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지장경언해 중권

  • 역주 지장경언해
  • 지장경언해 중권
  • 제9 칭불명호품(稱佛名號品)
  • 제9 칭불명호품 007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9 칭불명호품 007


 과거의 졍월불주001)
졍월불:
정월불(淨月佛). 약사전판(중31ㄱ)에는 ‘졍월블’로 적혀 있다.
산왕불주002)
산왕불:
산왕불(山王佛). 약사전판(중31ㄱ)에는 ‘산왕블’로 적혀 있다.
디승불주003)
디승불:
지승불(智勝佛). 약사전판(중31ㄱ)에도 ‘디승블’로 적혀 있다.
졍명왕불주004)
졍명왕불:
정명왕불(淨名王佛). 약사전판(중31ㄱ)에도 ‘졍명왕블’로 적혀 있다.
디셩불주005)
디셩불:
지성취불(智成就佛). 약사전판(중31ㄱ)에는 ‘디셩ᄎᆔ블’로 적혀 있다.
무샹불주006)
무샹불:
무상불(無上佛). 약사전판(중31ㄱ)에는 ‘무샹블’로 적혀 있다.
묘셩불주007)
묘셩불:
묘성불(妙聲佛). 약사전판(중31ㄱ)에도 ‘묘셩블’로 적혀 있다.
만월불주008)
만월불:
만월불(滿月佛). 약사전판(중31ㄱ)에는 ‘만월블’로 적혀 있다.
월면불주009)
월면불:
월면불(月面佛). 약사전판(중31ㄱ)에도 ‘월면블’로 적혀 있다.
이러 불가셜주010)
불가셜:
불가설(不可說). 말로는 설명할 수 없음. 약사전판(중31ㄱ)에는 ‘블가셜’로 적혀 있다.
불셰존주011)
불셰존:
불세존(佛世尊). 약사전판(중31ㄱ)에는 ‘블셰존’으로 적혀 있다.
이 계시더니 현 미 일쳬 즁이 텬이어나주012)
텬이어나:
천(天)이거나. 8부중(部衆)의 하나로서 모든 천계에 살고 있는 천인(天人).
인이어나 남이어니 녀어나주013)
녀어나:
여인(女人)이거나. 『월인석보』(21하:136ㄱ)에는 ‘女ㅣ어나’로 적혀 있다. ‘-거나’가 어미이므로, 서술격 조사 어간 ‘이/ㅣ-’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녀어나’는 모음 뒤에서 ‘이/ㅣ-’가 수의적으로 탈락한 것일 수도 있다.
오딕주014)
오딕:
오직. 약사전판(중31ㄱ)에는 ‘오듸’로 적혀 있다.
 부텨 일홈을 념야도주015)
념ᄒᆞ야도:
염(念)하여도. 『월인석보』(21하:136ㄴ)에는 ‘念ᄒᆞᅀᆞᄫᅡ도’로 적혀 있다. 주체 겸양(또는 객체 존대) 선어말 어미의 사용이 중세국어 문헌만큼 엄격하지 않음을 볼 수 있다.
공덕이 그지 업스리니 믈며 한 일홈미닛가주016)
일홈미닛가:
일홈+이ᄯᆞᆫ+이(서술격 조사 어간)+잇(청자 높임 선어말 어미)+가(판정의문 종결 어미). ‘이ᄯᆞ닛가’는 ‘이ᄯᆞ니ᅌᅵᆺ가’의 발달형이다. ‘이ᄯᆞ니ᅌᅵᆺ가’는 언제나 문장의 비서술어 위치에 쓰여서 의문문을 구성하며, 그 뒤에는 ‘…는 당연하다’ 정도의 생략된 내용이 있다.
이 즁히 시 시의 주017)
제:
제 스스로가. 저[自]+ㅣ(주격 조사).
니을주018)
니을:
이(利)를. 이익을.
득야 나죵내주019)
나죵내:
끝내. 『월인석보』(21하:136ㄴ)에는 ‘乃終내’로 적혀 있다. ‘乃終내’는 명사 ‘내(乃終)’에 부사 파생 접미사 ‘-내’가 결합한 부사이다. ‘내’는 어떤 시기에 다다라서야 비로소 사건이 발생하게 되었음을 나타내고, ‘내내’는 끝까지 어떤 상태가 유지됨을 나타낸다. ‘나죵내’는 17, 18세기 문헌에서 나타난다. ‘나죵’은 현대국어의 ‘나중’으로 발달한다.
악도의주020)
악도의:
악도(惡道)에. ‘의’가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의 기능을 상실하고 광범위한 환경에 쓰인 것이다. 악도(惡道)는. ‘악취(惡趣)’라고도 한다. 악한 업인(業因)에 대한 과보로서 태어나는 곳. 6도(道) 중에서 흔히 3악도로 꼽히는 지옥계(地獄界), 아귀계(餓鬼界), 축생계(畜生界)가 해당하며, 아수라계(阿修羅界)까지 포함시키기도 한다.
러디디 안니리니 다가 마 명죵 사름의 집 권쇽이 

지장경언해 중:31ㄴ

름미나
주021)
사름미나:
사람이라도. 사름+이나(보조사). ‘이나’가 ‘이라도’와 같은 뜻을 나타내고 있다.
Ⓒ 언해 | 묘향산인 관송장로 / 1762년(영조 38)

