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지장경언해 중권

  • 역주 지장경언해
  • 지장경언해 중권
  • 제8 염라왕중찬탄품(閻羅王衆讚嘆品)
  • 제8 염라왕중찬탄품 010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8 염라왕중찬탄품 010


그러나 주001)
이:
이는. 이+Ø(주격 조사). ‘그러나 이 업뵐ᄉᆡ’의 원문은 ‘然是業報’(벽송암판 중20ㄱ)이다.
업뵐주002)
업뵐:
업보(業報)이니. 업보+ㅣ(서술격 조사 어간)+ㄹᄉᆡ. ‘-ㄹᄉᆡ’는 일반적으로 ‘원인, 이유’를 뜻하지만, 여기의 ‘-ㄹᄉᆡ’에서는 그러한 의미를 찾기 어렵다. 여기의 ‘-ㄹᄉᆡ’가 쓰인 위치는 문말(文末)로 보인다.
우리주003)
우리:
저희.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에서 ‘우리’는 오늘날의 ‘저희’가 쓰일 환경에서까지 쓰였다. ‘저희’는 현대국어의 ‘저희’와 달리 ‘우리’의 낮춤말이 아니고 3인칭 복수 재귀대명사로 쓰였다.
권쇽주004)
권쇽:
권속(眷屬). ‘권속’은 대개 가족을 가리키는데, 넓게는 노복(奴僕) 또는 불보살을 따르는 협시존(脇侍尊) 등까지 가리킬 때가 있다.
셰계의주005)
셰계의:
세계(世界)에. 세상에. 『월인석보』(21하:121ㄴ)에는 ‘世界예’로 적혀 있다. ‘의’가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의 기능을 상실하고 광범위한 환경에 쓰인 것이다.
노라주006)
노라:
돌아다녀. 놀-[遊]+아.
되주007)
되:
행(行)하되. 다니되.
모딘주008)
모딘:
악한. 모딜-[惡]+ㄴ(관형사형 어미).
일이 만코 션 일이 져거 사름주009)
사름:
사람. ‘사ᄅᆞᆷ’의 ‘ㆍ’가 ‘ㅡ’로 변화한 것이다. 이 책에서는 중세국어의 ‘사ᄅᆞᆷ’이 ‘사름, 살음’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사ᄅᆞᆷ〉사름. ‘사ᄅᆞᆷ’의 ‘ㆍ’가 ‘ㅡ’와 합류하여 ‘사름’으로 변화한 것이다.
딥히어나주010)
딥히어나:
집뜰이거나. 딥[家屋]+ᄯᅳᆶ[庭]+이(서술격 조사 어간)+거나.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에서 ‘ㄱ’이 약화한 것을 표기한 것이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ㄱ’이 복원된 예도 많다. 『월인석보』(21하:121ㄴ)에 ‘집ᄠᅳᆯ히어나’로 적혀 있으므로, ‘딥’은 구개음화의 추세에 이끌린 과잉교정(역구개음화)임을 알 수 있고, ‘ᄯᅳᆶ’이 ‘ᄠᅳᆶ’에서 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딥ᄯᅳᆶ’의 원문은 ‘家庭’(벽송암판 중20ㄱ)이다. 여기서 ‘가정(家庭)’의 의미가 변한 것을 알 수 있다.
주011)
혹:
혹(或)은. ‘이런 경우도 있음’을 뜻하는 부사이다. ‘시혹’과 교체적으로 쓰이기도 한다. 『월인석보』(21하:121ㄴ)에는 ‘시혹’으로 적혀 있다. ‘시혹’은 ‘혹은, 때때로’의 뜻을 지닌다. 한자어(時或)이지만 ‘녜(常例)’처럼 대개 훈민정음으로 적혔는데, 이것은 당시에 이 어휘가 한자어라는 인식이 엷었기 때문일 것이다.
셩읍주012)
셩읍:
성읍(城邑).
락주013)
락:
취락(聚落).
장원주014)
장원:
장원(莊園). 궁정이나 귀족이나 관료의 사유지. 중국 진(晉), 남북조 때까지의 장원은 주로 별장지(別莊地)의 성격이 강하였는데, 당나라 이후로는 경제적 성격을 띠게 되어 농민에게 경작하게 하고, 관리인을 두어 세금을 거두어들였다.
