 念-++(/으)며.
닐오 내 이제  閻浮提로 三寶애 施노다 주032)
시(施)노다:
보시합니다. 施-++오/우++다. 이 ‘노다’는 주어 ‘내’에 호응됨.
고 죠예 주033)
죠예:
종이예. 죠[紙]+예(처소의 부사격조사). ‘-애’는 체언의 끝 모음이 양성일 때, ‘-에’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음성일 때, ‘-예’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이〔i〕’나, 부모음 ‘ㅣ〔y〕’일 때 쓰임.

월인석보 25:139ㄱ

封야 주034)
봉(封)야:
(문·봉투·그릇 등을) 열지 못하게 꼭 붙이거나 싸서 막아. 연결어미 ‘-아’는 모음조화에 따라 ‘-아/어’로 변하지만 ‘-’ 뒤에서 만은 ‘야’로 변동됨.
주035)
인(印):
도장.
티고 주036)
티고:
치고. 찍고. 티-[捺]+고.
命終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時王起八萬四千佛塔 於彼一一塔中復施百千金 復作五歲大會 會有三百千比丘 用三百億金供養於彼 彼衆中第一分是阿羅漢 第二分是學人 第三分是貞實凡夫 除私庫藏 此閻浮提夫人婇女太子大臣 施與聖僧四十億金 還復贖取 如是計校 用九十六億千金 乃至王得重病自知命盡 王言我常所願 欲以滿億百千金作功德 今願不得滿足 便就後世 時計校前後所施金寶 唯減四億未滿 (王即辦諸珍寶 送與雞雀寺中 法益之子名三波提 為太子諸臣等啟太子言 大王將終不久 今復以此珍寶送與寺中 國藏財寶已竭 諸國法以物為尊 太子今宜斷之 勿使用盡 時太子即勅典藏者 勿復出與 時王自知索物不復能得 所食金器送與寺中 太子今斷金器 以銀器與王食 食已復送與寺中 太子又斷銀器 給以銅器 王亦送與寺中 又斷銅器給以瓦器 時王手中有半阿摩勒菓 悲淚問諸大臣 今誰為地主 時諸臣啟王 王爲地主 時阿育王呼侍者言 汝今憶我恩養 汝持此半阿摩勒菓 送雞雀寺中 作我意 禮拜諸僧足 白言 阿育王問訊諸大聖衆 我領此閻浮提 閻浮提是我所有 今者頓盡不得自在 唯此半阿摩勒菓 我得自由 此是最後檀波羅蜜 哀愍我故納受此施 令我得福 時彼上座告諸大衆 誰聞是語而不厭世 如佛經說 是他衰事應生厭離 時彼上座作是念言 云何令此半阿摩勒 一切衆僧得其分食 即教令研磨 著石榴羹中行之 一切皆得周遍 時王復問傍臣曰 誰是閻浮提主 臣啟王言 大王是也) 時王從臥起而坐 顧望四方合掌作禮 念諸佛德心念口言 我今復以此閻浮提施與三寶 時王盡書紙上而封緘之 以齒印印之 作如是事畢 即便無常 (爾時太子及諸人民 興種種供養葬送 如王之法而闍維之) >(이상, 석가보 권5, 아육왕조8만4천탑기 제31, 〈대정신수대장경〉 제50, 81쪽 상~중)

