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어도주001) 디어도:지어도. 『월인석보』(21상:108ㄴ)에 ‘지ᅀᅥ도’로 적혀 있다. 구개음화의 추세에 이끌린 과잉교정(역구개음화)이다.
칠분
즁의주002) 즁의:중에서. 『월인석보』(21상:108ㄴ)에는 ‘中에’로 적혀 있다. 그러므로 여기의 ‘의’는 부사격 조사이다. 이때의 부사격 조사 ‘에(의)’는 현대국어의 ‘에서’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원문은 ‘七分之中 而乃獲一’(벽송암판 중14ㄴ)이다.
나을주003) 나을:하나를. 『월인석보』(21상:108ㄴ)에는 ‘ᄒᆞ나ᄒᆞᆯ’로 적혀 있다. ㅎ말음체언 ‘ᄒᆞ낳’의 ‘ㅎ’이 소멸한 모습을 보여 준다.
얻고
뉵분주004) 뉵분:육분(六分). ‘칠분지육(七分之六)’을 말한다.
공덕은 산
사름주005) 사름:사람. ‘사ᄅᆞᆷ’의 ‘ㆍ’가 ‘ㅡ’로 변화한 것이다. 이 책에서는 중세국어의 ‘사ᄅᆞᆷ’이 ‘사름, 살음’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사ᄅᆞᆷ〉사름. ‘사ᄅᆞᆷ’의 ‘ㆍ’가 ‘ㅡ’와 합류하여 ‘사름’으로 변화한 것이다.
이
제주006) 니니주007) 일럴주008) 일럴:이러하므로. ‘이럴ᄉᆡ’의 중철인데, 이 책에 아주 많이 나타난다. 『월인석보』(21상:109ㄱ)에는 ‘이럴ᄊᆡ’로 적혀 있다.
미 현
션남녀히주009) 션남녀히:선남녀들이. ‘션남녀’는 ‘선남선녀’. 불법에 귀의한 남녀. ‘ᄃᆞᆯ히’의 구조는 ‘ᄃᆞᆶ(복수 접미사)+이(주격 조사)’이다. ㅎ말음체언의 ‘ㅎ’이 유지된 모습이다.
듯고주010) 듯고:듣고. ‘듣-’이 ‘듯-’으로 표기된 것이다.
건장이주011) 건장이:굳건하게. ‘듯고 건장이 제 닷그면’의 원문은 ‘聞健自修’(벽송암판 중15ㄱ)이다. 『월인석보』(21상:109ㄱ)에는 ‘듣고 세우 제 닷ᄀᆞ면’으로 언해되어 있다. ‘세우’는 ‘세게’를 뜻하는 부사이다. ‘건장이’는 ‘健壯이’로 보인다. 이 시기에 ‘세우’가 생산성이 약하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제 닷그면
분마다주012) 분마다:분(分)마다. 칠분(七分)의 공덕 중 모든 공덕을 다 얻을 것이라는 것을 말하고 있다.
오오로주013) 오오로:온전히. 『월인석보』(21상:108ㄱ)에는 ‘오로’로 적혀 있다. 이 책의 ‘오오로’의 소급형은 ‘오로’가 아니라, ‘오ᄋᆞ로’이다. 한편 ‘오ᄋᆞ로’의 발달형인 ‘오오로’는 중세국어 시기에 이미 나타난다.
어드리라
무샹대귀주014) 무샹대귀:무상대귀(無常大鬼). 덧없음의 큰 귀신. ‘죽음의 귀신’을 말하는 듯하다.
긔약주015) 업시
니르면주016) 아키주017) 아키:아득히. 어둠 속에서. ‘冥冥’의 번역이다. 여기서는 ‘사리 판단을 하지 못함’을 뜻한다.
노니
신이주018) 신이:신(神)이. 여기의 ‘신(神)’은 명종(命終)한 자의 혼령을 말한다.
죄복주019) 죄복:죄복(罪福). (자신이 지은) 죄와 복.
을 몰라
칠칠일주020) 에주021) 어린주022) 어린:바보가 된. 원문은 ‘痴’이다. ‘어리석은’으로 번역하기보다는 ‘바보인, 바보가 된’ 정도의 번역이 더 적절하다. 한편 이 낱말의 어간 ‘어리-’는 ‘귀머거리, 벙어리’의 접미사 ‘-어리’와 무관하지 않을 듯하다. ‘벙어리’는 ‘버워리’의 발달형인데, [聾]을 뜻하는 ‘버우다’란 낱말이 있었으므로 ‘-어리’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귀머근주023) 귀머근:귀먹은[聾]. ‘귀먹다’의 ‘먹-’의 의미는 [食]이 아니라 [障(막다, 막히다)]이다. 현대국어 ‘막다’의 ‘막-’은 [障]을 뜻하는 옛말 ‘먹다’의 ‘먹-’이 변한 것이다. ¶귀 머그니와〈월인석보 20:63ㄱ〉. 먹뎌ᇰ이(=귀머거리)〈월인석보 13:18ㄴ〉. 먹먹ᄒᆞ다[耳震聾]〈한청문감 172ㄱ〉.
야 혹
졔주024) 졔:제사(諸司). 여러 법 집행 기관. 『월인석보』(21상:109ㄱ-ㄴ)의 협주에서 ‘司’를 ‘司 臣下ㅣ 일 아 히라’라고 풀이하였다.