방샤어나주015)
방샤어나:
방사(房舍)이거나. 방샤+이/ㅣ(서술격 조사 어간)+거나. ‘ㄱ’ 약화. 서술격 조사 어간 ‘ㅣ’가 없는데, 이는 실수이다. ‘방섀어나’로 표기하는 것이 정상이다. ‘방샤’는 방사(房舍). 방(房)만 있는 건물.
디나되 혹 남 녀인이 터럭만주016)
터럭만:
터럭만큼. ‘만’은 ‘만큼’을 뜻하는 보조사이다. 중세국어에서 ‘:만’은 ‘기간(期間)’을 뜻하는 명사이고, ‘·만’은 ‘뿐, 만’ 또는 ‘만큼’을 뜻하는 보조사이다.
션을주017)
션을:
선사(善事)를.
닷가주018)
닷가:
닦아. 다ᇧ-[修]+아.
주019)
번:
당번(幢幡). 부처나 보살의 위덕을 표시하는 깃발 모양의 장엄 도구. ‘증번(繒幡)’이라고도 한다.
주020)
개:
천개(天蓋, 天盖). 불상을 덮는 비단으로 된 일산(日傘).
며 죠고만주021)
죠고만:
조그마한. 『월인석보』(21하:122ㄱ)에는 ‘죠고맛’으로 적혀 있다. ‘죠고맛’이 ‘ㄴ, ㅁ’ 등의 비자음으로 시작되는 명사(예: 몸) 앞에서 ‘죠고만’으로 실현되는데, 이것이 ‘죠고맛〉죠고만’의 변화를 초래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향 죠고만 고로주022)
고로:
꽃으로. 곶[花]+ᄋᆞ로(부사격 조사).
불샹과 보살샹의 공양며 혹 존경주023)
존경:
존경(尊經). ‘경전(經典)’을 높여서 표현한 말.
닐으며주024)
닐으며:
읽으며. ‘읽다’를 뜻하는 중세국어 어휘는 ‘닑다’이다. 이 책에는 ‘니르거나(중9ㄴ), 닐으면(중10ㄴ), 니ᄅᆞ거나(중11ㄴ), 닐으며(중24ㄱ, 하7ㄱ)’ 등 예가 많다. ‘닑다’가 ‘니르다’로 발달하기는 어렵다. 근대국어 이전 시기에 방언 ‘니르다’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현대에도 일부 방언에서 ‘책 이른다(=책 읽는다)’가 쓰이고 있다.
로고주025)
로고:
불사르고. ᄉᆞ로/ᄊᆞ로-[燒]+고. 중세국어의 ‘ᄉᆞᆯ-’은 [燒]를 뜻하는 타동사였다. ¶블 나면 도로 가져 두 남 니 나모와 블왜 마 다면  自然히 滅야〈원각경언해 상2-1:48ㄴ〉. ‘ᄉᆞᆯ다’가 ‘ᄉᆞ로다’로 발달한 것은 오분석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즉 다음 예문의 ‘ᄉᆞᄅᆞ신’은 ‘ᄉᆞᆯ-[燒]+ᄋᆞ시+ㄴ’의 구조인데, 매개모음 ‘ᄋᆞ’를 사동 접미사로 오분석하여 ‘ᄉᆞᄅᆞ다’가 형성되고, ‘ᄉᆞᄅᆞ다’의 제2음절 모음 ‘ㆍ’가 ‘ㅗ’로 변하여 ‘ᄉᆞ로다’가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대국어 ‘사르다’도 마찬가지이다. ¶몸 신 後에 陁羅尼 得시고〈석보상절 20:14ㄱ〉.
일구주026)
일구:
일구(一句). 법문의 한 구절.
일게주027)
일게:
일게(一偈). 약사전판에는 ‘일계’로 적혀 있다. 한 게송(偈頌). ‘게송(偈頌)’은 산스크리트어 ‘gāthā’의 번역이다. 음역하여 ‘가타(伽陀, 伽他)’라고도 하고, 줄여서 ‘게(偈)’라고도 한다. 송(頌), 송문(頌文) 경(經), 논(論), 석(釋) 등에서 시구(詩句)의 형식으로 불덕(佛德)을 찬탄하는 것을 가리킨다.
