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지장경언해 중권

  • 역주 지장경언해
  • 지장경언해 중권
  • 제8 염라왕중찬탄품(閻羅王衆讚嘆品)
  • 제8 염라왕중찬탄품 011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8 염라왕중찬탄품 011


문득주001)
문득:
즉시. 『월인석보』(21하:122ㄴ)에서는 ‘다시’로 나타난다. 이 차이는 저본의 차이에 말미암은 것임이 분명하다. 해당 부분의 원문이 필자가 주로 참조한 벽송암판(중20ㄱ)에는 ‘更’으로 나타나지만, 송광사판(1812년, 중19ㄴ)에는 ‘便’으로 나타난다. 문맥 면에서 보면 ‘便’이 옳아 보인다.
위호야 악주002)
악:
악사(惡事). 나쁜 사건.
횡주003)
횡:
횡사(橫事). 횡액(橫厄). 뜻밖에 닥쳐오는 불행.
악병주004)
악병:
악병(惡病). 나쁜 병.
횡병주005)
횡병:
횡병(橫病). 뜻밖에 걸리게 되는 병.
이며주006)
이며:
이며. 이 ‘이며’는 서술 기능이 없으므로, 접속 조사이다.
디주007)
디:
뜻과 같지. ᄯᅳᆺ[意]+ᄀᆞᇀ-[如]+디(보조적 연결 어미). 『월인석보』(21하:122ㄴ)에는 ‘ᄠᅳᆮᄀᆞᆮ디’로 적혀 있다. 합성 형용사이다. ᄠᅳᆮ〉ᄯᅳᆺ.어두 자음과 어말 자음 모두 변화하였다. 현대 국어의 보조적 연결어미 ‘-지’와 종결 어미 ‘-지’는 기원이 전혀 다르다. 보조적 연결 어미 ‘-지’는 ‘-디’가 발달한 것이고, 종결어미 ‘-지’는 ‘-디’가 발달한 것이다. ‘-디’는 선행 종속절을 강하게 긍정하고, 후행절을 부정하는 의미로 쓰였다.
아니 일이 주008)
이:
이. 지시 관형사. ‘이 집’은 ‘이 사름(중24ㄱ의 제9행)의 집’이다.
등쳐의주009)
등쳐의:
등처(等處)에. 여러 곳에. ‘등쳐’는 ‘(이 사름)과 관련된 여러 곳’을 뜻한다. 『월인석보』(21하:122ㄴ)에는 ‘等處에’로 적혀 있다. ‘의’가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의 기능을 상실하고 광범위한 환경에 쓰인 것이다.
갓갑디주010)
갓갑디:
가까이 가지. ‘갓갑다’는 대개 형용사로 쓰이는데, 여기서는 동사로 쓰인 것으로 보인다. 다음 예문의 ‘갓갑-’에는 일반적으로 동사 표지로 볼 수 있는 ‘-ᄂᆞ-’가 쓰였다. ¶서르 親며 서르 갓갑닌 믌 가온 며기로다〈두시언해 초간본 7:4ㄱ〉.
아니케주011)
아니케:
아니하게. 아니+ᄒᆞ-+게.
호리니주012)
호리니:
하리니. ᄒᆞ-+오(화자 초점 표지)+리+니. ‘호리니’는 1인칭 주어문에만 쓰인다. 근대국에서는 ‘-오-’가 그 기능을 상실하였다. 여기의 ‘호리니’는 보수적인 현상이다.
믈며주013)
믈며:
하물며. 『월인석보』(21하:122ㄴ)에는 ‘ᄒᆞᄆᆞᆯ며’로 적혀 있다. ‘ㆍ’가 ‘ㅡ’로 바뀐 것이다.
문의주014)
문의:
문(門)에. 문 안에. 『월인석보』(21하:122ㄴ)에는 ‘門戶애’로 적혀 있다. ‘의’가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의 기능을 상실하고 광범위한 환경에 쓰인 것이다.
들미닛가주015)
들미닛가:
듦입니까? 들어가는 일이야 일어날 리가 있겠습니까. 들-[入]+ㅁ(명사형 어미)+니+잇(청자 높임 선어말 어미)+가(판정 의문 종결 어미). 중세국어의 명사형 어미 ‘-옴’이 여기서는 매개모음 ‘으/ᄋᆞ’도 사라진 ‘-ㅁ’으로 변하여 나타났다. 『월인석보』(21하:123ㄱ)에는 ‘드로미ᄯᆞ니ᅌᅵᆺ가’로 언해되어 있다.
