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 아육왕의 불법 귀의
  • 아육왕의 불법 귀의 9
메뉴닫기 메뉴열기

아육왕의 불법 귀의 9


[아육왕의 불법 귀의 9]
王이  두려 使者 브려 쥬게 주001)
쥬게:
중에게. [僧]+게/의게(낙차점 처소의 부사격조사).
닐어늘 그제  沙彌 주002)
사미(沙彌):
śāmaṇera. 음역어. 한 사람의 비구가 되기 이전의 도제승(徒弟僧).
일후미 端正이라 호리 주003)
호리:
하는 이가. -+오/우+ㄹ(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Ø(영형태 주격조사). 여기서 관형사형은 부정(不定)시상임.
나히 열세히러니 諸比丘  주004)
:
사뢰되. 여쭈되. 여쭈기를. -[白](ㅂ불규칙)+오/우. → 〈64ㄱ〉 ‘’.
어루 주005)
어루:
가(可)히. 어루[可](평-거, 부사). 可 어루  마리오〈월석 서:ㄱ〉.
降化 주006)
항화(降化):
악한 마음을 없애게 하고 교화(敎化)함.

월인석보 25:85ㄴ

호리다 주007)
호리다:
하겠습니다. -+오/우+리++다. 선어말어미 ‘-오/우-’는 모음어간이 ‘아·어·오·우’일 경우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어간의 성조의 변동만 나타나고, 어간이 ‘, 으’이면 그 어간모음이 탈락한다. 어간모음이 단모음 ‘ㅣ’이면 ‘-오/우-’와 합음되어 ‘-요/유-’로 실현되고, 또 선어말어미 ‘-더-, -거/어-’와 연결되면 ‘-다-, -가/아-, -과/와-’가 됨.
고 밧긔 주008)
밧긔:
밖에. 밗[外]+/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 중세국어의 처소의 부사격조사에는 ‘애/에, 예, /의’가 있다. 이 가운데 ‘/의’는 관형격 조사가 처소의 부사격조사로 쓰이므로 특이한 처소의 부사격조사라고 한다.. 이 ‘-/의’는 주로 신체지칭 체언(, ), 방위지칭 체언(우, 앒, ), 지리·광물지칭 체언(, , 뫼, 길), 천문지칭 체언(새박, 아), 식물지칭 체언(나모, 섭) 뒤에 붙는 경향이 있음.
나와 維那 주009)
유나(維那):
karma-dāna의 한역(漢譯). 도유나(都維那)라고도 함. 절에서 대중의 잡무를 맡고, 또 그들을 지도 감독하는 이.
려 닐오 梵志 주010)
범지(梵志):
외도(外道)를 이름.
祇桓 주011)
기환(祇桓):
기원(祇園)의 다른 표기.
中에 러디니 주012)
러디니:
떨어진 이를. 러디-[落]+ㄴ(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목적격조사).
祇陁 주013)
기타(祇陁):
Jeta. Jetṛ. 인도 사위성 바사닉왕의 태자 이름. 자기 소유의 숲을 부처님께 공양함. 고대 중인도 사위국 기타태자의 동산.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
祇桓이라도 니 싸홈 주014)
싸홈:
싸움. 싸호-[鬪]+(/으)ㅁ(명사 파생접미사).
이기다 논 마리니 이 太子  저긔 아바님 波斯匿 주015)
바사닉(波斯匿):
고대 중인도 사위국의 왕. 불법을 독실하게 믿어 외호(外護) 일을 맡았음.
싸홈 이기시니라】
다 머리 갓가 주016)
갓가:
깎아. -[削]+아/어.
버서 나디 몯게 라 고 즉재 귓거싀게 주017)
귓거싀게:
귀신에게. 귀[鬼]+ㅅ(관형격조사)+것[物]+의게(낙차점 처소의 부사격조사).
가 닐오 주018)
네:
네가. 너[汝]+이/ㅣ(주격조사). 당시 대명사의 주격형과 관형격은 다음과 같이 성조로 구별되었음. 주격은 ·내(거성) :네(상성) :제(상성) ·뉘(거성), 관형격은 내(평성), 네(평성), 제(평 성) :뉘(상성)이다.
우리 먹고져  내 주019)
:
매우. 가장. [最](거성, 부사).
져글 주020)
져글:
작으므로. 적으므로. 젹-[小/少]+(/으)ㄹ.
몬져 주021)
몬져:
먼저. 몬져[先](평-평, 명사/부사).
오니

월인석보 25:86ㄱ

주022)
굴근:
굵은. 큰. 굵-[麤/大]+(/으)ㄴ.
比丘히 미조차 주023)
미조차:
뒤따라. 뒤미처 좇아. 미좇-[追]+아/어.
오시리니 주024)
네:
네가. 너+ㅣ(주격조사). 당시 대명사의 주격형과 관형격은 다음과 같이 성조로 구별되었음. 주격은 ·내(거성) :네(상성) :제(상성) ·뉘(거성), 관형격은 내(평성), 네(평성), 제(평성) :뉘(상성)이다.
奇特 주025)
기특(奇特):
특별히 다름.
나토고져 주026)
나토고져:
나타내고자. 나토-[見]+고져(의도의 연결어미). 의도의 연결어미로 ‘-과뎌’도 있는데 ‘-고져’는 상위문과 하위문의 주어가 일치할 때 ‘과뎌’는 상위문과 하위문의 주어가 일치하지 않을 때 쓰임.
커든 주027)
커든:
하거든. ‘-+거든’의 축약된 표기임.
밥 다 머구믈 기드리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悉不耕而食 費耗滋甚幸可見付 以充厨膳 王大恐懼遣使報僧 時有一沙彌名端正 年十三白諸比丘 我能降化之 即到鬼所而告之曰 (일부 미상, ‘86ㄱ’에 이어짐)