공양매 니르러도주028)
니르러도:
이르러도. 이르는 경우까지도. 니를-[至]+어(연결 어미)+도(보조사). 중세국어에는 [至]를 뜻하는 동사 ‘니르다’와 ‘니를다’가 공존하였는데, ‘니르-+게’는 ‘니르게’로 적히지만 ‘니를-+게’는 ‘니를에’로 적힌다.
우리 귀왕이 이 사름주029)
사름:
사람. ‘사ᄅᆞᆷ’의 ‘ㆍ’가 ‘ㅡ’로 변화한 것이다. 이 책에서는 중세국어의 ‘사ᄅᆞᆷ’이 ‘사름, 살음’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사ᄅᆞᆷ〉사름. ‘사ᄅᆞᆷ’의 ‘ㆍ’가 ‘ㅡ’와 합류하여 ‘사름’으로 변화한 것이다.
을 공경야 녜되주030)
녜되:
예(禮)를 드리되. 공경하되. 『월인석보』(21하:122ㄱ)에는 ‘禮數호ᄃᆡ’로 적혀 있다. 이 책에는 ‘禮數’가 ‘녜’로 바뀐 예가 몇 있는데, 그것은 근대국어 시기에 ‘예수(禮數)’가 생산성을 잃었음을 시사한다. ‘예수’는 명성이나 지위에 알맞은 예의와 대우를 뜻한다. 예의 절차를 뜻하는 경우도 있다.
과거 현 미 졔불티주031)
졔불티:
제불(諸佛)같이.
야

지장경언해 중:24ㄴ

귀을
주032)
쇼귀을:
소귀(小鬼)들을. 작은 귀신들을. ᄃᆞᆯ(복수 접미사)+을(목적격 조사). ㅎ말음체언의 ‘ㅎ’이 소멸한 모습이다.
틱야주033)
틱야:
칙(勅)하여. 시켜서.
각각 큰 힘과 토디분주034)
토디분:
토지분(土地分). 토지를 관장하는 직분.
두어주035)
두어:
두어. 두-[置]+어. 문맥으로는 ‘(큰 힘과 토지 관할권을) 주어’를 뜻한다.
Ⓒ 언해 | 묘향산인 관송장로 / 1762년(영조 38)

그러나 이는 업보이니, 저희 권속이 세상에 돌아다니는데, 악한 일이 많고 선한 일이 적어, 사람의 집뜰이거나 혹은 성읍(城邑) 취락(聚落) 장원(莊園) 방사(房舍)이거나 〈이곳들을〉 지나되, 혹 남자나 여인이 터럭만한 선사(善事)를 닦는 일, 〈나아가서는〉 한 개의 번(幡) 한 개의 개(盖)를 달며, 작은 향 작은 꽃으로 불상(佛象)과 보살상(菩薩像)을 공양(供養)하며, 혹 존경(尊經)을 읽으며, 향(香)을 사르고 일구(一句) 일게(一偈)를 공양함에 이르는 경우까지도, 저희 귀왕이 이 사람을 공경하여 예를 드리되, 과거 현재 미래의 제불(諸佛)같이 하여, 소귀(小鬼)들을 칙(勅)하여 각각 큰 힘과 토지분
(土地分, 토지 할당량)
을 두어
Ⓒ 역자 | 이유기 / 2018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이는. 이+Ø(주격 조사). ‘그러나 이 업뵐ᄉᆡ’의 원문은 ‘然是業報’(벽송암판 중20ㄱ)이다.
주002)
업뵐:업보(業報)이니. 업보+ㅣ(서술격 조사 어간)+ㄹᄉᆡ. ‘-ㄹᄉᆡ’는 일반적으로 ‘원인, 이유’를 뜻하지만, 여기의 ‘-ㄹᄉᆡ’에서는 그러한 의미를 찾기 어렵다. 여기의 ‘-ㄹᄉᆡ’가 쓰인 위치는 문말(文末)로 보인다.
주003)
우리:저희.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에서 ‘우리’는 오늘날의 ‘저희’가 쓰일 환경에서까지 쓰였다. ‘저희’는 현대국어의 ‘저희’와 달리 ‘우리’의 낮춤말이 아니고 3인칭 복수 재귀대명사로 쓰였다.
주004)
권쇽:권속(眷屬). ‘권속’은 대개 가족을 가리키는데, 넓게는 노복(奴僕) 또는 불보살을 따르는 협시존(脇侍尊) 등까지 가리킬 때가 있다.