부톄주016)
부톄:
부처께서. 중세국어에 높임의 주격 조사 ‘셔’가 있었지만, 높임의 자질을 갖는 체언 뒤에서도 ‘이/ㅣ’가 쓰이는 일이 많았다.
귀왕을 찬탄샤 됴타주017)
됴타:
좋다. 둏-[善, 好]+다. ‘둏다’는 현대국어의 ‘좋다’ 또는 ‘(병이) 낫다’를 뜻하고, ‘좋다’는 현대국어의 ‘깨끗하다’를 뜻한다. ‘좋다’는 ‘조다’와 공존하였다. ‘좋-+아’는 ‘조하’로 나타나고, ‘조-+아’는 ‘조야’로 나타난다. ‘둏-’ 역시 ‘됴-’와 공존하였다. 현대국어의 ‘좋네(평서형), 좋니(의문형)’의 오용(誤用)인 ‘좋으네, 좋으니’는 ‘됴-’의 활용형이 발달한 것이다.
됴타 너주018)
너:
너희. 너+ᄒᆡ(복수접미사). 중세국어에서는 ‘너희’로 나타난다. ‘-희’가 ‘-ᄒᆡ’로 변한 것은 ‘ㆍ’의 일부가 ‘ㅡ로 변화한 것을 의식한 과잉교정이다. 접미사 ‘-희’는 ‘너, 저’에만 결합하였는데, 중세국어의 ‘저희’는 현대국어의 ‘저희’와 달리 ‘우리’의 낮춤말이 아니고 3인칭 복수 재귀대명사로 쓰였다. 현대국어 일부 방언에서는 ‘저희’가 ‘저거’로 나타나는데, ‘ㅎ’이 ‘ㄱ’으로 변화한 것이다.
염나텬주019)
염나텬:
염라천자(閻羅天子)가. 염나텬ᄌᆞ+ㅣ(주격 조사).
능히 이티 션남 션녀인을 옹호니주020)
옹호니:
옹호(擁護)하나니. ‘ᄒᆞᄂᆞᆫ니’는 ‘ᄒᆞᄂᆞ니’의 중철이다.
나도  범왕주021)
범왕:
범왕(梵王). 색계(色界)의 초선천(初禪天)의 제3천의 왕. 범천궁이라 불리는 화려한 보배 누각에 살면서 사바세계를 다스리는 천왕. 그의 키는 1유순 반이며, 수명은 1겁 반이다. ‘범천왕(梵天王), 대범(大梵), 대범왕(大梵王), 대범천(大梵天), 대범천왕(大梵天王), 마가범천(摩呵梵天)’이라고도 한다.
뎨셕주022)
뎨셕:
제석(帝釋). 제석천(帝釋天). 석제환인다라(釋提桓因陀羅). 불교 우주관의 중심 산인 수미산의 정상부에 있는 도리천의 제왕이다. 불법을 보호하고, 불법에 귀의하는 사람들을 보호한다. 이 책에는 ‘졔셕(2ㄱ)’도 나타난다. 원래 ‘帝’의 독음이 ‘뎨’였으므로, 공존하는 ‘뎨, 졔’ 중 ‘뎨’는 의고적 표기이다.
려주023)
려:
에게. 더러. 부사격(여격) 조사이다. 려〉더러. ‘려’는 [-높임]의 유정명사 뒤에 쓰이며, ‘니다, 묻다’와 호응한다. 중세국어의 여격 조사에는 평칭의 ‘게/의게, 려’, 경칭의 ‘-’가 있었다. ‘손/ㅅ손’는 선행 체언의 높임 자질에 제약이 없고, ‘니다, 묻다’ 외에 ‘가다, 오다’와 같은 동사와도 공기(共起)할 수 있었다.
