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 석존 설법처의 탑묘 건립 ①
  • 석존 설법처의 탑묘 건립 1
메뉴닫기 메뉴열기

석존 설법처의 탑묘 건립 1


[석존 설법처의 탑묘 건립 1]
◯ 王이 마 주001)
마:
(1) 이미[旣, 已]. 벌써. (2) 장차[將, 臨].
八萬 四千 塔 셰오 歡喜 주002)
환희(歡喜):
불법을 듣고 신심을 얻어 마음이 기쁨.
踊躍 주003)
용약(踊躍):
기뻐서 뜀.
야 羣臣 리고 주004)
리고:
데리고. 리-[率]+고.
雞雀精舍 주005)
계작정사(雞雀精舍):
계원사(鷄園寺). B.C. 3세기 경 아육왕이 창건한 절.
애 가 耶舍上座 

월인석보 25:93ㄴ

  比丘ㅣ 부톄 授記 주006)
수기(授記):
수기(受記). 장래에 반드시 성불(成佛)하리라는 부처님의 예언.
샤 佛事 주007)
불사(佛事):
부처님의 교화. 여러 가지 일에 의탁하여 불법을 열어 보임. 또는 불교에서 하는 제사, 법회 등을 이름. 여기서 ‘불사’는 ‘왕이 비구께 공양 공경하는 일’을 뜻함.
리 겨시니가 주008)
겨시리고:
계십니까? 있으십니까? 겨시-[有]+리+(상대높임 선어말어미)+고(설명의 의문법 종결어미).
뎌 주009)
뎌:
저기에. 뎌[彼處](평-평/거-평, 대명사). 본시 대명사 ‘뎌+에(처소의 부사격조사)’의 구성이나, ‘ㆁ’이 삽입되어 재구조화된 것으로 봄.
가 供養 恭敬야지다 주010)
야지다:
하고싶습니다. -+아/어(선어말어미)+지다(청원의 종결어미). 청원의 뜻을 가진 어미는 ‘라’체의 ‘-지라’, ‘쇼셔’체의 ‘-지다’가 쓰임.
上座ㅣ 對答호 부텨 般涅槃 주011)
반열반(般涅槃):
완전한 열반. 완전한 깨달음. 부처님의 입적(入寂).
時예 摩偸羅國 주012)
마투라국(摩偸羅國):
Mathurā. 인도의 북부, 아그라의 북서쪽 점나강 근처에 있는 나라. 인도에서 제일 먼저 불상이 만들어진 곳으로 알려져 있음.
에 가샤 阿難이려 니샤 주013)
니샤:
이르시기를. 니-[云]+시+오. 선어말어미 ‘-시-’는 선어말어미 ‘-오/우-’ 앞에서 ‘샤’로 변동됨.
般涅槃 後 百歲 後에

월인석보 25:94ㄱ

주014)
장자(長者):
인도에서는 좋은 집안에 태어나 많은 재산을 가지고 덕을 갖춘 사람을 이름.
 아 일후미 優波崛多ㅣ라 호리 주015)
호리:
할 이가. 하는 이가. -+오/우+ㄹ(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Ø(주격조사).
出家야 道理 화 주016)
화:
배워. 호-[學]+아/어.
號ㅣ 無相佛 주017)
무상불(無相佛):
무상호불(無相好佛). 32상(相)을 갖추지 못했으나, 부처님과 대등한 덕(德)을 갖춘 이.
이리라 시니다 주018)
시니다:
하셨습니다. -+시+니++다.
王이 무로 優波崛多ㅣ 이제 世間애 나 겨시니가 주019)
겨시니가:
계십니까? 겨시-[存]+니++가. 상위자를 상대한 화자의 공손한 진술을 표시하는 ‘--, --’은 설명법 종결어미 ‘-다’ 앞에서는 ‘--’로, 의문법 종결어미 ‘-가, -고’ 앞에서는 ‘--’으로, 명령법일 때는 ‘-쇼셔’로 쓰임.
上座ㅣ 對答호 쎠 주020)
쎠:
벌써. 셔[已](평-거, 부사).
世間애 나 出家야 道

월인석보 25:94ㄴ

理 호니 이 阿羅漢이 優留蔓茶山 주021)
우류만다산(優留蔓茶山):
Urumaṇḍa 산 이름. 우류만타(優流漫陀)라고도 함.
中에 잇니다 주022)
잇니다:
있습니다. 잇-[有]++니++다.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王已建八萬四千塔 歡喜踊躍將諸群臣 往詣鷄雀精舍 白耶舍上座曰 更有比丘佛所受記 當作佛事不 我當往詣彼所 供養恭敬 上座答曰 佛般涅槃時 詣摩偷羅國阿難曰 於我般涅槃後 百歲之後當有長者子 名優波崛多 當出家學道號無相佛 王問上座曰 優波崛多今已出世不 上座答曰 已出世出家學道 是阿羅漢住在優留蔓荼山中