주005)
셰계의:세계(世界)에. 세상에. 『월인석보』(21하:121ㄴ)에는 ‘世界예’로 적혀 있다. ‘의’가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의 기능을 상실하고 광범위한 환경에 쓰인 것이다.
주006)
노라:돌아다녀. 놀-[遊]+아.
주007)
되:행(行)하되. 다니되.
주008)
모딘:악한. 모딜-[惡]+ㄴ(관형사형 어미).
주009)
사름:사람. ‘사ᄅᆞᆷ’의 ‘ㆍ’가 ‘ㅡ’로 변화한 것이다. 이 책에서는 중세국어의 ‘사ᄅᆞᆷ’이 ‘사름, 살음’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사ᄅᆞᆷ〉사름. ‘사ᄅᆞᆷ’의 ‘ㆍ’가 ‘ㅡ’와 합류하여 ‘사름’으로 변화한 것이다.
주010)
딥히어나:집뜰이거나. 딥[家屋]+ᄯᅳᆶ[庭]+이(서술격 조사 어간)+거나.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에서 ‘ㄱ’이 약화한 것을 표기한 것이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ㄱ’이 복원된 예도 많다. 『월인석보』(21하:121ㄴ)에 ‘집ᄠᅳᆯ히어나’로 적혀 있으므로, ‘딥’은 구개음화의 추세에 이끌린 과잉교정(역구개음화)임을 알 수 있고, ‘ᄯᅳᆶ’이 ‘ᄠᅳᆶ’에서 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딥ᄯᅳᆶ’의 원문은 ‘家庭’(벽송암판 중20ㄱ)이다. 여기서 ‘가정(家庭)’의 의미가 변한 것을 알 수 있다.
주011)
혹:혹(或)은. ‘이런 경우도 있음’을 뜻하는 부사이다. ‘시혹’과 교체적으로 쓰이기도 한다. 『월인석보』(21하:121ㄴ)에는 ‘시혹’으로 적혀 있다. ‘시혹’은 ‘혹은, 때때로’의 뜻을 지닌다. 한자어(時或)이지만 ‘녜(常例)’처럼 대개 훈민정음으로 적혔는데, 이것은 당시에 이 어휘가 한자어라는 인식이 엷었기 때문일 것이다.
주012)
셩읍:성읍(城邑).
주013)
락:취락(聚落).
주014)
장원:장원(莊園). 궁정이나 귀족이나 관료의 사유지. 중국 진(晉), 남북조 때까지의 장원은 주로 별장지(別莊地)의 성격이 강하였는데, 당나라 이후로는 경제적 성격을 띠게 되어 농민에게 경작하게 하고, 관리인을 두어 세금을 거두어들였다.
주015)
방샤어나:방사(房舍)이거나. 방샤+이/ㅣ(서술격 조사 어간)+거나. ‘ㄱ’ 약화. 서술격 조사 어간 ‘ㅣ’가 없는데, 이는 실수이다. ‘방섀어나’로 표기하는 것이 정상이다. ‘방샤’는 방사(房舍). 방(房)만 있는 건물.
주016)
터럭만:터럭만큼. ‘만’은 ‘만큼’을 뜻하는 보조사이다. 중세국어에서 ‘:만’은 ‘기간(期間)’을 뜻하는 명사이고, ‘·만’은 ‘뿐, 만’ 또는 ‘만큼’을 뜻하는 보조사이다.
주017)
션을:선사(善事)를.
주018)
닷가:닦아. 다ᇧ-[修]+아.
주019)
번:당번(幢幡). 부처나 보살의 위덕을 표시하는 깃발 모양의 장엄 도구. ‘증번(繒幡)’이라고도 한다.
주020)
개:천개(天蓋, 天盖). 불상을 덮는 비단으로 된 일산(日傘).
주021)
죠고만:조그마한. 『월인석보』(21하:122ㄱ)에는 ‘죠고맛’으로 적혀 있다. ‘죠고맛’이 ‘ㄴ, ㅁ’ 등의 비자음으로 시작되는 명사(예: 몸) 앞에서 ‘죠고만’으로 실현되는데, 이것이 ‘죠고맛〉죠고만’의 변화를 초래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주022)
고로:꽃으로. 곶[花]+ᄋᆞ로(부사격 조사).