닐너주024)
닐너:
일러. 니르-[謂]+어. 중세국어 어형은 ‘닐어’이다. ‘르’ 불규칙 동사 중 이른바 ‘ㄹㅇ’형이었던 것이다. ‘범왕 데셕ᄃᆞ려 닐너’의 원문은 ‘令於梵王帝釋’(벽송암판 중20ㄴ)이다. 『월인석보』(21하:123ㄱ)에는 ‘梵王 帝釋을 ᄒᆞ야’로 언해되어 있는데, 이 번역이 옳아 보인다. ‘ᄒᆞ야’는 ‘시키다’를 뜻하는 동사 어간 ‘ᄒᆡ-’에 어미 ‘-아’가 붙은 것이다. 중세국어에서는 ‘ᄒᆞ야’보다는 ‘ᄒᆡ여’로 많이 나타난다.
너을주025)
너을:
너희를.
위호케 호리라주026)
호리라:
하리라. ᄒᆞ-+오(화자 초점 표지)+리+라. ‘호리라’는 1인칭 주어문에만 쓰인다.
주027)
말:
말.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의 ‘말’과 ‘말ᄊᆞᆷ(말ᄉᆞᆷ)’ 모두 높임의 의미가 없었다. 『원각경언해』(1465) 이전의 문헌에서는 각자병서가 쓰인 ‘말’으로 나타난다.
니실 주028)
:
때에. 『월인석보』(21하:123ㄱ)에는 ‘제’로 적혀 있다. ‘제’가 ‘ᄌᆡ’로 적히게 된 것은 ‘ㅔ, ㆎ’의 단모음화 때문이다.
회즁의주029)
회즁의:
회중(會中)에. 『월인석보』(21하:123ㄱ-ㄴ)의 ‘會中에  鬼王 일후미 主命이러니’가 이 책에서는 ‘회즁의  귀왕이 이시되 일호미 쥬명이러니’로 바뀌었다. 부사격 조사 ‘에’가 ‘의’로 교체되었는데, 『월인석보』(21)의 언해는 비문으로 보인다.
 귀왕이 이시되주030)
이시되:
있되. 중세국어에서는 ‘잇-’의 이형태가 세 가지였다.
일호미주031)
일호미:
이름이. 『월인석보』(21하:123ㄱ)에는 ‘일후미’로 적혀 있다. 일훔〉일홈.
쥬명이러니주032)
쥬명이러니:
주명(主命)이더니.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에서 ‘-더-’가 ‘-러-’로 교체된다.
부텨주033)
부텨:
부처께. 높임의 부사격 조사 ‘ᄭᅴ’의 기원적 구조는 ‘ㅅ(관형격 조사)+그ᇰ(장소를 뜻하는 의존 명사)+의(부사격 조사)’로 보인다.
로되주034)
로되:
아뢰되. ᄉᆞ로-[白]+되. 중세국어 시기에는 ‘ᄉᆞ로ᄃᆡ’의 구성 요소인 ‘ㅗ’는 본래 어미부에 속해 있던 매개모음이 변한 것이다.
셰존하 주035)
내:
내가(제가). 나는(저는). 나+ㅣ(주격 조사). 1인칭 겸칭의 ‘저’는 19세기 후반기에 출현한다.
본업연주036)
본업연:
본업연(本業緣). 본래 지은 업의 인연.

지장경언해 중:25ㄱ

염부뎨주037)
염부뎨:
염부제(閻浮提). ‘뎨’ 자에 고친 흔적이 있다.
사름주038)
사름:
사람. ‘사ᄅᆞᆷ’의 ‘ㆍ’가 ‘ㅡ’로 변화한 것이다. 이 책에서는 중세국어의 ‘사ᄅᆞᆷ’이 ‘사름, 살음’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사ᄅᆞᆷ〉사름. ‘사ᄅᆞᆷ’의 ‘ㆍ’가 ‘ㅡ’와 합류하여 ‘사름’으로 변화한 것이다.
의 목숨 알며주039)
알며:
주관하며. ‘ᄀᆞᄋᆞᆷ알다’에는 ‘거느리다[領]’란 뜻도 있다. ᄋᆞᆷ알-[主管]+며. ᄀᆞᅀᆞᆷ알다〉ᄀᆞᄋᆞᆷ알다.
시주040)
시:
생시(生時). 태어나는 시간.
시주041)
시:
사시(死時). 죽는 시간.