또 과거에 정월불(淨月佛) 산왕불(山王佛) 지승불(智勝佛) 정명왕불(淨名王佛) 지성취불(智成就佛) 무상불(無上佛) 묘성불(妙聲佛) 만월불(滿月佛) 월면불(月面佛) 이러한 불가설(不可說) 불세존(佛世尊)이 계시더니, 현재 미래 일체 중생이 천(天)이거나 인(人)이거나, 남(男)이거나 녀(女)이거나, 오직 한 부처 이름을 념(念)하여도 공덕이 한없으리니, 하물며 많은 〈부처〉 이름을 념(念)하는 사람이야 더 말할 것이 있겠습니까? 이 중생들은 생시(生時) 사시(死時)에 스스로 큰 이익을 득(得)하여 끝내 악도(惡道)에 떨어지지 아니하리니, 만약 장차 명종(命終)할 사람의 집 권속(眷屬)이 한 사람이라도
Ⓒ 역자 | 이유기 / 2018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졍월불:정월불(淨月佛). 약사전판(중31ㄱ)에는 ‘졍월블’로 적혀 있다.
주002)
산왕불:산왕불(山王佛). 약사전판(중31ㄱ)에는 ‘산왕블’로 적혀 있다.
주003)
디승불:지승불(智勝佛). 약사전판(중31ㄱ)에도 ‘디승블’로 적혀 있다.
주004)
졍명왕불:정명왕불(淨名王佛). 약사전판(중31ㄱ)에도 ‘졍명왕블’로 적혀 있다.
주005)
디셩불:지성취불(智成就佛). 약사전판(중31ㄱ)에는 ‘디셩ᄎᆔ블’로 적혀 있다.
주006)
무샹불:무상불(無上佛). 약사전판(중31ㄱ)에는 ‘무샹블’로 적혀 있다.
주007)
묘셩불:묘성불(妙聲佛). 약사전판(중31ㄱ)에도 ‘묘셩블’로 적혀 있다.
주008)
만월불:만월불(滿月佛). 약사전판(중31ㄱ)에는 ‘만월블’로 적혀 있다.
주009)
월면불:월면불(月面佛). 약사전판(중31ㄱ)에도 ‘월면블’로 적혀 있다.
주010)
불가셜:불가설(不可說). 말로는 설명할 수 없음. 약사전판(중31ㄱ)에는 ‘블가셜’로 적혀 있다.
주011)
불셰존:불세존(佛世尊). 약사전판(중31ㄱ)에는 ‘블셰존’으로 적혀 있다.
주012)
텬이어나:천(天)이거나. 8부중(部衆)의 하나로서 모든 천계에 살고 있는 천인(天人).
주013)
녀어나:여인(女人)이거나. 『월인석보』(21하:136ㄱ)에는 ‘女ㅣ어나’로 적혀 있다. ‘-거나’가 어미이므로, 서술격 조사 어간 ‘이/ㅣ-’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녀어나’는 모음 뒤에서 ‘이/ㅣ-’가 수의적으로 탈락한 것일 수도 있다.
주014)
오딕:오직. 약사전판(중31ㄱ)에는 ‘오듸’로 적혀 있다.
주015)
념ᄒᆞ야도:염(念)하여도. 『월인석보』(21하:136ㄴ)에는 ‘念ᄒᆞᅀᆞᄫᅡ도’로 적혀 있다. 주체 겸양(또는 객체 존대) 선어말 어미의 사용이 중세국어 문헌만큼 엄격하지 않음을 볼 수 있다.
주016)
일홈미닛가:일홈+이ᄯᆞᆫ+이(서술격 조사 어간)+잇(청자 높임 선어말 어미)+가(판정의문 종결 어미). ‘이ᄯᆞ닛가’는 ‘이ᄯᆞ니ᅌᅵᆺ가’의 발달형이다. ‘이ᄯᆞ니ᅌᅵᆺ가’는 언제나 문장의 비서술어 위치에 쓰여서 의문문을 구성하며, 그 뒤에는 ‘…는 당연하다’ 정도의 생략된 내용이 있다.
주017)
제:제 스스로가. 저[自]+ㅣ(주격 조사).
주018)
니을:이(利)를. 이익을.
주019)
나죵내:끝내. 『월인석보』(21하:136ㄴ)에는 ‘乃終내’로 적혀 있다. ‘乃終내’는 명사 ‘내(乃終)’에 부사 파생 접미사 ‘-내’가 결합한 부사이다. ‘내’는 어떤 시기에 다다라서야 비로소 사건이 발생하게 되었음을 나타내고, ‘내내’는 끝까지 어떤 상태가 유지됨을 나타낸다. ‘나죵내’는 17, 18세기 문헌에서 나타난다. ‘나죵’은 현대국어의 ‘나중’으로 발달한다.
주020)
악도의:악도(惡道)에. ‘의’가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의 기능을 상실하고 광범위한 환경에 쓰인 것이다. 악도(惡道)는. ‘악취(惡趣)’라고도 한다. 악한 업인(業因)에 대한 과보로서 태어나는 곳. 6도(道) 중에서 흔히 3악도로 꼽히는 지옥계(地獄界), 아귀계(餓鬼界), 축생계(畜生界)가 해당하며, 아수라계(阿修羅界)까지 포함시키기도 한다.
주021)
사름미나:사람이라도. 사름+이나(보조사). ‘이나’가 ‘이라도’와 같은 뜻을 나타내고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