의이셔주025) 의이셔:의(부사격 조사)+이시-[在]+어(연결 어미). ‘의이셔’가 복합 조사로 굳어져 쓰였다.
업과을주026) 변논야주027) 일뎡주028) 일뎡:‘일뎡’의 한자는 ‘一定’이다. 결정한. 확정한. 판정한. 판결한. ‘一定ᄒᆞ다, 일뎡ᄒᆞ다’는 대개 ‘결정하다, 확정하다’를 뜻하는 타동사로 쓰였고, 드물게 ‘고르다, 균일하다’를 뜻하는 형용사로 쓰이기도 했다. ‘一定야’에는 동사의 활용형도 있고, 부사로 굳어져서 ‘반드시, 꼭, 마치’의 뜻을 나타내는 것도 있다. 아래 예문은 후자의 경우이다. ¶一定야 녯 사 迷失홈과 리로다[定似昔人迷]〈두시언해 초간본 7:13ㄱ〉.
후의
업을부터주029) 업을부터:업(業)에 따라. ‘을(목적격 조사)+부터(보조사)’가 복합 조사로 쓰인 것이다.
을 슈리니
측량주030) 몯
이예주031) 이예:사이에. 『월인석보』(21상:109ㄴ)에는 ‘ᄉᆞᅀᅵ예’로 적혀 있다.
쳔만
가짇주032) 시주033) 시:『월인석보』(21상:109ㄴ)에는 ‘시름’으로 적혀 있다. 그러므로 여기의 ‘시름’은 ‘ㆍ〉ㅡ’의 변화 추세에 이끌린 과잉교정이다.
슈괴어니주034) 슈괴어니:수고(受苦)이거니. ‘슈괴어니’의 주어가 없다. ‘일뎡 후의 업을부터 을 슈리니 측량 몯 이예 쳔만 가짇 시 슈괴어니’이다. ‘측량 몯 이예’ 다음에 ‘받게 되는 벌이’에 해당하는 내용이 생략된 것으로 보인다.
믈며
악주035) 악:악취(惡趣)들에. ᄃᆞᆶ(복수 접미사)+ᄋᆡ(부사격 조사). 『월인석보』(21상:109ㄴ)에는 ‘惡趣ᄃᆞᆯ해’로 적혀 있다. ‘악취(惡趣)’는 ‘악도(惡道)’와 같은 말이다. 악한 업인(業因)에 대한 과보로서 태어나는 곳. 6도(道) 중에서 흔히 3악도로 꼽히는 지옥계(地獄界), 아귀계(餓鬼界), 축생계(畜生界)가 해당하며, 아수라계(阿修羅界)까지 포함시키기도 한다. 복수 접미사 ‘-ᄃᆞᆶ’은 ㅎ말음체언과 같이 어말에 ‘ㅎ’을 지니고 있었다. ‘-ᄃᆞᆶ’이 애초에는 명사였을 가능성이 있다.
러디미녀주036) 러디미녀:떨어짐이랴? ‘떨어지게 되는 것은 당연한 사실이다.’라는 판단이 함축되어 있다. ᄯᅥ러디-[墮]+ㅁ(명사형 어미)+이ᄯᆞ녀. 『월인석보』(21상:109ㄴ)에는 ‘ᄠᅥ러듀미ᄯᆞ녀’로 적혀 있다. ‘ㅳ’가 ‘ㅼ’로 바뀌고, 명사형 어미 ‘-움’이 ‘-ㅁ’으로 바뀌었다. ‘ᄠᅥ러디-’의 기원적 구조는 ‘ᄠᅥᆯ-[落下]+어(보조적 연결 어미)+디-(보조동사 어간)’이다. ‘-이녀’가 서술부에 쓰이면 평서문이 되고, 서술부 외의 위치에 쓰이면 의문문이 된다. ‘-이녀’가 서술문을 구성하기도 하고, 의문문을 구성하기도 하는 것은 ‘-이녀’의 마지막 구성 요소가 감탄의 보조사 ‘여’이기 때문이다. 보조사는 서술문과 의문문의 구별을 결정하지 않는다. ‘-이녀’가 서술문에도 쓰이고 의문문에도 쓰이는 것과 달리, ‘-이’은 언제나 서술문을 구성하며, ‘-이니가’는 언제나 의문문을 구성한다.
이 명죵 사
지장경언해 중:18ㄴ
미
슈주037) 몯야
Ⓒ 언해 | 묘향산인 관송장로 / 1762년(영조 38)
지어도 칠분(七分) 중에서 하나를 얻고, 육분(六分) 공덕은 산 사람이 스스로가 이로우니, 이러하므로 미래 현재 선남녀들이 듣고 굳건하게 스스로 닦으면 분(分)마다(나머지 공덕을) 온전히 얻으리라.” 무상대귀(無常大鬼, 죽음)가 기약 없이 이르면(도달하면), 아득히 노니는 신(神)이 죄복(罪福)을 몰라 칠칠일(七七日) 안에 바보가 된 듯 귀먹은 듯하여 혹 제사(諸司)에서 업과(業果)를 변론하여 결정한 후에, 업(業)에 따라 생(生)을 받으리니, 측량 못한 사이에 천만 가지의 시름과 수고(愁苦)이거니, 하물며 악취(惡趣)들에 떨어짐이야?(여러 악취에 떨어질 것은 당연하지 않겠는가?) 이 명종(命終)한 사람이 수생(受生)을 못하여(못한)
Ⓒ 역자 | 이유기 / 2018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