[아육왕의 불법 귀의 9]
왕이 매우 두려워 사자를 부려 중에게 말하였는데, 그때 한 사미의 이름이 ‘단정’이라 하는 사람이 나이가 열 셋이었는데, 모든 비구들께 사뢰기를, “내가 가히 항복 받아 교화하겠습니다. 하고, 밖으로 나와 유나에게 이르길, “범지가 기환 가운데 떨어진 이를【‘기타’를 ‘기환’이라고 하니 ‘싸움에서 이기다’는 말이니, 이 태자가 태어날 때에 아버님 바사닉이 싸움에서 이기셨다.】 다 머리 깎아 벗어나지 못하게 하라.” 하고, 즉시 귀신에게 가 이르길, “네가 우리를 먹고자 하므로 내가 가장 작으므로 먼저 왔으니, 큰 비구들이 뒤쫓아 오실 것이니, 네가 기이함을 나타내고자 하면 〈내가〉 밥 먹음을(먹을 동안을) 기다리라.”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쥬게:중에게. [僧]+게/의게(낙차점 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02)
사미(沙彌):śāmaṇera. 음역어. 한 사람의 비구가 되기 이전의 도제승(徒弟僧).
주003)
호리:하는 이가. -+오/우+ㄹ(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Ø(영형태 주격조사). 여기서 관형사형은 부정(不定)시상임.
주004)
:사뢰되. 여쭈되. 여쭈기를. -[白](ㅂ불규칙)+오/우. → 〈64ㄱ〉 ‘’.
주005)
어루:가(可)히. 어루[可](평-거, 부사). 可 어루  마리오〈월석 서:ㄱ〉.
주006)
항화(降化):악한 마음을 없애게 하고 교화(敎化)함.
주007)
호리다:하겠습니다. -+오/우+리++다. 선어말어미 ‘-오/우-’는 모음어간이 ‘아·어·오·우’일 경우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어간의 성조의 변동만 나타나고, 어간이 ‘, 으’이면 그 어간모음이 탈락한다. 어간모음이 단모음 ‘ㅣ’이면 ‘-오/우-’와 합음되어 ‘-요/유-’로 실현되고, 또 선어말어미 ‘-더-, -거/어-’와 연결되면 ‘-다-, -가/아-, -과/와-’가 됨.
주008)
밧긔:밖에. 밗[外]+/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 중세국어의 처소의 부사격조사에는 ‘애/에, 예, /의’가 있다. 이 가운데 ‘/의’는 관형격 조사가 처소의 부사격조사로 쓰이므로 특이한 처소의 부사격조사라고 한다.. 이 ‘-/의’는 주로 신체지칭 체언(, ), 방위지칭 체언(우, 앒, ), 지리·광물지칭 체언(, , 뫼, 길), 천문지칭 체언(새박, 아), 식물지칭 체언(나모, 섭) 뒤에 붙는 경향이 있음.
주009)
유나(維那):karma-dāna의 한역(漢譯). 도유나(都維那)라고도 함. 절에서 대중의 잡무를 맡고, 또 그들을 지도 감독하는 이.
주010)
범지(梵志):외도(外道)를 이름.
주011)
기환(祇桓):기원(祇園)의 다른 표기.
주012)
러디니:떨어진 이를. 러디-[落]+ㄴ(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목적격조사).
주013)
기타(祇陁):Jeta. Jetṛ. 인도 사위성 바사닉왕의 태자 이름. 자기 소유의 숲을 부처님께 공양함. 고대 중인도 사위국 기타태자의 동산.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
주014)
싸홈:싸움. 싸호-[鬪]+(/으)ㅁ(명사 파생접미사).
주015)
바사닉(波斯匿):고대 중인도 사위국의 왕. 불법을 독실하게 믿어 외호(外護) 일을 맡았음.
주016)
갓가:깎아. -[削]+아/어.
주017)
귓거싀게:귀신에게. 귀[鬼]+ㅅ(관형격조사)+것[物]+의게(낙차점 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18)
네:네가. 너[汝]+이/ㅣ(주격조사). 당시 대명사의 주격형과 관형격은 다음과 같이 성조로 구별되었음. 주격은 ·내(거성) :네(상성) :제(상성) ·뉘(거성), 관형격은 내(평성), 네(평성), 제(평 성) :뉘(상성)이다.
주019)
:매우. 가장. [最](거성, 부사).
주020)
져글:작으므로. 적으므로. 젹-[小/少]+(/으)ㄹ.
주021)
몬져:먼저. 몬져[先](평-평, 명사/부사).
주022)
굴근:굵은. 큰. 굵-[麤/大]+(/으)ㄴ.
주023)
미조차:뒤따라. 뒤미처 좇아. 미좇-[追]+아/어.
주024)
네:네가. 너+ㅣ(주격조사). 당시 대명사의 주격형과 관형격은 다음과 같이 성조로 구별되었음. 주격은 ·내(거성) :네(상성) :제(상성) ·뉘(거성), 관형격은 내(평성), 네(평성), 제(평성) :뉘(상성)이다.
주025)
기특(奇特):특별히 다름.
주026)
나토고져:나타내고자. 나토-[見]+고져(의도의 연결어미). 의도의 연결어미로 ‘-과뎌’도 있는데 ‘-고져’는 상위문과 하위문의 주어가 일치할 때 ‘과뎌’는 상위문과 하위문의 주어가 일치하지 않을 때 쓰임.
주027)
커든:하거든. ‘-+거든’의 축약된 표기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