을 내 다
Ⓒ 언해 | 묘향산인 관송장로 / 1762년(영조 38)

〈신심이 도타운 중생들을〉 즉시 위호(衛護)하여, 악사(惡事) 횡사(橫事) 악병(惡病) 횡병(橫病)이며 뜻 같지 아니한 일이 이 〈사람의〉 집을 비롯한 〈이 사람과 관련된 여러〉 곳에 가까이 다가가지도 아니하게 하리니, 하물며 문 안에 들어감입니까(들어가는 일이야 일어날 리가 있겠습니까)?” 부처께서 귀왕(鬼王)을 찬탄하시되, “좋다! 좋다! 너희와 염라천자(閻羅天子)가 능히 이같이 선남자 선여인을 옹호하나니, 나도 또 범왕(梵王) 제석(帝釋)더러 일러, 너희를 위호(衛護)하게 하리라.” 이 말씀을 이르실 때에 회중(會中)에 한 귀왕(鬼王)이 있었는데, 이름이 주명(主命)이었는데, 부처께 아뢰되, “세존이시여, 저는 본업연(本業緣)으로 염부제(閻浮提) 사람의 목숨을 주관하며, 생시(生時)와 사시(死時)를 제가 다
Ⓒ 역자 | 이유기 / 2018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문득:즉시. 『월인석보』(21하:122ㄴ)에서는 ‘다시’로 나타난다. 이 차이는 저본의 차이에 말미암은 것임이 분명하다. 해당 부분의 원문이 필자가 주로 참조한 벽송암판(중20ㄱ)에는 ‘更’으로 나타나지만, 송광사판(1812년, 중19ㄴ)에는 ‘便’으로 나타난다. 문맥 면에서 보면 ‘便’이 옳아 보인다.
주002)
악:악사(惡事). 나쁜 사건.
주003)
횡:횡사(橫事). 횡액(橫厄). 뜻밖에 닥쳐오는 불행.
주004)
악병:악병(惡病). 나쁜 병.
주005)
횡병:횡병(橫病). 뜻밖에 걸리게 되는 병.
주006)
이며:이며. 이 ‘이며’는 서술 기능이 없으므로, 접속 조사이다.
주007)
디:뜻과 같지. ᄯᅳᆺ[意]+ᄀᆞᇀ-[如]+디(보조적 연결 어미). 『월인석보』(21하:122ㄴ)에는 ‘ᄠᅳᆮᄀᆞᆮ디’로 적혀 있다. 합성 형용사이다. ᄠᅳᆮ〉ᄯᅳᆺ.어두 자음과 어말 자음 모두 변화하였다. 현대 국어의 보조적 연결어미 ‘-지’와 종결 어미 ‘-지’는 기원이 전혀 다르다. 보조적 연결 어미 ‘-지’는 ‘-디’가 발달한 것이고, 종결어미 ‘-지’는 ‘-디’가 발달한 것이다. ‘-디’는 선행 종속절을 강하게 긍정하고, 후행절을 부정하는 의미로 쓰였다.
주008)
이:이. 지시 관형사. ‘이 집’은 ‘이 사름(중24ㄱ의 제9행)의 집’이다.
주009)
등쳐의:등처(等處)에. 여러 곳에. ‘등쳐’는 ‘(이 사름)과 관련된 여러 곳’을 뜻한다. 『월인석보』(21하:122ㄴ)에는 ‘等處에’로 적혀 있다. ‘의’가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의 기능을 상실하고 광범위한 환경에 쓰인 것이다.
주010)
갓갑디:가까이 가지. ‘갓갑다’는 대개 형용사로 쓰이는데, 여기서는 동사로 쓰인 것으로 보인다. 다음 예문의 ‘갓갑-’에는 일반적으로 동사 표지로 볼 수 있는 ‘-ᄂᆞ-’가 쓰였다. ¶서르 親며 서르 갓갑닌 믌 가온 며기로다〈두시언해 초간본 7:4ㄱ〉.
주011)
아니케:아니하게. 아니+ᄒᆞ-+게.
주012)
호리니:하리니. ᄒᆞ-+오(화자 초점 표지)+리+니. ‘호리니’는 1인칭 주어문에만 쓰인다. 근대국에서는 ‘-오-’가 그 기능을 상실하였다. 여기의 ‘호리니’는 보수적인 현상이다.
주013)
믈며:하물며. 『월인석보』(21하:122ㄴ)에는 ‘ᄒᆞᄆᆞᆯ며’로 적혀 있다. ‘ㆍ’가 ‘ㅡ’로 바뀐 것이다.
