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 아육왕의 즉위 과정
  • 아육왕의 즉위 과정 2
메뉴닫기 메뉴열기

아육왕의 즉위 과정 2


[아육왕의 즉위 과정 2]
 아 나니 일후미 離憂ㅣ러니 無憂 모미 디드러 주001)
디드러:
찌들어. 디들-[麁]+아/어.
아비 보디 주002)
보디:
보기. 보-[見]+디(명사형어미). ‘-디’는 명사형어미 ‘-기’의 이형태로 추정하는 것으로, ‘싫다, 좋다’ 등과 같은 제한된 용언 앞에서만 사용되다 15세기 이후에 사라짐.
슬희여 주003)
슬희여:
싫어하여. 슬희-[厭](동사)+아/어.
더니 王이 婆羅門 블러 주004)
블러:
불러. 브르-[呼]+아/어.
닐오 주005)
닐오:
이르되. 니-[云]+오/우(양보의 연결어미).
아 주006)
아:
아들들을. 아[子]+(복수접미사)+(목적격조사).
보라 나 업슨 後에 뉘 王 외료 주007)
외료:
되리오? 외-[爲]+리+오(설명의 의문법 종결어미). ‘외-’는 ‘-(평-평)’〈용가 98〉의 ‘ㅸ’ 소실로 ‘외-’가 됨. 중세국어의 의문법은 설명의문, 판정의문, 주어의 인칭 등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는데 주어의 인칭에 제약 없이 사용되는 의문법 종결어미 ‘-녀/니아(판정의문), 뇨/니오(설명의문)’와 주어가 2인칭일 때만 사용되는 ‘-ㄴ다(판정의문과 설명의문 비구분)’, 내적 사유 구문에 사용되는 ‘-(/으)ㄴ가/ㄴ고’가 있음.
婆羅

월인석보 25:68ㄴ

門이 닐오 아 金殿 園館 주008)
성금전 원관(城金殿園館):
성의 금전 원관(?)이란 건물 이름.
中에 내야시 주009)
내야시:
내시면. 내보내시면. 내-[出]+거/어/나+시+. 조건의 연결어미 ‘-거/어/나’ 가운데 연결되는 동사가 ‘내-’(양성모음, 자동사)이므로 ‘-어’의 이형태 ‘-아’이 실현됨. 여기에 선어말어미 ‘-시-’가 결합할 때 ‘시아’으로 되지 않고 한 형태소 사이에 ‘-시-’가 삽입되는데, 이런 형태를 불연속 형태소라고 함. 이미 일어난 사실을 주관적으로 확신하여 강조하는 선어말어미 ‘-거-’는 어말 말음이 ‘ㅣ’나 ‘ㄹ’, 계사 뒤에서 ‘-어-’(반드시 분철)로 나타남. 이런 음운론적인 교체 외에도 형태론적 교체를 보이기도 하는데 ‘-거/어-’는 자동사와 결합하고 ‘-아/어-’는 타동사와 결합하며 자동사 ‘오-[來]’ 뒤에서는 ‘-나-’로 교체됨.
相 보사다 주010)
보사다:
보겠습니다. 보고 싶습니다. 보-[見]+사다((존칭의 (청원의 종결어미) 어미)). 중세국어 공동법어미에는 ‘-져/쟈’가 있고 현대국어의 ‘-자’에 이른다. 공동법의 어말어미 ‘-져’와 명령법의 어말어미 ‘-라’와 결합하여 ‘-져라’로 실현되기도 하고 공손법의 ‘하쇼셔’체일 경우는 ‘-사다’로 나타남.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又復生子名曰離憂 無憂者身體麁澁 父不喜見 王欲試諸子 呼婆羅門言 觀我諸子 於我滅後 誰當作王 婆羅門言 將此諸子出城金殿園館中 當觀其相

[아육왕의 즉위 과정 2]
또 아들을 낳으니, 이름이 ‘리우’였는데, 무우는 몸이 찌들어 아버지가 보기 싫어했는데, 왕이 바라문을 불러 이르기를, “내 아들들을(아들들의 관상을) 보라. 내가 죽은 후에 누가 왕이 되겠는가?” 바라문이 이르기를, “아들들을 성의 금전 원관 중에 내보내시면 〈관〉상을 보겠습니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디드러:찌들어. 디들-[麁]+아/어.
주002)
보디:보기. 보-[見]+디(명사형어미). ‘-디’는 명사형어미 ‘-기’의 이형태로 추정하는 것으로, ‘싫다, 좋다’ 등과 같은 제한된 용언 앞에서만 사용되다 15세기 이후에 사라짐.
주003)
슬희여:싫어하여. 슬희-[厭](동사)+아/어.
주004)
블러:불러. 브르-[呼]+아/어.
주005)
닐오:이르되. 니-[云]+오/우(양보의 연결어미).
주006)
아:아들들을. 아[子]+(복수접미사)+(목적격조사).
주007)
외료:되리오? 외-[爲]+리+오(설명의 의문법 종결어미). ‘외-’는 ‘-(평-평)’〈용가 98〉의 ‘ㅸ’ 소실로 ‘외-’가 됨. 중세국어의 의문법은 설명의문, 판정의문, 주어의 인칭 등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는데 주어의 인칭에 제약 없이 사용되는 의문법 종결어미 ‘-녀/니아(판정의문), 뇨/니오(설명의문)’와 주어가 2인칭일 때만 사용되는 ‘-ㄴ다(판정의문과 설명의문 비구분)’, 내적 사유 구문에 사용되는 ‘-(/으)ㄴ가/ㄴ고’가 있음.
주008)
성금전 원관(城金殿園館):성의 금전 원관(?)이란 건물 이름.
주009)
내야시:내시면. 내보내시면. 내-[出]+거/어/나+시+. 조건의 연결어미 ‘-거/어/나’ 가운데 연결되는 동사가 ‘내-’(양성모음, 자동사)이므로 ‘-어’의 이형태 ‘-아’이 실현됨. 여기에 선어말어미 ‘-시-’가 결합할 때 ‘시아’으로 되지 않고 한 형태소 사이에 ‘-시-’가 삽입되는데, 이런 형태를 불연속 형태소라고 함. 이미 일어난 사실을 주관적으로 확신하여 강조하는 선어말어미 ‘-거-’는 어말 말음이 ‘ㅣ’나 ‘ㄹ’, 계사 뒤에서 ‘-어-’(반드시 분철)로 나타남. 이런 음운론적인 교체 외에도 형태론적 교체를 보이기도 하는데 ‘-거/어-’는 자동사와 결합하고 ‘-아/어-’는 타동사와 결합하며 자동사 ‘오-[來]’ 뒤에서는 ‘-나-’로 교체됨.
주010)
보사다:보겠습니다. 보고 싶습니다. 보-[見]+사다((존칭의 (청원의 종결어미) 어미)). 중세국어 공동법어미에는 ‘-져/쟈’가 있고 현대국어의 ‘-자’에 이른다. 공동법의 어말어미 ‘-져’와 명령법의 어말어미 ‘-라’와 결합하여 ‘-져라’로 실현되기도 하고 공손법의 ‘하쇼셔’체일 경우는 ‘-사다’로 나타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