[아육왕의 염부제 보시 및 죽음 2]
그때 왕이 8만 4천 불탑을 세우고 탑마다 또 백천금을 보시하□□ 오세대회를 하니, 회□□□백천 비구이거늘 삼□□□금□□ 공양하니 □중 중에 첫째 몫은 아라한이고, 둘째 몫은 학인이고, 셋째 몫은 정실한 범부이더니, 사재의 창고를 덜고 이 염부제·부인·채녀·태자·대신을 성승께 보시하고 40억 금으로 도로 사 내니, 이같이 계산하면 96억 천금이었는데, 왕이 중한 병을 앓아 스스로가 명이 다할 줄을 알고 이르기를, “나의 평소의 소원은 100억 천□□을 채워 공덕을 지으려 하였는데 □□□□이 만족하지 못하여 죽□□□□□□ 전후에 보시한 금□□를 계산하니 4억이 못 다 찼는데(다 차지 못하였는데), 왕이 일어나 앉아 사방을 바라보고 합장하여 예수하고 제불을 생각하며 이르기를, “내가 이제 또 염부제를 삼보에 보시합니다.” 하고, 종이에 써 봉하여 도장을 찍고 목숨을 마쳤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셰오:세우고. 셰-[立]+고/오. ‘-오’는 연결어미 ‘-고’가 ‘ㅣ’ 모음 아래서 ‘ㄱ’ 약화된 표기임.
주002)
오세대회(五歲大會):반차우슬회(般遮于瑟會), 5년 대회(五年大會), 5년 공덕회(五年功德會), 5년 일체대중집(五年一切大衆集), 5세회(五歲會), 혹은 5세연(五歲筵)으로 옮김. 이는 왕자 등이 5년에 한 번 승중(僧衆)에 보시하는 큰 집회를 이름.
주003)
분(分):몫이 되는 분량.
주004)
아라한(阿羅漢):arahan, 나한(羅漢). 소승불교에서 최상의 성자. 존경받을 만한 수행자.
주005)
학인(學人):수행하는 이. 우리나라 절에서는 강원에서 학습하는 스님을 이름.
주006)
정실(貞實):성심. 신앙이 견고함.
주007)
범부(凡夫):어리석은 사람. 평범하고 용렬한 사람.
주008)
아:사유의. 개인 재산의. 아[私有]+ㅅ(관형격조사).
주009)
고장(庫藏)란:창고를. 庫藏+란(강조의 보조사). 고장(庫藏)은 창고, 창고에 간수해 둔 물건을 이름. 여기서는 저경을 참고하여 ‘사재(私財)’의 뜻으로 봄.
주010)
덜오:덜고. 덜-[除]+고/오.
주011)
성승(聖僧):신성한 교단. 번뇌가 다하여 깨달음을 얻은 성자(聖者).
주012)
도로:도로. 도로(평-평, 부사).
주013)
티:같이. -[如]+이(부사 파생접미사).
주014)
혜면:헤아리면. 계산하면. 혜-[量/算]+면.
주015)
이러니:-이더니. -이었는데. -이(서술격조사)+더/러+니(연결어미). 선어말어미 ‘-더-’는 서술격조사와 미래의 ‘-리-’ 뒤에서는 ‘-로-’로 교체됨.
주016)
제:자신이. 스스로가. 제[自](상성, 대명사). ‘제’는 성조로 주격과 관형격이 구별되는데 ‘:제(상성)’는 주격형, ‘제(평성)’은 관형격임.
주017)
명종(命終) :목숨이 다할 것을. 命終-+ㅭ(관형사형 연결어미)#(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주018)
아라:알아. 알-[知]+아/어.
주019)
녯:평상시의, 보통의. 녜[常]+ㅅ(관형격조사).
주020)
와:채워. 오-[滿]+아/어.
주021)
공덕(功德):훌륭한 덕성. 착한 일을 많이 한 공과 불도를 닦은 덕.
주022)
지려:지으려. 짓-[作](ㅅ불규칙)+오려(의도의 명령법 종결어미). → 〈65ㄴ〉 ‘지시관’.
주023)
타니:하더니. -+더+오/우+니. 이는 선어말어미 ‘-더-+-오/우-’가 ‘-다-’로 변동되고, 이것이 어간 ‘-’와 축약된 것임.
주024)
혜니:헤아리니. 계산하니. 혜-[量/算]+니(연결어미).
주025)
챗더니:찼는데. 차-[滿]+아/어+잇-+더+니. ⟶ 〈72ㄴ〉 ‘셰옛다가’.
주026)
니러:일어나. 닐-[起]+아/어.
주027)
안자:앉아. 앉-[坐]+아/어.
주028)
라고:바라보고. 향하고. 라-[望]+고.
주029)
합장(合掌):두 손바닥을 합쳐 마음이 한결같음을 나타내는 인도 경례 법의 한 가지.
주030)
예수(禮數):상대방의 지위에 알맞은 격식으로 예를 드림.
주031)
염(念)며:생각하며. 念-++(/으)며.
주032)
시(施)노다:보시합니다. 施-++오/우++다. 이 ‘노다’는 주어 ‘내’에 호응됨.
주033)
죠예:종이예. 죠[紙]+예(처소의 부사격조사). ‘-애’는 체언의 끝 모음이 양성일 때, ‘-에’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음성일 때, ‘-예’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이〔i〕’나, 부모음 ‘ㅣ〔y〕’일 때 쓰임.
주034)
봉(封)야:(문·봉투·그릇 등을) 열지 못하게 꼭 붙이거나 싸서 막아. 연결어미 ‘-아’는 모음조화에 따라 ‘-아/어’로 변하지만 ‘-’ 뒤에서 만은 ‘야’로 변동됨.
주035)
인(印):도장.
주036)
티고:치고. 찍고. 티-[捺]+고.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