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 아육왕의 즉위 과정
  • 아육왕의 즉위 과정 1
메뉴닫기 메뉴열기

아육왕의 즉위 과정 1


[아육왕의 즉위 과정 1]
◯ 後에 巴連弗邑에 王이 이쇼 주001)
이쇼:
있었는데. 이시-[有]+오(양보의 연결어미).
일후미 日月護ㅣ러니 아 주002)
아:
아들을. 아[子]+(목적격조사).
나니 주003)
나니:
낳으니. 낳-[生]+(/으)니.
일후미 頻頭婆羅 주004)
빈두바라(頻頭婆羅):
빈바사라(頻婆娑羅, Bimbisāra). 중인도 마갈타국 임금. 석존에게 죽림정사를 지어 바침. 나중에 태자인 아사세에게 갇히어 죽음.
ㅣ러니  아 나니 일후미 修師

월인석보 25:67ㄱ

ㅣ러니 그제 瞻婆國 주005)
첨파국(瞻婆國):
중인도 페사리국의 남쪽에 있던 나라.
에  婆羅門의 리 주006)
리:
딸이. [女息]+이(주격조사).
至極 端正더니 相師히 주007)
상사(相師)히:
관상가들이. 相師+(복수접미사)+이(주격조사).
닐오 주008)
닐오:
이르되. 니-[云]+오/우(양보의 연결어미).
王妃 외야 주009)
외야:
되어. 외-[爲]+아/어. ‘외-’는 ‘-(평-평)’〈용가 98〉의 ‘ㅸ’ 소실로 ‘외-’가 됨.
아 주010)
아:
아들을. 아[子]+(목적격조사).
나하 주011)
나하:
낳아. 낳-[生]+아/어.
나 주012)
나:
하나는. 낳[一](ㅎ종성체언)+(보조조사).
天下 거느리고 나 出家야 道理 주013)
도리(道理):
모든 사물이 존재하고 변화해가는 것에 맞춰 반드시 의거하여 준비된 법칙.
화 주014)
화:
배워. 호-[學]+아/어.
聖人이 외리로다 주015)
외리로다:
될 것이다. 외-[爲]+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도(감탄법 선어말어미)+다/라. 선어말어미 ‘-도-’는 ‘-리-’와 서술격조사 ‘-이’ 다음에서 ‘-로-’로 변동됨.
야 주016)
야:
하거늘. -[爲]+(거/아/어/).
婆羅門이

월인석보 25:67ㄴ

몯내 주017)
몯내:
못내. 몯내(상-상, 부사).
깃거 주018)
깃거:
기뻐하여. -[喜](동사)+아/어.
리고 주019)
리고:
데리고. 리-[率]+고.
巴連弗邑에 가 種種 莊嚴 야 修師摩王子 주020)
수사마왕자(修師摩王子):
수사마왕자에게. 修師摩王子+(목적격조사). 타동사의 목적어자리에만 목적격조사가 사용되는 것은 아님. 특히 중세국어에서는 ‘須達 아 얼유려 터니(수달의 아들을 딸에게 결혼시키려 하더니)’처럼 여격의 자리에도 목적격조사가 나타나는 일이 있는데 ‘수사마왕자’의 ‘’도 이런 기능으로 사용됨.
얼유려 주021)
얼유려:
결혼시키려. 얼이-[嫁]+오/우(의도법의 선어말어미)+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아/어(연결어미).
더니 相師ㅣ 주022)
상사(相師)ㅣ:
관상가들이. 相師+이/ㅣ(주격조사). ‘-이’는 자음으로 끝난 체언 아래, ‘-ㅣ’는 ‘ㅣ’ 이외의 모음으로 끝난 체언 아래 쓰이며, 이중모음의 부음 ‘-ㅣ’로 끝나면 Ø(영형태)로 드러나지 않음.
닐오 頻頭婆羅王 받 리라 王이 주023)
뎌:
저. 뎌(거성, 대명사).
 端正코 주024)
단정(端正)코:
단정하고. 행실이 얌전하며 바르고. 端正+고. ‘-코’는 ‘고’의 축약임.
잇  주025)
잇 :
있는 것을. 잇-[有]+(관형사형 연결어미)#(의존명사)+(목적격조사).
보고 즉재 第一夫人 사니 주026)
사니:
삼으니. 삼-[爲]+(/으)니.
곧 아

월인석보 25:68ㄱ

야 주027)
야:
배어. -[姙]+아/어.
아 나니  저긔 주028)
 저긔:
날 때에. 나-[生]+ㅭ(관형사형 연결어미)+적[時]+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 → 〈65ㄱ〉 ‘우희’.
便安야 어미 시름 업슬 일후믈 無憂ㅣ라 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阿難當知) 於巴連弗邑 有王名日月護 彼王當生子名曰頻頭婆羅 (當治彼國) 彼復有子名曰脩師摩 時瞻婆國有一婆羅門女 極爲端正(令人樂見 爲國所珍) 諸相師輩見彼女相 即記彼女當爲王妃必生二子 一當領天下 一當出家學道得成聖跡 時婆羅門 聞相師所說 歡喜無量即持其女 詣巴連弗邑種種莊嚴 欲嫁與修師摩王子 相師云應嫁與頻頭婆羅王 王見此女端正有德 即立爲第一夫人 (恒相娛樂) 仍便懷體月滿生子 生時安隱母無憂惱 (過七日後立字名無憂)