주014)
문의:문(門)에. 문 안에. 『월인석보』(21하:122ㄴ)에는 ‘門戶애’로 적혀 있다. ‘의’가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의 기능을 상실하고 광범위한 환경에 쓰인 것이다.
주015)
들미닛가:듦입니까? 들어가는 일이야 일어날 리가 있겠습니까. 들-[入]+ㅁ(명사형 어미)+니+잇(청자 높임 선어말 어미)+가(판정 의문 종결 어미). 중세국어의 명사형 어미 ‘-옴’이 여기서는 매개모음 ‘으/ᄋᆞ’도 사라진 ‘-ㅁ’으로 변하여 나타났다. 『월인석보』(21하:123ㄱ)에는 ‘드로미ᄯᆞ니ᅌᅵᆺ가’로 언해되어 있다.
주016)
부톄:부처께서. 중세국어에 높임의 주격 조사 ‘셔’가 있었지만, 높임의 자질을 갖는 체언 뒤에서도 ‘이/ㅣ’가 쓰이는 일이 많았다.
주017)
됴타:좋다. 둏-[善, 好]+다. ‘둏다’는 현대국어의 ‘좋다’ 또는 ‘(병이) 낫다’를 뜻하고, ‘좋다’는 현대국어의 ‘깨끗하다’를 뜻한다. ‘좋다’는 ‘조다’와 공존하였다. ‘좋-+아’는 ‘조하’로 나타나고, ‘조-+아’는 ‘조야’로 나타난다. ‘둏-’ 역시 ‘됴-’와 공존하였다. 현대국어의 ‘좋네(평서형), 좋니(의문형)’의 오용(誤用)인 ‘좋으네, 좋으니’는 ‘됴-’의 활용형이 발달한 것이다.
주018)
너:너희. 너+ᄒᆡ(복수접미사). 중세국어에서는 ‘너희’로 나타난다. ‘-희’가 ‘-ᄒᆡ’로 변한 것은 ‘ㆍ’의 일부가 ‘ㅡ로 변화한 것을 의식한 과잉교정이다. 접미사 ‘-희’는 ‘너, 저’에만 결합하였는데, 중세국어의 ‘저희’는 현대국어의 ‘저희’와 달리 ‘우리’의 낮춤말이 아니고 3인칭 복수 재귀대명사로 쓰였다. 현대국어 일부 방언에서는 ‘저희’가 ‘저거’로 나타나는데, ‘ㅎ’이 ‘ㄱ’으로 변화한 것이다.
주019)
염나텬:염라천자(閻羅天子)가. 염나텬ᄌᆞ+ㅣ(주격 조사).
주020)
옹호니:옹호(擁護)하나니. ‘ᄒᆞᄂᆞᆫ니’는 ‘ᄒᆞᄂᆞ니’의 중철이다.
주021)
범왕:범왕(梵王). 색계(色界)의 초선천(初禪天)의 제3천의 왕. 범천궁이라 불리는 화려한 보배 누각에 살면서 사바세계를 다스리는 천왕. 그의 키는 1유순 반이며, 수명은 1겁 반이다. ‘범천왕(梵天王), 대범(大梵), 대범왕(大梵王), 대범천(大梵天), 대범천왕(大梵天王), 마가범천(摩呵梵天)’이라고도 한다.
주022)
뎨셕:제석(帝釋). 제석천(帝釋天). 석제환인다라(釋提桓因陀羅). 불교 우주관의 중심 산인 수미산의 정상부에 있는 도리천의 제왕이다. 불법을 보호하고, 불법에 귀의하는 사람들을 보호한다. 이 책에는 ‘졔셕(2ㄱ)’도 나타난다. 원래 ‘帝’의 독음이 ‘뎨’였으므로, 공존하는 ‘뎨, 졔’ 중 ‘뎨’는 의고적 표기이다.
주023)
려:에게. 더러. 부사격(여격) 조사이다. 려〉더러. ‘려’는 [-높임]의 유정명사 뒤에 쓰이며, ‘니다, 묻다’와 호응한다. 중세국어의 여격 조사에는 평칭의 ‘게/의게, 려’, 경칭의 ‘-’가 있었다. ‘손/ㅅ손’는 선행 체언의 높임 자질에 제약이 없고, ‘니다, 묻다’ 외에 ‘가다, 오다’와 같은 동사와도 공기(共起)할 수 있었다.
