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 월인천강지곡 기578~기579(2곡)
  • 월인천강지곡 기579
메뉴닫기 메뉴열기

월인천강지곡 기579


其 五百七十九
몰애로 주001)
몰애로:
모래로. 몰애[砂]+로(도구나 수단의 부사격조사).
布施 容皃 주002)
용모(容皃):
얼굴 모습.

월인석보 25:92ㄱ

구즌 주003)
구즌:
나쁜. 추한. 궂-[凶]+은(관형사형 연결어미).
優婆毱多ㅣ 니니다容皃 라】
뫼 주004)
뫼:
산을. 산에. 뫼ㅎ[山](ㅎ종성체언)+(목적격조사).
드러가니 涅槃 말라 주005)
말라:
말라(간접의문문). 마라(직접의문문). 말-[勿]+라(명령법 종결어미). ‘말-’은 초성이 ‘ㄱ, ㄷ, ㅈ’인 어미 앞에서 종성 ‘ㄹ’이 탈락하여 ‘마-’로 나타남. 그런데 명령형어미 ‘-라’와 결합할 때도 ‘ㄹ’이 탈락한 ‘마라’가 나타나기도 하는데(疑心 내디 마라〈법화5:167ㄴ〉), 이때의 ‘ㄹ’ 탈락은 음운현상에 의한 것이 아님. (15세기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직접인용문에서는 ‘마라’형이 점점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간접인용문에서는 대부분 ‘말라’로 사용됨.
샨  賓頭盧ㅣ 니니다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기 오백칠십구
모래로 보시하므로 용모가 나쁜 것을(추한 것을) 우바국다가 이르셨습니다.【‘용모’는 모습이다.】
산에 들어가니, 열반하지 말라 하신 것을 빈두로가 말했습니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몰애로:모래로. 몰애[砂]+로(도구나 수단의 부사격조사).
주002)
용모(容皃):얼굴 모습.
주003)
구즌:나쁜. 추한. 궂-[凶]+은(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04)
뫼:산을. 산에. 뫼ㅎ[山](ㅎ종성체언)+(목적격조사).
주005)
말라:말라(간접의문문). 마라(직접의문문). 말-[勿]+라(명령법 종결어미). ‘말-’은 초성이 ‘ㄱ, ㄷ, ㅈ’인 어미 앞에서 종성 ‘ㄹ’이 탈락하여 ‘마-’로 나타남. 그런데 명령형어미 ‘-라’와 결합할 때도 ‘ㄹ’이 탈락한 ‘마라’가 나타나기도 하는데(疑心 내디 마라〈법화5:167ㄴ〉), 이때의 ‘ㄹ’ 탈락은 음운현상에 의한 것이 아님. (15세기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직접인용문에서는 ‘마라’형이 점점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간접인용문에서는 대부분 ‘말라’로 사용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