[아육왕의 즉위 과정 1]
◯ 후에 파련불읍에 왕이 있었는데 이름이 일월호였다. 아들을 낳으니 이름이 빈두바라였는데, 또 아들을 낳으니 이름이 수사마였다. 그때 첨파국에 한 바라문의 딸이 지극히 단정하였는데, 관상가들이 말하기를 “왕비가 되어 두 아들을 낳아 하나는 천하를 거느리고, 하나는 출가하여 도리를 배워 성인이 될 것이다.” 하니, 바라문이 못내 기뻐하여 딸을 데리고 파련불읍에 가 갖가지로 치장하여 수사마 왕자와 결혼시키려 했는데, 관상가가 말하기를, “빈두바라왕께 올려야 할 것이다.” 하니, 왕이 그 딸이 단정하고 덕이 있는 것을 보고 즉시 제1 부인으로 삼으니, 곧 아기 배어 아들을 낳으니, 날 때 편안하여 어머니가 시름이 없었으므로 이름을 ‘무우’라 하였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쇼:있었는데. 이시-[有]+오(양보의 연결어미).
주002)
아:아들을. 아[子]+(목적격조사).
주003)
나니:낳으니. 낳-[生]+(/으)니.
주004)
빈두바라(頻頭婆羅):빈바사라(頻婆娑羅, Bimbisāra). 중인도 마갈타국 임금. 석존에게 죽림정사를 지어 바침. 나중에 태자인 아사세에게 갇히어 죽음.
주005)
첨파국(瞻婆國):중인도 페사리국의 남쪽에 있던 나라.
주006)
리:딸이. [女息]+이(주격조사).
주007)
상사(相師)히:관상가들이. 相師+(복수접미사)+이(주격조사).
주008)
닐오:이르되. 니-[云]+오/우(양보의 연결어미).
주009)
외야:되어. 외-[爲]+아/어. ‘외-’는 ‘-(평-평)’〈용가 98〉의 ‘ㅸ’ 소실로 ‘외-’가 됨.
주010)
아:아들을. 아[子]+(목적격조사).
주011)
나하:낳아. 낳-[生]+아/어.
주012)
나:하나는. 낳[一](ㅎ종성체언)+(보조조사).
주013)
도리(道理):모든 사물이 존재하고 변화해가는 것에 맞춰 반드시 의거하여 준비된 법칙.
주014)
화:배워. 호-[學]+아/어.
주015)
외리로다:될 것이다. 외-[爲]+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도(감탄법 선어말어미)+다/라. 선어말어미 ‘-도-’는 ‘-리-’와 서술격조사 ‘-이’ 다음에서 ‘-로-’로 변동됨.
주016)
야:하거늘. -[爲]+(거/아/어/).
주017)
몯내:못내. 몯내(상-상, 부사).
주018)
깃거:기뻐하여. -[喜](동사)+아/어.
주019)
리고:데리고. 리-[率]+고.
주020)
수사마왕자(修師摩王子):수사마왕자에게. 修師摩王子+(목적격조사). 타동사의 목적어자리에만 목적격조사가 사용되는 것은 아님. 특히 중세국어에서는 ‘須達 아 얼유려 터니(수달의 아들을 딸에게 결혼시키려 하더니)’처럼 여격의 자리에도 목적격조사가 나타나는 일이 있는데 ‘수사마왕자’의 ‘’도 이런 기능으로 사용됨.
주021)
얼유려:결혼시키려. 얼이-[嫁]+오/우(의도법의 선어말어미)+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아/어(연결어미).
주022)
상사(相師)ㅣ:관상가들이. 相師+이/ㅣ(주격조사). ‘-이’는 자음으로 끝난 체언 아래, ‘-ㅣ’는 ‘ㅣ’ 이외의 모음으로 끝난 체언 아래 쓰이며, 이중모음의 부음 ‘-ㅣ’로 끝나면 Ø(영형태)로 드러나지 않음.
주023)
뎌:저. 뎌(거성, 대명사).
주024)
단정(端正)코:단정하고. 행실이 얌전하며 바르고. 端正+고. ‘-코’는 ‘고’의 축약임.
주025)
잇 :있는 것을. 잇-[有]+(관형사형 연결어미)#(의존명사)+(목적격조사).
주026)
사니:삼으니. 삼-[爲]+(/으)니.
주027)
야:배어. -[姙]+아/어.
주028)
 저긔:날 때에. 나-[生]+ㅭ(관형사형 연결어미)+적[時]+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 → 〈65ㄱ〉 ‘우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