주024)
닐너:일러. 니르-[謂]+어. 중세국어 어형은 ‘닐어’이다. ‘르’ 불규칙 동사 중 이른바 ‘ㄹㅇ’형이었던 것이다. ‘범왕 데셕ᄃᆞ려 닐너’의 원문은 ‘令於梵王帝釋’(벽송암판 중20ㄴ)이다. 『월인석보』(21하:123ㄱ)에는 ‘梵王 帝釋을 ᄒᆞ야’로 언해되어 있는데, 이 번역이 옳아 보인다. ‘ᄒᆞ야’는 ‘시키다’를 뜻하는 동사 어간 ‘ᄒᆡ-’에 어미 ‘-아’가 붙은 것이다. 중세국어에서는 ‘ᄒᆞ야’보다는 ‘ᄒᆡ여’로 많이 나타난다.
주025)
너을:너희를.
주026)
호리라:하리라. ᄒᆞ-+오(화자 초점 표지)+리+라. ‘호리라’는 1인칭 주어문에만 쓰인다.
주027)
말:말.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의 ‘말’과 ‘말ᄊᆞᆷ(말ᄉᆞᆷ)’ 모두 높임의 의미가 없었다. 『원각경언해』(1465) 이전의 문헌에서는 각자병서가 쓰인 ‘말’으로 나타난다.
주028)
:때에. 『월인석보』(21하:123ㄱ)에는 ‘제’로 적혀 있다. ‘제’가 ‘ᄌᆡ’로 적히게 된 것은 ‘ㅔ, ㆎ’의 단모음화 때문이다.
주029)
회즁의:회중(會中)에. 『월인석보』(21하:123ㄱ-ㄴ)의 ‘會中에  鬼王 일후미 主命이러니’가 이 책에서는 ‘회즁의  귀왕이 이시되 일호미 쥬명이러니’로 바뀌었다. 부사격 조사 ‘에’가 ‘의’로 교체되었는데, 『월인석보』(21)의 언해는 비문으로 보인다.
주030)
이시되:있되. 중세국어에서는 ‘잇-’의 이형태가 세 가지였다.
주031)
일호미:이름이. 『월인석보』(21하:123ㄱ)에는 ‘일후미’로 적혀 있다. 일훔〉일홈.
주032)
쥬명이러니:주명(主命)이더니.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에서 ‘-더-’가 ‘-러-’로 교체된다.
주033)
부텨:부처께. 높임의 부사격 조사 ‘ᄭᅴ’의 기원적 구조는 ‘ㅅ(관형격 조사)+그ᇰ(장소를 뜻하는 의존 명사)+의(부사격 조사)’로 보인다.
주034)
로되:아뢰되. ᄉᆞ로-[白]+되. 중세국어 시기에는 ‘ᄉᆞ로ᄃᆡ’의 구성 요소인 ‘ㅗ’는 본래 어미부에 속해 있던 매개모음이 변한 것이다.
주035)
내:내가(제가). 나는(저는). 나+ㅣ(주격 조사). 1인칭 겸칭의 ‘저’는 19세기 후반기에 출현한다.
주036)
본업연:본업연(本業緣). 본래 지은 업의 인연.
주037)
염부뎨:염부제(閻浮提). ‘뎨’ 자에 고친 흔적이 있다.
주038)
사름:사람. ‘사ᄅᆞᆷ’의 ‘ㆍ’가 ‘ㅡ’로 변화한 것이다. 이 책에서는 중세국어의 ‘사ᄅᆞᆷ’이 ‘사름, 살음’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사ᄅᆞᆷ〉사름. ‘사ᄅᆞᆷ’의 ‘ㆍ’가 ‘ㅡ’와 합류하여 ‘사름’으로 변화한 것이다.
주039)
알며:주관하며. ‘ᄀᆞᄋᆞᆷ알다’에는 ‘거느리다[領]’란 뜻도 있다. ᄋᆞᆷ알-[主管]+며. ᄀᆞᅀᆞᆷ알다〉ᄀᆞᄋᆞᆷ알다.
주040)
시:생시(生時). 태어나는 시간.
주041)
시:사시(死時). 죽는 시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