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4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4
  • 석존이 멸도 후에도 중생들을 위해 법화경을 설법할 것을 말함
  • 석존이 멸도 후에도 중생들을 위해 법화경을 설법할 것을 말함 7
메뉴닫기 메뉴열기

석존이 멸도 후에도 중생들을 위해 법화경을 설법할 것을 말함 7


[석존이 멸도 후에도 중생들을 위해 법화경을 설법할 것을 말함 7]

월인석보 14:61ㄱ

鹿苑時부톄 三乘 根性이 頓애 쇽졀업슬 寂場애 뮈디 아니샤 鹿苑 주001)
녹원(鹿苑):
녹원(鹿園)이라고도 함. 녹야원(鹿野苑)의 줄임말.
녹야원(鹿野苑) : 고대 중인도 바라나국(波羅奈國)에 있었던 숲의 이름. 석가모니가 성도한 후 최초로 5비구에게 설법하였던 장소. 불교의 4대 성지 중 하나로 꼽힌다. 〈영역〉 the deer park.
에 노니샤 舍那 보옛 옷 바시고 주002)
바시고:
밧+시+고. 벗어시고.
丈六 헌 옷 니브샤 兜率로셔 리샤 胎예 드르샤 주003)
드르샤:
들+으시+아. 드시어.
胎예 나샤 妃子 드리샤 주004)
드리샤:
드리+시+아. 들게 하시어.
아 나샤 出家샤 苦行샤 六年 後에 木菩提樹 주005)
적장수(寂場樹):
적멸 도량의 보리수. 또는 석존이 입멸한 장소의 보리수나무.
ㅅ 아래 플로 座 샤 주006)
샤:
+시+아. 만드시어.
劣應丈六身佛 주007)
열응신(劣應身):
↔ 승응신(勝應身). 또는 장륙신불(丈六身佛)·열응장륙신불(劣應丈六身佛). 천태종에서 4교 4불(四敎四佛) 중 3장교(藏敎)의 교주(敎主)를 말함. 곧 보리수 아래에서 길상초를 깔고 오도(悟道)하여 3장교의 근기를 위하여 4제(諦)의 이치를 말하고, 80년 후에 노비구(老比丘)의 모양을 나타내어 입적하신 세존.
이 외샤 三乘 주008)
삼승(三乘):
세 가지 탈것. 세 가지 입장. 불교를 수행하고 실천하는 입장을 세 가지로 구분한 것. 깨달음에 이르는 세 가지 실천법. 승(乘)은 가르침을 실어 나르는 것에 비유한 말. ① 성문승(聲聞乘), 연각승(緣覺乘), 보살승(菩薩乘). 또는 소승(小乘), 중승(中乘), 대승(大乘). 성문승 즉 소승은 4제(諦)의 이치를 깨달아 아라한이 되는 것. 연각승 즉 중승은 벽지불승(辟支佛乘)이라고도 불리며, 12인연의 이치를 깨달아 벽지불이 되는 것. 보살승 즉 대승은 장구한 기간의 수행으로 최상의 깨달음을 실현하는 것. ② 성문, 연각, 보살로 불교의 수행자 전체를 총괄하는 말. ③ 성문과 연각의 2승을 소승, 대승인 보살승을 불승(佛乘) 혹은 1승(一乘)으로 구분한 것. 〈영역〉 the three vehicles.
根앳 사 爲샤 生滅四諦와 十二因緣ㅅ 일와 六度 等 法

월인석보 14:61ㄴ

을 닐어시 사히 듣고 치샨 다 주009)
치샨 다:
치+시+ㄴ 다. 가르치신 대로.
修行야 偏眞理 證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석존이 멸도 후에도 중생들을 위해 법화경을 설법할 것을 말함 7]
제2 녹원시(鹿苑時)는 부처의 3승(三乘) 근성이 돈(頓)에 속절없으므로, 적멸도량에 움직이지 아니하시어, 녹원에 노니시어, 사나로 된 보배 옷을 벗으시고 장육(丈六) 헌 옷을 입으시고, 도솔천에서 내려오셔서, 태에 드시어, 태에서 생겨나시어, 비자(妃子)의 몸에 들게 하시어, 아들을 낳게 하시어, 출가하시어, 고행하시어, 6년 후에 보리수나무 아래 풀로 자리를 만드시어, 열응장육신불(劣應丈六身佛)이 되시어, 3승근(三乘根)에의 사람을 위하시어 생멸 4제와 12인연의 일과 6도(度) 등의 법을 말씀하시어, 사람들이 듣고 가르치신 대로 수행하여 편진리
(偏眞理, 치우친 진리)
를 깨달은 것이다.
Ⓒ 역자 | 조규태 / 2010년 9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녹원(鹿苑):녹원(鹿園)이라고도 함. 녹야원(鹿野苑)의 줄임말.
녹야원(鹿野苑) : 고대 중인도 바라나국(波羅奈國)에 있었던 숲의 이름. 석가모니가 성도한 후 최초로 5비구에게 설법하였던 장소. 불교의 4대 성지 중 하나로 꼽힌다. 〈영역〉 the deer park.
주002)
바시고:밧+시+고. 벗어시고.
주003)
드르샤:들+으시+아. 드시어.
주004)
드리샤:드리+시+아. 들게 하시어.
주005)
적장수(寂場樹):적멸 도량의 보리수. 또는 석존이 입멸한 장소의 보리수나무.
주006)
샤:+시+아. 만드시어.
주007)
열응신(劣應身):↔ 승응신(勝應身). 또는 장륙신불(丈六身佛)·열응장륙신불(劣應丈六身佛). 천태종에서 4교 4불(四敎四佛) 중 3장교(藏敎)의 교주(敎主)를 말함. 곧 보리수 아래에서 길상초를 깔고 오도(悟道)하여 3장교의 근기를 위하여 4제(諦)의 이치를 말하고, 80년 후에 노비구(老比丘)의 모양을 나타내어 입적하신 세존.
주008)
삼승(三乘):세 가지 탈것. 세 가지 입장. 불교를 수행하고 실천하는 입장을 세 가지로 구분한 것. 깨달음에 이르는 세 가지 실천법. 승(乘)은 가르침을 실어 나르는 것에 비유한 말. ① 성문승(聲聞乘), 연각승(緣覺乘), 보살승(菩薩乘). 또는 소승(小乘), 중승(中乘), 대승(大乘). 성문승 즉 소승은 4제(諦)의 이치를 깨달아 아라한이 되는 것. 연각승 즉 중승은 벽지불승(辟支佛乘)이라고도 불리며, 12인연의 이치를 깨달아 벽지불이 되는 것. 보살승 즉 대승은 장구한 기간의 수행으로 최상의 깨달음을 실현하는 것. ② 성문, 연각, 보살로 불교의 수행자 전체를 총괄하는 말. ③ 성문과 연각의 2승을 소승, 대승인 보살승을 불승(佛乘) 혹은 1승(一乘)으로 구분한 것. 〈영역〉 the three vehicles.
주009)
치샨 다:치+시+ㄴ 다. 가르치신 대로.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