[석존 설법처의 탑묘 건립 1]
◯ 왕이 이미 8만 4천 탑을 세우고 기뻐 뛰고 여러 신하들을 데리고 계작정사에 가 야사상좌께 사뢰기를, “또 비구가(비구 중에) 부처님이 수기하셔 〈내가〉 불사할 분이 계십니까? 내가 거기에 가 공양 공경하고 싶습니다.” 상좌가 대답하되, “부처님이 반열반 시에 마투라국에 가시어 아난에게 이르시되, “나 반열반 후, 백 년 후에 장자의 아들 이름이 ‘우바굴다’라고 하는 이가 출가하여 도리를 배워 호가 ‘무상불’일 것이다.’ 하셨습니다.” 왕이 묻기를, “우바굴다가 지금 세상에 태어나 계십니까?” 상좌가 대답하기를, “벌써 세상에 태어나 출가하여 도리를 배우니, 이 아라한이 우류만다산 중에 있습니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마:(1) 이미[旣, 已]. 벌써. (2) 장차[將, 臨].
주002)
환희(歡喜):불법을 듣고 신심을 얻어 마음이 기쁨.
주003)
용약(踊躍):기뻐서 뜀.
주004)
리고:데리고. 리-[率]+고.
주005)
계작정사(雞雀精舍):계원사(鷄園寺). B.C. 3세기 경 아육왕이 창건한 절.
주006)
수기(授記):수기(受記). 장래에 반드시 성불(成佛)하리라는 부처님의 예언.
주007)
불사(佛事):부처님의 교화. 여러 가지 일에 의탁하여 불법을 열어 보임. 또는 불교에서 하는 제사, 법회 등을 이름. 여기서 ‘불사’는 ‘왕이 비구께 공양 공경하는 일’을 뜻함.
주008)
겨시리고:계십니까? 있으십니까? 겨시-[有]+리+(상대높임 선어말어미)+고(설명의 의문법 종결어미).
주009)
뎌:저기에. 뎌[彼處](평-평/거-평, 대명사). 본시 대명사 ‘뎌+에(처소의 부사격조사)’의 구성이나, ‘ㆁ’이 삽입되어 재구조화된 것으로 봄.
주010)
야지다:하고싶습니다. -+아/어(선어말어미)+지다(청원의 종결어미). 청원의 뜻을 가진 어미는 ‘라’체의 ‘-지라’, ‘쇼셔’체의 ‘-지다’가 쓰임.
주011)
반열반(般涅槃):완전한 열반. 완전한 깨달음. 부처님의 입적(入寂).
주012)
마투라국(摩偸羅國):Mathurā. 인도의 북부, 아그라의 북서쪽 점나강 근처에 있는 나라. 인도에서 제일 먼저 불상이 만들어진 곳으로 알려져 있음.
주013)
니샤:이르시기를. 니-[云]+시+오. 선어말어미 ‘-시-’는 선어말어미 ‘-오/우-’ 앞에서 ‘샤’로 변동됨.
주014)
장자(長者):인도에서는 좋은 집안에 태어나 많은 재산을 가지고 덕을 갖춘 사람을 이름.
주015)
호리:할 이가. 하는 이가. -+오/우+ㄹ(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Ø(주격조사).
주016)
화:배워. 호-[學]+아/어.
주017)
무상불(無相佛):무상호불(無相好佛). 32상(相)을 갖추지 못했으나, 부처님과 대등한 덕(德)을 갖춘 이.
주018)
시니다:하셨습니다. -+시+니++다.
주019)
겨시니가:계십니까? 겨시-[存]+니++가. 상위자를 상대한 화자의 공손한 진술을 표시하는 ‘--, --’은 설명법 종결어미 ‘-다’ 앞에서는 ‘--’로, 의문법 종결어미 ‘-가, -고’ 앞에서는 ‘--’으로, 명령법일 때는 ‘-쇼셔’로 쓰임.
주020)
쎠:벌써. 셔[已](평-거, 부사).
주021)
우류만다산(優留蔓茶山):Urumaṇḍa 산 이름. 우류만타(優流漫陀)라고도 함.
주022)
잇니다:있습니다. 잇-[有]++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