주023)
존경:존경(尊經). ‘경전(經典)’을 높여서 표현한 말.
주024)
닐으며:읽으며. ‘읽다’를 뜻하는 중세국어 어휘는 ‘닑다’이다. 이 책에는 ‘니르거나(중9ㄴ), 닐으면(중10ㄴ), 니ᄅᆞ거나(중11ㄴ), 닐으며(중24ㄱ, 하7ㄱ)’ 등 예가 많다. ‘닑다’가 ‘니르다’로 발달하기는 어렵다. 근대국어 이전 시기에 방언 ‘니르다’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현대에도 일부 방언에서 ‘책 이른다(=책 읽는다)’가 쓰이고 있다.
주025)
로고:불사르고. ᄉᆞ로/ᄊᆞ로-[燒]+고. 중세국어의 ‘ᄉᆞᆯ-’은 [燒]를 뜻하는 타동사였다. ¶블 나면 도로 가져 두 남 니 나모와 블왜 마 다면  自然히 滅야〈원각경언해 상2-1:48ㄴ〉. ‘ᄉᆞᆯ다’가 ‘ᄉᆞ로다’로 발달한 것은 오분석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즉 다음 예문의 ‘ᄉᆞᄅᆞ신’은 ‘ᄉᆞᆯ-[燒]+ᄋᆞ시+ㄴ’의 구조인데, 매개모음 ‘ᄋᆞ’를 사동 접미사로 오분석하여 ‘ᄉᆞᄅᆞ다’가 형성되고, ‘ᄉᆞᄅᆞ다’의 제2음절 모음 ‘ㆍ’가 ‘ㅗ’로 변하여 ‘ᄉᆞ로다’가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대국어 ‘사르다’도 마찬가지이다. ¶몸 신 後에 陁羅尼 得시고〈석보상절 20:14ㄱ〉.
주026)
일구:일구(一句). 법문의 한 구절.
주027)
일게:일게(一偈). 약사전판에는 ‘일계’로 적혀 있다. 한 게송(偈頌). ‘게송(偈頌)’은 산스크리트어 ‘gāthā’의 번역이다. 음역하여 ‘가타(伽陀, 伽他)’라고도 하고, 줄여서 ‘게(偈)’라고도 한다. 송(頌), 송문(頌文) 경(經), 논(論), 석(釋) 등에서 시구(詩句)의 형식으로 불덕(佛德)을 찬탄하는 것을 가리킨다.
주028)
니르러도:이르러도. 이르는 경우까지도. 니를-[至]+어(연결 어미)+도(보조사). 중세국어에는 [至]를 뜻하는 동사 ‘니르다’와 ‘니를다’가 공존하였는데, ‘니르-+게’는 ‘니르게’로 적히지만 ‘니를-+게’는 ‘니를에’로 적힌다.
주029)
사름:사람. ‘사ᄅᆞᆷ’의 ‘ㆍ’가 ‘ㅡ’로 변화한 것이다. 이 책에서는 중세국어의 ‘사ᄅᆞᆷ’이 ‘사름, 살음’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사ᄅᆞᆷ〉사름. ‘사ᄅᆞᆷ’의 ‘ㆍ’가 ‘ㅡ’와 합류하여 ‘사름’으로 변화한 것이다.
주030)
녜되:예(禮)를 드리되. 공경하되. 『월인석보』(21하:122ㄱ)에는 ‘禮數호ᄃᆡ’로 적혀 있다. 이 책에는 ‘禮數’가 ‘녜’로 바뀐 예가 몇 있는데, 그것은 근대국어 시기에 ‘예수(禮數)’가 생산성을 잃었음을 시사한다. ‘예수’는 명성이나 지위에 알맞은 예의와 대우를 뜻한다. 예의 절차를 뜻하는 경우도 있다.
주031)
졔불티:제불(諸佛)같이.
주032)
쇼귀을:소귀(小鬼)들을. 작은 귀신들을. ᄃᆞᆯ(복수 접미사)+을(목적격 조사). ㅎ말음체언의 ‘ㅎ’이 소멸한 모습이다.
주033)
틱야:칙(勅)하여. 시켜서.
주034)
토디분:토지분(土地分). 토지를 관장하는 직분.
주035)
두어:두어. 두-[置]+어. 문맥으로는 ‘(큰 힘과 토지 관할권을) 주어’를 뜻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